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mple selection bias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5초

기술금융을 위한 부실 가능성 예측 최적 판별모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Discriminant Model Predicting the likelihood of Insolvency for Technology Financing)

  • 성웅현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83-205
    • /
    • 2007
  • 본 연구는 기술력평가에 근거해서 중소기업 부실예측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최적 판별 모형을 개발 제안하였다. 판별모형에 포함될 설명변수는 요인분석과 판별모형의 단계별 선택방법에 의하여 선정되었다. 분석결과 선형판별모형이 로지스틱판별모형보다 임계확률 관점에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적 선형판별모형의 분류 정분류율은 70.4%, 분류 예측력은 67.5%로 나타났다. 최적 선형판별모형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확실 범주와 유보범주를 구분할 수 있는 경계값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를 활용하면 기술금융 취급기관은 부실위험 평가와 더불어 기술금융 신청기업의 순위를 부여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불완전한 자료에 대한 보완기법(EM 알고리듬과 2단계(Two Stage) 모델) (EM Algorithm and Two Stage Model for Incomplete Data)

  • 박경숙
    • 한국인구학
    • /
    • 제21권1호
    • /
    • pp.162-183
    • /
    • 1998
  • 여기서는 많은 수의 비관측사례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표본의 편의(bias) 문제를 탐구한다. 이 연구는 본래 일본 후생성이 1989년 실시한 <가족주기와 가구형태에 대한 인구학적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노인부보와 자녀간 근접성을 분석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그런데 <가족주기와 가구형태에 대한 인구학적 조사>는 노인부모를 대상으로 한 조사가 아니라 전체 가구 일반에 대한 조사이기 때문에 노인부모에 대한 많은 정보를 손상하고 있었다. 또한 본 조사는 가구주를 통하여 가족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가족원에 대한 정보가 완전하지 못하였다. 나아가 비관측사례의 유형을 보면 여러 항목들이 동시적으로 관측되지 않고 있었다. 이와 같이 복합적 메커니즘에서 발생한 비관측 사례는 분석의 편의를 초래할 위험이 크다. 우선, 많은 수의 비관측사례로 표준오차를 잘못 추정할 소지가 크다. 더욱이 사례들이 선택적으로 관측되지 않았다면 관측된 자료에 따른 추정을 심각한 편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상된 자료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추정 편의를 개선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두 가지 기법을 활용하였다. 첫째, 관측치와 공변인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비관측사례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EM 알고리듬을 활용하였다. 둘째, 관찰의 선택성에서 비롯된 추정 편의를 개선하기 위하여 이단계(two stage) 모형을 활용하였다.

  • PDF

관상동맥우회로술의 위험 수준이 병원내사망률 평가 결과에 미친 영향 분석 (Does performing high- or low-risk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bias the assessment of risk-adjusted mortality rates of hospitals?)

  • 이광수;이상일;이정수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87-10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ether nonemergency, isolated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CABG) surgery for high- or low-risk patients biases the assessment of the risk-adjusted mortality rates of hospitals. This study used 2002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for tertiary hospitals in Korea.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959 patients from 23 tertiary hospitals. The risk-adjustment model used the patients' biological, admission, and comorbidity data identified in the claim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high- and low-risk groups based on predicted surgical risk. The crude mortality rates and risk-adjusted mortality rates for low-risk, high-risk, and all patients in a hospital were compared based on the rank and the four intervals defined by quartile. Also, the crude mortality rates of the three groups were compared with their 95% confidence intervals of predicted mortality rates. The C-statistic (0.83) and Hosmer-Lemeshow test ($X^2$=11.47, p=0.18) indicated that the risk-adjustment model performed well. Presenting crude mortality rates with their 95% confidence intervals of predicted rates showed higher agreements among the three groups than using the rank or intervals of mortality rates defined by quartile in the hospital performance assessment. The crude mortality rates for the low-risk patients in 21 of the 23 hospitals were located on the same side of their 95% confidence intervals compared to that for all patients. High-risk patients and all patients differed at only one hospital. In conclusion, the impact of risk selection by hospital on the assessment results was the smallest when comparing the crude inpatient mortality rates of CABG patients with the 95% confidence intervals of predicted mortality rates. Given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quality improvements in Korean health policy, it will be necessary to use the appropriate method of releasing the hospital performance data to the public to minimize any unwanted impact such as risk-based hospital selection.

