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nitation workers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4초

외국인 근로자들의 일상적인 건강장애에 미치는 영향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The Effect Common Health Disorders of Foreign Workers - Focused on Daegu and Kyungpook Region -)

  • 김승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268-27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일하고 있는 일부 아시아 및 남미 출신의 외국인 노동자를 중심으로 이들의 건강실태 및 관리현황에 대해서 조사해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 증진을 통하여 정신적, 신체적 효율을 증진시키고, 원활한 의료이용과 적절한 의료혜택을 부여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외국인 근로자들을 고용하고 있는 산업체 및 고용주들에도 한국의 산업 발전에 많은 역할을 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건강관리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008년 3월1일부터 6월 30일까지 외국인이 고용되어 있는 산업 장을 찾아 231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결과 외국인 근로자들의 일상적인 건강장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한국에서의 체류기간($\beta$=.270), 의료기관 이용의 어려움($\beta$=.268), 작업장환경위생불량($\beta$=.218), 흡연여부($\beta$=.170), 건강관리실태($\beta$=-.251)등 이었다. ($R^2$=0.501)

요식업 종사원의 보건교육 시스템의 정착 및 보건관리 인식제고 (Restaurants settled and health management awareness of employees of the Health Education System)

  • 윤영화;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79-190
    • /
    • 2016
  • Awareness about health is still in short supply, sufficient research and investment is falling mothayeo made, the development of image and health technology for health compared to productivity enhancement technology behind the relative reality. Through the analysis and study of special measures and health education in the country catering to propose measures and methods for this. Current analyzed and summarized to find a special health and safety training relevant provisions appear in the national legislat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to leverage to workers unearthed an in-depth awareness and issues for the institutions and laws. Survey research methods to analyze the documents and government publications and research through an Internet search. Survey Research conducted a self - survey on new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he concessionaires to sanitation target, the attitude of the sanitary administration, attitudes to hygiene education and hygiene practice Conditions received health education carried out by catering Federation regularly. Health education is a systematic settlement system for the external reality of professional education. Health and health administrators to establish an organizational structure strengthening phase. Employers and health care workers are raising awareness. Employers have a responsibility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Consequently, special health education targeted construction workers changed to fit the content-driven information on the species and the proper arrangement of time "based health education" currently being conducted.

HACCP 선행요건 기준을 활용한 중·소 외식업체 종사자의 위생관리 중요도·수행도 분석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of Sanitation Management in Workers at Small and Medium Foodservice Industries Using HACCP Prerequisites)

  • 이현준;홍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0호
    • /
    • pp.1497-1507
    • /
    • 2016
  •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한 외식업체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2014년 5월~2014년 7월까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은 총 500부가 회수되었고, 이 가운데 통계분석이 가능하고 유효한 458부를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으며, 외식업체 경영자와 종업원의 HACCP(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선행요건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소규모 외식업체 HACCP 적용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위생관리 항목 중 우선적으로 교육해야 할 항목에 대한 연구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외식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HACCP 선행요건 15개 항목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분석한 결과, 전체 항목 중 중요도에 비해 현장 수행도의 점수가 유의적으로 낮게 조사된 대표적인 항목은 '종업원의 손 위생 및 청결한 위생복장의 착용', '포획된 해충 설치류를 정기적으로 확인', '입고되는 원재료의 확인 및 검사', '식품안전사항 개선조치 후 결과 기록 유지', '모니터링 도구의 정기적 세척 소독'으로 나타났다. 이에 HACCP 선행요건 기준에 따라 위의 5개 항목은 중요도-수행도의 점수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으므로 위의 5개 항목내용을 중심으로 현장 수행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내용으로 구성해야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HACCP 선행요건에 대한 세부항목별 IPA 분석 결과, 수행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집중하여 개선해야 할 영역인 2사분면의 경우 소규모 업체는 '포획된 해충 설치류를 정기적으로 확인', '종업원의 손 위생 및 청결한 위생복장 착용', '음식물 교차오염 방지' 항목이 조사되었고, 중규모 업체는 '조리장의 해충 설치류 유입 차단', '식품안전사항 개선조치 후 결과 기록 유지' 등으로 나타났다. 2사분면 항목은 종사자들이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지만, 수행도가 낮아 외식업체 규모에 따른 적합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상의 연구를 종합한 결과, 중 소규모 전체 외식업체를 대상으로 중요도는 높지만, 수행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집중하여 개선해야 할 위생관리항목은 '포획된 해충 설치류를 정기적으로 확인', '종업원의 손 위생 및 청결한 위생복장 착용', '음식물 교차오염 방지' 등으로 나타나 이 항목들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개선활동을 전개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소규모 업체를 대상으로 집중하여 개선해야 할 항목은 '포획된 해충 설치류를 정기적으로 확인', '종업원의 손 위생 및 청결한 위생복장착용', '음식물 교차오염 방지' 등이었고, 중규모 업체만 나타난 항목은 '조리장의 해충 설치류 유입 차단', '식품안전사항 개선조치 후 결과 기록 유지'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 항목들에 대하여 실제 성공적으로 관리되는 외식업체 실제 사례를 통한 위생교육이 강화될 필요가 있으며, 위생교육에 따른 중 소규모 외식업체 현장에서 가장 개선되어야 할 항목들에 대하여 보완된 위생관리점검표를 메뉴얼화하여 철저하게 관리 감독해야 하겠다.

