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nddune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지역개발과 주민생활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충청남도의 비치와 해안사구를 사례로- (The Impact of the Developments and Dwellers on the Beach and Sanddune Characteristics in the Chungcheong-Namdo Province)

  • 강대균
    • 환경영향평가
    • /
    • 제12권4호
    • /
    • pp.291-302
    • /
    • 2003
  • This paper examined the impacts of the regional developments and dwellers behavior on the Seacoast. Seacoast features a variety of landforms which are created by the action of waves and tidal flows. The coastal landforms are found mainly in the interface between land and sea. Although erosional landforms constitute prominent landscape features as sea stack, sea arch, and rock cliff do, it is nonetheless the depositional features such as beaches, tidal flats, offshore bars, deltas, sanddunes, and coastal plains that have various ramifications for human communities. Among these, beaches and coastal sanddunes are special in that their formation is attributable to the combined action of waves, tidal flows, and winds. The main line of discussion in this dissertation is concerned with the transformation of group of beaches sanddunes along the coastline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To some extent, the erosion of coastal dunes has been a global phenomenon. The degradation process occurs most actively when the spring tides attack beaches, berms, and foredunes. Also involved in the transformation of coastal dunes are factors of human agency. The extent, speed, and pattern of their morphological changes are a function of land-use pattern. The reclamation of swale and the exploitation of sands as construction material and silica sand, for example, ruin the feature of coastal dunes.

충남 연안의 경관생태적 지역발전 전략 (Landscape Ecological Approach and the Strategies of Regional Development on South Chung-Chong Coastal Environment)

  • 강대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5-116
    • /
    • 2017
  • This article is written in the viewpoint of landscape ecological geography. The coast of South Chung-chong Province will make new characters of region in the development strategies program. This study is to describe geomorphological landscapes of South Chung-chong Province relating with it's environment based on the coast. Although landforms constitute prominent landscape features as tidal flats and rock cliff do, it is nonetheless the features such as beaches, sanddunes, and coastal plains that have various ramifications for human communities. Tidal flats, beaches and coastal sanddunes are special in that their formation is attributable to the combined action of tidal flows, waves and winds. To some extent, the erosion of sand has been a global phenomenon. Human impact are involved.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and expansion of liberal trade appears in regions variously. Individual regions need to secure its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market. Regions are not value-neutral abstract conception, but must be informal commercialized characters of region. The coast of South Chung-chong Province has experienced rapid and dramatic changes. In industrial times, the middle of west coast Korea turned into a major reclamation at larger scale. Reclaimed land was based on location of industry and mechanized agriculture. The west coast highway and bridges between island and lan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west coast transportation. As information society matured, trend and value are changing. Environment and ecology emphasize and rediscover the value of tidal flats and sanddunes. The west coast region now receives attention as eco-tour and sustainable course.

해안사구의 물질 구설과 플라이스토세층 - 충청남도의 해안을 중심으로 - (The Origin of Coastal Dunesand in the Chungcheongnam-do)

  • 강대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05-517
    • /
    • 2003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서해안에서 해안사구의 발달이 탁월한 충청남도를 선정하여 해안사구의 구성물질이 어디에서 기원하는가를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존의 문헌을 검토하고 예비조사를 거쳐 중점연구지역을 선정한 다음에 각종 자료를 분석하여 지역연구의 바탕으로 삼았다. 우리나라의 서해안은 수심이 얕아서 조차가 크기 때문에 조류의 작용이 활발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태안반도, 안면도와 같이 육지가 바다로 돌출한 지방에서는 파랑의 작용도 활발하여 비치가 나타나고 그 배후에는 해안사구가 발달하였다. 해안사구의 구성물질은 거의 대부분 석영과 장석으로 이루어졌으며 운모, 중광물도 섞여 있다. 사구사는 화강암기원의 것을 제외하면 입도가 아주 작고 원마도가 불량한 것이 특징이다. 이는 모래의 이동거리가 길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해안사구는 고조시에 파랑의 영향을 받아 후퇴한다. 해안사구의 트렌치에서는 플라이스토세층으로 생각되는 적색의 모래층이 관찰되는데, 이 모래층은 빙기의 산물이라고 판단된다.

