• 제목/요약/키워드: saponin fraction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3초

추출 용매에 따른 인삼과 압출 성형 인삼의 사포닌 함량 및 항산화 활성 연구 (A Study on the Saponin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Ginseng and Extruded Ginseng by Using Different Solvents for Extraction)

  • 김성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28-534
    • /
    • 2011
  • 추출용매와 조작순서를 달리하여 원료인삼 및 압출성형 가공시 인삼의 사포닌 함량 및 항산화 정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삼과 압출성형한 가공 인삼의 80% 에탄올 엑기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수포화 부탄올 분획, 수층 분획을 각각 얻은 후 LC/MASS를 사용하여 사포닌 함량을 조사하고 기존의 여러 가지 항산화 작용 측정 방법들의 오류를 없애고 더욱 정확한 결과를 낼 수 있는 대처 방안으로 선정된 ORAC 분석법에 의해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였다. 검체 인삼 중 사포닌은 ginsenoside Rb1과 Rg1 및 Re를 주요 성분으로 다량 함유하고 있었으며, Rb2, Rc, Rd 등이 뒤를 이었고, 그밖에도 Rg3, Rh1가 미량 분포하고 있었다. 압출 성형 인삼의 경우 원료 인삼에 비해 전반적으로 사포닌 함량이 높았으며, 주로 ginsenoside Re와 Rb1 및 Re가 많았고, 그밖에 Rc, Rb2, Rg1, Rh, Rd 등이었으며, 특히 원료인삼에서 미량 존재하던 Rh1과 Rg3가 많이 증가함을 보였다. 이러한 현상은 압출인삼의 에틸아세테이트층과 부탄올층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원료 인삼의 에틸아세테이트층에서는 Rg1 함량이 높았고, 압출인삼에서는 Rh1과 Rg3가 많이 용출되었으며, Rg1, Re, Rb1 등이 용출되었다. ORAC 분석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 연구에서 원료인삼 중의 여러 생리활성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80% 에탄올 추출 분획과 일반적으로 극성의 사포닌 성분을 많이 함유한 수포화 부탄올층의 항산화 활성은 에틸아세테이트층과 수층에 비해 높았으나, 압출성형과정을 거치더라도 유의성 있는 증가는 없었다. 그러나 압출성형과정을 거친 압출 인삼의 에틸아세테이트층과 수층 분획이 대조 원료인삼의 각각의 분획들에 비해 모두 유의성($p$ >0.05)있는 증가를 보였다. 또한 원료인삼과 압출 인삼의 80% 에탄올 추출 엑기스,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 수포화 부탄올 분획, 수층 분획 모두에서 일정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나태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인삼사포닌을 거의 함유하지 않은 원료인삼과 압출 인삼의 수층에서도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인삼 중 항산화 활성은 에틸아세테이트 층으로 이행되는 폴리페놀 계통 성분 및 일부 비극성의 사포닌에 의한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모든 분획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이들 외에 산성 다당체, 당단백질, 수용성 다당류, 말톨 등 다른 생리 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인삼 사포닌 분획이 혈청 지단백질 분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ponin Fraction of Panax ginseng C.A. Meyer on Blood Serum Lipoprotein Distribution of Cholesterol Fed Rabbits)

  • 강방희;구자현;주충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114-121
    • /
    • 1986
  • 고려 인삼 뿌리에서 얻은 사포닌 분획이 고cholesterol 식이로 2주내지 4주간 사육한 토끼의 혈청 지단백질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고cholesterol 식이를 인삼과 함께(시험군) 또는 단독(대조군)으로 2~4주간 투여한 토끼의 혈청 극저밀도 지단백질(VLDL)과 저밀도 지단백질(LDL)이 다같이 크게 증가하는 반면 고밀도 지단백질(HDL)의 농도는 저하 하였다. 그러나 VLDL과 LDL 농도의 증가율이나 HDL 농도의 저하율은 인삼을 투여한 토끼군에서 현저히 적었으며 인삼사포닌의 고cholesterol 혈증 개선작용이 VLDL의 LDL 농도를 낮추고 HDL의 농도를 높이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압출 성형 인삼의 항산화 활성 증강 효과 (Effect of the Extruded Ginseng on Antioxidant Activity)