위탁급식 전문업체 산업체급식소의 고객 만족과 충성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Foodservice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in Industry Contracted Foodservice)

  • 김현주;류은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1318-1324
    • /
    • 2013
  • 본 연구는 경남지역에서 5개의 산업체 공장 위탁급식소 근로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급식서비스 만족도와 고객충성도를 평가하고, 급식서비스 만족도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산업체 위탁급식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설문조사는 2012년 7월 20일~2012년 8월 31일까지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급식서비스 만족도 평가는 전체 평균 점수가 3.51/5.00점으로 나타났으며, 음식 3.47/5.00점, 서비스 3.50/5.00점, 위생 3.65/5.00점, 환경 3.45/5.00점이었다. 이용기간에 따른 급식서비스 만족도는 2년 이상~4년 미만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직무에 따른 급식서비스 만족도는 생산직이 사무직보다 유의적(P<0.001)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음식(P<0.001), 서비스(P<0.001), 위생(P<0.01), 환경(P<0.001) 요인의 각 급식서비스 만족도도 생산직이 사무직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고객충성도 전체 평균 점수는 3.46/5.00점이며 재구매 의도 3.60/5.00점, 구전 의도 3.52/5.00점, 전환하지 않을 의도 3.27/5.00점이었다. 이용기간은 전환하지 않을 의도 중 '비록 나는 시간과 돈이 허락해도 외부 식당을 이용하지 않을 것이다'는 2년 이상~4년 이하가 2년 미만과 4년 이상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생산직이 사무직보다 구전 의도(P<0.01), 전환하지 않을 의도(P<0.001)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급식서비스 요인과 고객충성도와의 상관관계는 음식, 서비스, 위생, 환경 요인 모두 재방문 의도, 구전 의도, 전환하지 않을 의도와 양의 유의적인(P<0.01) 상관관계를 보였다. 재방문 의도는 음식 요인이, 구전 의도와 전환하지 않을 의도(P<0.01)는 서비스 요인이 다른 요인보다 유의적으로(P<0.01)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고객충성도에 영향력을 주는 급식서비스 만족도 요인 분석에서, 재구매 의도에는 위생, 음식, 서비스요인의 순으로, 구전 의도에는 서비스, 음식, 위생요인 순으로, 전환하지 않을 의도에는 서비스, 음식요인의 순으로 영향력을 주어 산업체 위탁급식소에서 고객충성도의 세 가지 요인에 영향력을 모두 주는 급식 서비스요인은 서비스요인과 음식요인이었다.

초등학교 급식소에서의 HACCP 적용을 위한 계절별 환경미생물학적 위해분석 (The Seasonal Microbiological Quality Assessment for Application of HACCP System to the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 권성희;이헌옥;정덕화;신원선;엄애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47-658
    • /
    • 2003
  • Foodservice at elementary schools has been provided nation-wide. It is predictable that foodborne diseases would increase continuously. Formation of a counterplan is urgently need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stage which contains the critical control points (CCPs) for the microbiological management of 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at the foodservice provided at elementary schools. Foodservice places at four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re sampled and the overall hygiene of cooking, utensils and equipment, employees, and environment by season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bacteria in overall samples was increased and that E. coli, Salmonella and Staphylococcus by biochemical test emerged in more diverse samples in summer than in spring. Particularly, the number of aerial bacteria in summer was three-fold greater than that in either spring or winter. E. coli 0157 was not detected, although Salmonella was identified by PCR analysis in the meat knives, chopping boards, waste bins and meat dish at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According to this data, cross-contamination should be managed in the stage of mixing up the ingredients with improper equipments and insanitary treatments. Thus, the establishment of SSOP (Sanitation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and GMP (Good Manufacturing Practice) at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is stringently required, along with sanitation education for workers and employees as CCPs.