Meta-analysis of Association Studies of CYP1A1 Genetic Polymorphisms with Digestive Tract Cancers Susceptibility in Chinese

  • Liu, Chang;Jiang, Zheng;Deng, Qian-xi;Zhao, Ya-n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1호
    • /
    • pp.4689-4695
    • /
    • 2014
  • Background: A great number of studies have shown that cytochrome P450 1A1 (CYP1A1) genetic polymorphisms, CYP1A1 Msp I and CYP1A1 Ile/Val, might be risk factors for digestive tract cancers, including esophageal cancer (EC), gastric cancer (GC), hepatic carcinoma (HC), as well as colorectal cancer (CC), but the results are controversial. In this study, a meta-analysis of this literature aimed to clarify associations of CYP1A1 genetic polymorphisms with digestive tract cancers susceptibility in Chinese populations. Materials and Methods: Eligible case-control studies published until December 2013 were retrieved by systematic literature searches from PubMed, Embase, CBM, CNKI and other Chinese databases by two investigators independently. The associated literature was acquired through deliberate search and selection based on established inclusion criteria. Fixed-effects or random-effects models were used to estimate odds ratios (ORs and 95%CIs). The meta-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eview Manager 5.2 and Stata 12.0 softwares with stability evaluated by both stratified and sensitivity analyses. Moreover, sensitivity analysis and publication bias diagnostics confirmed the reliability and stability. Results: Eighteen case-control studies with 1,747 cases and 2,923 controls were selected for CYP1A1 MspI polymorphisms, and twenty case-control studies with 3, 790 cases and 4, 907 controls for the CYP1A1 Ile/Val polymorphisms. Correlation associations between CYP1A1 Ile/Val polymorphisms and digestive tract cancers susceptibility were observed in four genetic models in the meta-analysis (GG vs AA:OR= 2.03, 95%CI =1.52- 2.72; AG vs AA: OR=1.26, 95%CI =1.07-1.48; [GG+AG vs AA] :OR =1.42, 95%CI=1.20-1.68, [GG vs AA+AG]:OR=1.80, 95%CI =1.40-2.31).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CYP1A1 Msp I polymorphisms and digestive tract cancers risk. Subgroup analysis for tumor type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of CYP1A1 Ile/Val genetic polymorphisms with EC in China. However, available data collected by the study failed to reveal remarkable associations of GC or HC with CYP1A1 Ile/Val genetic polymorphisms and EC, GC or CC with CYP1A1 MspI genetic polymorphisms. Conclusions: Our results indicated that CYP1A1 Ile/Val genetic polymorphisms, but not CYP1A1 Msp I polymorphisms, a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digestive tract cancers risk in Chinese populations. Additional well-designed studies, with larger sample size, focusing on different ethnicities and cancer types are now warranted to validate this finding.

경기ㆍ충청지역의 수치 산림입지도를 이용한 주요 수종의 산림생산력 추정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f Site Index by Species in Gyungi and Chungcheong Provinces Using a Digital Forest Site Map)

  • 구교상;김인호;정진현;원형규;신만용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47-254
    • /
    • 2003
  • 본 연구는 수치 산림입지도에서 추출한 28개 입지환경 인자를 사용하여 경기ㆍ충청지역의 몇 가지 주요 수종에 대한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수종별로 4∼5개의 변수에 의하여 개발된 수종별 최적 지위지수 추정식은 결정계수가 0.91 이상으로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이상과 같이 개발된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에 대하여 연구 대상지에서 수집한 수종별 독립자료에 근거하여 모형의 평균 편의, 정도, 표준오차 등의 3가지 평가통계량을 계산한 후 그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으로부터 얻어진 추정치와 실제 지위지수의 평균편의는 낙엽송의 경우 1.82 m로 상대적으로 큰 차이를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의 평가통계량은 낮은 것으로 판명되어 실제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경기ㆍ충청지역의 지위지수 추정식은 사용된 변수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결정계수는 상당히 높았으며, 조사된 실측치와 비교하여 검증한 결과 그 정도(精度)가 비교적 높았다. 따라서 몇 가지의 환경인자 만으로도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수종별 지위지수를 추정할 수 있어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이러한 정보는 앞으로 입지조건에 따른 적지적수 선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앞으로 입지조건에 따른 적지적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수종 외에 다른 주요 수종에 대한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는 작업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아환자를 위한 음악: 무작위 임상연구의 체계적인 문헌고찰 (Music for Pediatric Patients in Medical Setting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이진형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0권2호
    • /
    • pp.1-33
    • /
    • 2013
  • 본 연구는 소아환자대상 최근의 음악치료 및 음악을 사용한 임상연구들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을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13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2000년부터 2012년 사이에 영어로 발표 된 무작위 임상 및 교차설계 연구들을 자료로 수집하였고, 최초 검색 되었던 1023개의 논문 중 선정 및 제외기준에 따라 영어문헌 15건을 선별하였다. 선별 결과 연구 대상자는 1개월에서 만 18세까지의 아동 및 청소년으로 11명에서 150명 까지 표본크기가 다양했으며 전체 연구 참여자는 987명으로 집계되었다. 선별된 연구들은 음악요법 및 음악치료 연구로 분류되어 전반적인 유형, 연구절차와 방법론, 임상접근법, 측정도구 및 연구결과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되었다. 총 7건의 음악요법과 8건의 음악치료로 분류된 연구들은 7개영역의 종속변수를 36종류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는데 음악의 임상적 사용에 있어 음악의 선택, 종류 및 임상접근방법에 큰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연구절차와 방법론의 분석 결과 다수의 연구들이 주요 연구절차에 대한 기술이 충분치 않고 특히 무작위배정(Randomization), 배정순서 은폐(Allocation Concealment), 이중 또는 부분은폐(double or partial blinding) 및 참여자 감소율(Attrition Rate)과 같은 방법론적 표준에 미치지 못함이 도출되었다. 전반적인 연구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거나 긍정적 결과가 보고된 바 있으나, 연구 방법론적 문제들과 임상접근법들의 이질성으로 인해 그 결과가 편향에 의해 오염되거나 신뢰성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음악이 소아 환자들의 신체 및 사회 심리적 필요를 다루는 도구로 임상적 가치가 있음을 제안할 수는 있지만 이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로서는 절차와 접근법이 보다 엄격하고 균일하여 추후 재현이 가능한 연구들이 다수 요구됨을 알 수 있다.