  • 김성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02-408
    • /
    • 2007
  • 최근 식품 및 천연 물질로부터 항산화 작용이 있는 생리 활성 물질을 찾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동양권에서 전통적으로 자양강장을 목적으로 많이 사용해온 인삼을 압출 성형 기술에 의해 가공한 후 80% 에탄올로 추출하고 감압 농축한 에탄올엑기스와 이를 에테르를 이용하여 지방 성분을 제거한 후 수포화 부탄올 처리한 부탄올 분획과 물 분획을 얻었다. 인삼과 압출 성형 인삼의 부탄올 층을 각각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인삼 사포닌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압출성형 인삼이 대조 인삼에 비해 ginsenoside Rg1의 경우 약 2.2배, Re의 경우 약 2.3배, Rc의 경우 약 1.2배, Rb2의 경우 약 1.3배, Rd의 경우 약 2.2배의 사포닌 함량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ORAC 방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 실험 결과, 압출 성형 인삼의 경우 인삼 중의 여러 유효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80% 에탄올 추출분 획과 일반적으로 사포닌 성분을 많이 함유한 부탄올 분획은 물론이고, 사포닌 함량이 거의 없는 수층 분획 모두에서 대조 인삼의 분획들에 비해 유의성 있는 증가 (0.05

  • PDF

인삼 Saponin이 Lysosome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inseng Saponin on the Lysosomal Enzyme Activiti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 문창규;김희수;김강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05-109
    • /
    • 1994
  • Lysosomal enzymes might play a most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d diabetic microangiopathy. Some glycosidases, which participate in the catabolism of glycoprotein, a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diabetic mice. In search of new potential lysosomal enzyme inducers, we examined the effects of crude red-ginseng saponin fraction on N-acetyl-$\beta$-D-glucosaminidase, $\beta$-D-galactosidase and $\alpha$-D-mannosidase activities in the liver and kidney of normal and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mice. It was found that i.p. administration of ginseng saponin produced the induction of lysosomal enzymes in the kidney more intensively than in the liver. The obtained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ginseng saponin might prevent the diabetic microangiopathy.

  • PDF

Benzo(a)Pyrene 유발 DNA 상해 및 복제 억제에 미치는 인삼사포닌의 영향 (Effects of Ginseng Saponin on DNA Strand Breaks and Replication Inhibition by Benzo(a)Pyrene in CHO-Kl Cells)

  • Park, Jin-Kyu;Park, Ki-Hy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6권3호
    • /
    • pp.210-216
    • /
    • 1992
  • The effect of saponin extracted from Panax grneng CA Meyer on DNA repair and replicative DNA synthesis were examined in CHO-Kl cells cotreated with benzo(a)pyrene and rat liver S-15 fraction. The DNA strand breaks inititated by benzo(a)pyrene metabolites were measured by alkaline election technique. The addition of ginseng saponin to the culture media resulted in decrease of benzo(a)pyrene-induced DNA strand breaks, and restored the suppressed-semiconservative-DNA-synthesis by the carcinogen. DNA repair synthesis in the damaged cells was also elevated by the ginseng treatment when the repairing activites were measured for the (3H)-thymidine incorporation into the carcinogen damaged cellular DNk Comparative analysis of DNA-adduces of benzo(a)pyrene metabortes in microsomes suggested that ginseng saponin treatment in rats reduced the formation of electrophilic metabolites of benzo (a)-pyrene in the rat liver microsomes.