비인만의 해안사구를 활용한 경관생태적 현장학습 프로그램 개발 (Research of landscape ecological field-trip learning program development for students at BiIn Bay, Seocheon in South Chung-chong coastal environment)

  • 강대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21-131
    • /
    • 2019
  • The coast of BiIn Bay, Seocheon, is the potential site for the field-trip learning program. This article is written in the viewpoint of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is study, it is tried to describe geomorphological landscapes of BiIn Bay Seocheon-gun relating with it's physiognomy, based on the Dasa-ri and Songrim-ri coastal sanddunes and the like. Although landforms like tidal flats and rock cliff constitute prominent landscape features in this area, other features such as beaches, coastal dunes, and coastal plains have various ramifications for human communities. Tidal flats, beaches and coastal dunes are formed by the combined actions of longshore current, tidal flows, waves and winds. To some extent, the erosion of sandy coast has been a global phenomenon. Anthropogenic impacts are involved in the transformation of landform. Most favorable field-trip course of BiIn Bay is from Songrim-ri through Dasa-ri and Shinhap-ri to Maryang-ri. This program about coastal landforms in BiIn Bay will contribute not only for educational meanings but also for satisfying the student' curiosity and interest. Also, this field-trip learning program will be suitable for over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사막화방지(沙漠化防止) 및 방사기술개발(防沙技術開發)에 관한 연구(硏究)(IV) - 중국(中國)의 사구고정(沙丘固定) 및 방사공법분석(防沙工法分析) - (Studies on the Desertification Combating and Sand Industry Development(IV) - Technology Development for Sanddune Fixation and Sandy Land Conservation in China -)

  • 우보명;이경준;최형태;이상호;박주원;왕례선;장극빈;손보평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3호
    • /
    • pp.277-294
    • /
    • 2001
  • 이 연구에서는 지난 3년간 북경임업대학교와 공동연구과제로 중국의 사막화방지 및 방사기술개발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특히 중국의 사구고정 및 방사공법을 조사 분석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사구의 주요 형태에는 관목총사구, 사랑사구, 지상사구, 봉소상사구, 격자상사구, 양설상사구, 초생달사구, 포물선상사구, 초생달사연사구, 초생달사롱, 피라미드상사구, 복합형초생달형사구, 복합형종사롱사구, 돔상사구, 불규칙한 사구 사지 등 매우 다양하다. 이들 사구의 분포비율은 높이 5m이하 13%, 6~10m 17%, 11~25m 18%, 26~50m 14%, 51~100m 28%, 100m 이상 10% 등이다. 중국 건조지역에서 사구의 이동방향은 주로 주풍방향에 따르나 지역 지형 사구의 크기 및 형태 등에 따라서 이동사구형태에 차이가 많다. 사막화지에서 주요 비사방지기술(방사공법)은 생물 생태적 방사공법(식물피복방법 식재에 의한 방법), 물리적 방사공법, 화학적 방사공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생물 생태적 방사공법에는 초생법(봉사육초(封沙育草)), 관목 초생고사법(草生固沙法), 사구간 방사림대, 기간방사림대, 경지방풍림대조성 등이 있고, 물리적 방사공법에는 고방사원(高防沙垣) 및 저방사원 조성, 방사제방, 석력점토피복법 등이 있으며, 화학적 방사공법에는 고화제뿜어붙이기, 유사개량화학역제혼용법 등이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밖에도 관개 침사공법, 비사포착수로 구방사공법(溝防沙工法) 등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제주 김녕-월정 사구의 발달과정에 관하여 (Development of Coastal Sanddunes at Kimnyong-Wolchung Beach in Jejudo)

  • 박경;손일;장은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851-864
    • /
    • 2004
  • 제수도 김녕-월정 해안에 위치한 해안사구는 약 4km의 해안을 따라 내륙으로 약 6km 연장되는 대형 사구이다. 사구의 경계선을 확정하기 위해 항공사진과 랜드샛 영상을 이용한 상세한 지형적인 분석이 이루어 졌으며 질감분석이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또한 두 개의 측선을 따라 해안에서부터 내륙으로 샘플을 습득하고 물리 화학적 분석이 이루어졌다. 현지조사 과정에서 발견된 고토양층은 사구의 발달이 단속적이었음을 말해준다. 제주도의 협재사구에서 이루어진 방사성탄소연대측정 경과는 해안사구가 석회질 퇴적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홀로세 후기에 형성된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