Self-Assessment by School Foodservice Directors on Their Equipment and Sanitary Procedures, Related to Four Alternative Management Systems

  • Yoon, Hei-Ryeo;Kim, Sook-He;Yu, Choon-Hie;Song, Yo-Sook;Lee, Kyoung-Ae;Kim, Woo-Kyoung;Kim, Ju-Hyeon;Lee, Jung-Sug;Kim, Mi-Kang
    • Nutritional Sciences
    • /
    • 제5권2호
    • /
    • pp.103-110
    • /
    • 2002
  • In Korea, the school foodservice program has been expanding rapidly in recent years, partly as a result of increased government support. With the growth in the number of schools offering foodservice programs, food safety and sanitation concerns have been increasing. To assist with program improvement, a situ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the focus on equipment and sanitary management of school foodservice programs under flour different management systems. A questionnaire was mailed to the foodservice directors of 234 randomly selected schools chi[h includ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t the national level. Among them, one hundred and sixty-five responses reasonably completed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is study classified each school's foodservice management into one of four types : independent-conventional, independent-commissary, contract-conventional, and contract-delivery. The results show that the monitoring of employees' health and personal hygiene, and employees' sanitary education was well conducted, but that the sanitary education of the voluntary parent workers was largely ignored. Eighty-six percent of the schools had their drinking water tested for sanitation, and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effort is needed in careful management of drinking water in order to prevent foodborne illnesses and bacillary dysentery. In general, contract management showed lower scores in foodservice equipment and their efficiency, compared with independent management. A relatively high number of schools on the contract-delivery management system employed nurses and leachers instead of dietitians and foodservice directors. The adoption of the 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system was lowest in contract-conventional and contract-delivery management systems, and highest in elementary schools using the independent-conventional system.

원재료, 조리기구와 조리원 손에 의한 급식소 조리음식의 미생물오염 실태 분석 (Analysis of Contamination of Bacteria from Raw Materials, Utensils and Workers' Hands to Prepared Foods in Foodservice Operations)

  • 배현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55-660
    • /
    • 2006
  • 급식규모와 운영형태가 유사한 3곳의 급식소를 대상으로 원재료, 조리기구 및 조리종사원 손과 최종조리음식간의 미생물 오염실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A 급식소에서는 닭볶음탕, 잡채, 비빔밥, 콩나물무침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다. 닭볶음탕은 조리종사원의 손, 재료를 손질한 도마, 양파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으므로 조리종사원의 손이나 도마를 통한 교차오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잡채는 조리종사원의 손, 당면을 삶아 건진 바구니, 양파와 양파를 손질한 도마에서 모두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으므로 이들 간의 교차오염이 발생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비빔밥과 콩나물무침은 해당일 조리를 담당한 종사원의 손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으므로 조리종사원 손에 의한 오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B 급식소의 쥐어채조림은 원재료의 황색포도상구균이 조리과정에서 그대로 전이되어 조림 후에도 검출되었다. C급식소의 오징어채무침에서는 대장균이 검출되었다. 오징어채무침은 가열조리공정을 거치지 않는 메뉴로서 원재료인 오징어채에서 검출되었던 대장균이 그대로 최종조리 후까지 전이된 것으로 판단된다. 급식소 최종음식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위생적인 원재료의 구매와 사용, 조리종사원 개인위생의 개선, 조리기기의 철저한 세척 및 소독관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신규 일반음식점 영업자의 위생관리 지식 및 태도 (Knowledge and Attitude on the Restaurant-Related Sanitation of New Restaurateurs)