  • PDF

생쥐 대식세포의 K562 종양세포치사 활성에 미치는 인삼 분획물의 영향 (Effects of a Ginseng Saponin Fraction on the Tumoricidal Activity of Murine Macrophage Against K562 Cells)

  • 김웅;정노팔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24-29
    • /
    • 1989
  • 본 실험에서는 대식세포에 의한 K562 종양세포의 치사에 미치는 인삼 분획물들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LPS만을 처리하여 주어 종양세포의 치사 활성을 유도한 대식세포보다도 LPS 와 saponin을 복합처리하여준 대식세포가 K562 종양세포에 대하여 더 높은 종양 치사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삼 분획물 즉, total, diol, triol saponin 모두 같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2. 대식세포없이 배양엑에 인삼 saponin 만을 처리하여 주었을 경우, 인삼 saponin 이 K562 종양세포에 대한 치사작용을 나타내지 않았다. 3. 이러한 결과로 인삼 saponin이 대식세포를 통하여 K562 세포 치사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The non-saponin fraction of Korean Red Ginseng ameliorates sarcopenia by regulating immune homeostasis in 22-26-month-old C57BL/6J mice

  • Oh, Hyun-Ji;Jin, Heegu;Lee, Boo-Yo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6권6호
    • /
    • pp.809-818
    • /
    • 2022
  • Background: The non-saponin fraction (NSF) of Korean Red Ginseng is a powder in which saponin is eliminated from red ginseng concentrate by fractionation.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NSF on age-associated sarcopenia in old mice. Methods: NSF (50 or 200 mg/kg/day) was administered orally daily to young (3-6-month-old) and old (20-24-month-old) C57BL/6 J mice for 6 weeks. Body weight and grip strength were assessed once a week during the oral administration period. The gastrocnemius and quadriceps muscle were excised, and the muscle fiber size was compared through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In addition, the effect of NSF on sarcopenia and inflammation/oxidative stress-related factors in hindlimb muscles was investigated by western blotting. Flow cytometry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SF on immune homeostasi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by cardiac puncture, and the serum levels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1,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glutathione were evaluated. Results: NSF significantly alleviated muscle strength, mass, and also fiber size in old mice. Age-associated impairment of immune homeostasis was recovered by NSF through retaining CD11b+F4/80+ macrophages and regulating inflammatory biomarkers. NSF also decreased the age-induced expression of oxidative stress factors. Taken together, NSF showed the effect of improving sarcopenia by inhibiting low-grade chronic inflammatory/oxidative stress factors. Conclusion: NSF exhibited anti-sarcopenia effects by regulating chronic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in old mice. Thus, we suggest that NSF is a promising restorative agent that can be used to improve sarcopenia in the elderly as well as maintain immune homeostasis.

진세노사이드 Rd와 사포닌 대사물인 compound K의 항지질과산화 효과 (Anti-lipid Peroxdation Effect of Ginsenoside Rd and Its Metabolite Compound K)

  • 김경현;성금수;문연자;박시준;신미란;장재철
    • 한국전통의학지
    • /
    • 제15권1호
    • /
    • pp.97-105
    • /
    • 2006
  • To study on antioxidant effects in the liver of 40-week-old mouse, the sample were orally pretreated 5mg/kg/day for 5 days with red ginseng saponin components(total saponin, protopanaxadiol saponin, protopanaxatriol saponin, ginsenoside-Rd, ginsenoside-Re, compound-K) for 5 days. The ability of saponin to protect the mouse liver from oxidative damage was examined by determining the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SOD), glutathione peroxidase(GPx) and the contents of glutathione, the level of malondialdehyde, The only protopanaxadiol among the ginseng saponin fraction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hepatic SOD activity(p<0.01). The red ginseng saponin induced a slight increase of GPx activity, especially ginsenoside Rd, compound K and protopanaxatriol treat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its activity. The content of glutathion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otal saponin, protopanaxadiol and ginsenoside Rd(p<0.01), but the oxidized glutathione level was lowered in all the red ginseng saponin. Finally, the level of malondialdehyd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ginsenoside Rd and protopanaxadiol. In conclusion, protopanaxadiol and ginsenoside Rd among the saponin fraction were especially increased in the activity of hepatic antioxidative enzyme and decreased the lipid peroxidation that was expressed in term of MDA formation. This comprehensive antioxidant effects of red ginseng saponin seems to be by a certain action of saponin other than a direct antioxidant a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