  • 박기홍;손석준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1권1호
    • /
    • pp.21-34
    • /
    • 2006
  • 식품위생에 관한 지식은 식중독의 예방여부, 냉동 냉장식품 보관법, 유통기한 경과 제품처리에 대해서는 조사대상의 87.9%-94.4% 정도가 정확히 알고 있었으나, 식중독의 원인 주요 예방법, 냉장고 보관온도에 대해서는 조사대상의 56.0%-63.0% 정도가 바르게 알고 있었다. 위생지식에 대한 정답률이 낮은 남성, 40대 이외의 연령층, 학력이 낮은, 종업원이 음식조리자인 경우에 대한 지속적인 위생교육이 필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고, 위생교육 미이수자가 위생지식에 대한 정답률이 높은 것으로 보아 교육내용 방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겠다. 위생수준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조사대상의 83.6%가, 건강진단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조사대상의 78.6%가, 위생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조사대상의 76.4%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위생수준이 미흡한 이유로 영업주의 위생의식이 미흡하여서가 조사대상의 71.6%로 가장 높았고, 개선해야 될 분야에는 업소시설 등 환경위생이 조사대상의 36.7%로 가장 높았다. 위생교육에서 가장 필요한 교육내용으로는 조사대상의 35.7%가 음식의 위생적 품질관리라고 하였고, 29.5%가 전반적인 식품위생의 개요라고 하였으며, 17.7%는 주변환경 및 주방시설의 위생적 취급이라고 응답하였다. 식품위생법 위반시 조사대상의 81.0%는 즉시 시정한다고 응답하였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즉시 시정하겠다는 응답이 많았다. 위생개선을 의해 행정기관에 바라는 점은 조사대상의 73.2%가 시설 및 운영자금지원을 지적하였고, 주기적인 위생교육이 19.3%, 위생공무원의 현지지도가 6.2%였다. 위생실천 실태에서는 위생복 착용률은 31.1%였으며, 조리시에 손을 씻지 않거나 그냥 물로만 씻는 경우가 각각 3.2%, 36.2%였고, 개인위생을 잘 준수한다는 43.7%로서 실천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흡한 식품접객업소의 위생상태 개선을 위해서는 행정기관의 제도적 보완과 금융지원, 영업주의 직업에 대한 자긍심고취, 위생교육기관의 실효성 있는 위생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교육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stimates of the Number of Workers Exposed to Diesel Engine Exhaust in South Korea from 1993 to 2013

  • Choi, Sangjun;Park, Donguk;Kim, Seung Won;Ha, Kwonchul;Jung, Hyejung;Yi, Gwangyong;Koh, Dong-Hee;Park, Deokmook;Sun, Oknam;Uuksulainen, Sanni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7권4호
    • /
    • pp.372-380
    • /
    • 2016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number of workers exposed to diesel engine exhaust (DEE) by industry and year in the Republic of Korea. Method: The estimates of workers potentially exposed to DEE in the Republic of Korea were calculated by industry on the basis of the carcinogen exposure (CAREX) surveillance system. The data on the labor force employed in DEE exposure industries were obtained from the Census on Establishments conducted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rom 1993 to 2013. The mean values of prevalence rates adopted by EU15 countries were used as the primary exposure prevalence rates. We also investigated the exposure prevalence rates and exposure characteristics of DEE in 359 workplaces representing 11 industries. Results: The total number of workers exposed to DEE were estimated as 270,014 in 1993 and 417,034 in 2013 (2.2% of the total labor force). As of 2013, the industry categorized as "Land transport"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workers exposed to DEE with 174,359, followed by "Personal and household services" with 70,298, "Construction" with 45,555,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restaurants and hotels" with 44,005, and "Sanitation and similar services" with 12,584. These five industries, with more than 10,000 workers exposed to DEE, accounted for 83% of the total DEE-exposed workers. Comparing primary prevalence rates used for preliminary estimation among 49 industries, "Metal ore mining" had the highest rate at 52.6%, followed by "Other mining" with 50.0%, and "Land transport" with 23.6%. Conclusion: The DEE prevalence rates we surveyed (1.3-19.8%) were higher than the primary prevalence rates. The most common emission sources of DEE were diesel engine vehicles such as forklifts, trucks, and vans. Our estimated numbers of workers exposed to DEE can be used to identify industries with workers requiring protection from potential exposure to DEE in the Republic of Korea.

Prevalence of MSDs and Postural Risk Assessment in Floor Mopping Activity Through Subjective and Objective Measures

  • Naik, Gouri;Khan, Mohammed Rajik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1권1호
    • /
    • pp.80-87
    • /
    • 2020
  • Background: Residential and commercial cleaning is a part of our daily routine to maintain sanitation around the environment. Health care of professionals involved in such cleaning activities has become a major concern all over the world.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risk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professional cleaners involved in floor mopping task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on 132 mopping professionals using a modified Nordic questionnaire. The Pearson correlation test was implemented to study the association of perceived pain with work experience. The muscle strain and postural risk were evaluated by means of three-channel electromyography and real-time motion capture respectively of 15 professionals during floor mopping. Results: Regarding musculoskeletal injuries, risk was reported majorly in the right hand, lower back, left wrist, right shoulder, left biceps, and right wrist of the workers. Work experience had a low negative association with MSDs in the left wrist, right wrist, right elbow, lower back, and right lower arm (p < 0.01). Surface EMG showed occurrence of higher muscle activity in upper trapezius and biceps brachii (BB) muscles of the dominant hand and flexor carpi radialis and BB muscles of the nondominant hand position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 of the mop rod, respectively. Conclusion: Ergonomic mediations should be executed to lessen the observed risk of musculoskeletal injuries in this professional group of wor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