가상 커뮤니티에서 사회적 자본과 정체성이 지식기여에 미치는 역할: 실증적 분석 (The Role of Social Capital and Identity in Knowledge Contribution in Virtual Communities: An Empirical Investigation)

  • 신호경;김경규;이은곤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2권3호
    • /
    • pp.53-74
    • /
    • 2012
  • A challenge in fostering virtual communities is the continuous supply of knowledge, namely members' willingness to contribute knowledge to their communities. Previous research argues that giving away knowledge eventually causes the possessors of that knowledge to lose their unique value to others, benefiting all except the contributor. Furthermore, communication within virtual communities involves a large number of participants with different social backgrounds and perspectives. The establishment of mutual understanding to comprehend conversations and foster knowledge contribution in virtual communities is inevitably more difficult than face-to-face communication in a small group. In spite of these arguments, evidence suggests that individuals in virtual communities do engage in social behaviors such as knowledge contributi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y individuals provide their valuable knowledge to other community members without a guarantee of returns. In virtual communities, knowledge is inherently rooted in individual members' experiences and expertise. This personal nature of knowledge requires social interactions between virtual community members for knowledge transfer. This study employs the social capital theory in order to account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factors and identity theory for individual and group factors that may affect knowledge contribution. First, social capital is the relationship capital which is embedded with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articipants in a network and available for use when it is needed. Social capital is a productive resource, facilitating individuals' actions for attainment. Nahapiet and Ghoshal (1997) identify three dimensions of social capital and explain theoretically how these dimensions affect the exchange of knowledge. Thus, social capital would be relevant to knowledge contribution in virtual communities. Second, existing research has addressed the importance of identity in facilitating knowledge contribution in a virtual context. Identity in virtual communities has been described as playing a vital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personal reputations and in the recognition of others. For instance, reputation systems that rate participants in terms of the quality of their contributions provide a readily available inventory of experts to knowledge seekers. Despite the growing interest in identities, however, there is little empirical research about how identities in the communities influence knowledge contribution.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better understand knowledge contribution by examining the roles of social capital and identity in virtual communities. Based on a theoretical framework of social capital and identity theory, we develop and test a theoretical model and evaluate our hypotheses. Specifically, we propose three variables such as cohesiveness, reciprocity, and commitment, referring to the social capital theory, as antecedents of knowledge contribution in virtual communities. We further posit that members with a strong identity (self-presentation and group identification) contribute more knowledge to virtual communities. We conducted a field study in order to validate our research model. We collected data from 192 members of virtual communities and used the PLS method to analyse the data. The tests of the measurement model confirm that our data set has appropriate discriminant and convergent validity. The results of testing the structural model show that cohesion, reciprocity, and self-presentation significantly influence knowledge contribution, while commitment and group identification do not significantly influence knowledge contribution. Our findings on cohesion and reciprocity a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literature. Contrary to our expectations, commitmen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knowledge contribution in virtual communities. This result may be due to the fact that knowledge contribution was voluntary in the virtual communities in our sample. Another plausible explanation for this result may be the self-selection bias for the survey respondents, who are more likely to contribute their knowledge to virtual communi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presentation and knowledge contribu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virtual communities, supporting the results of prior literature. Group identific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knowledge contribution in this study, inconsistent with the wealth of research that identifies group identification as an important factor for knowledge sharing. This conflicting result calls for future research that examines the role of group identification in knowledge contribution in virtual communities. This study makes a contribution to theory development in the area of knowledge management in general and virtual communities in particular. For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y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individual factors would be effective for motivating knowledge contribution to virtual communities.

  • PDF

한국 기업의 기술혁신 지속 특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innovation persistence of Korean firms)

  • 송창현;이정우;장필성
    • 기술혁신연구
    • /
    • 제29권3호
    • /
    • pp.1-31
    • /
    • 2021
  • 기업의 경쟁우위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서 기술혁신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혁신의 지속 여부 또한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혁신 지속(innovation persistence)은 기업의 혁신이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혁신 연구에 사용되는 자료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횡단면 조사로 수행됨에 따라 종단적인 지속 현상을 다룬 연구는 드문 편이며, 특히 국내의 혁신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혁신 지속 현상을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기업의 혁신 지속에 대한 개념과 특징을 고찰하는 한편, 우리나라 기업의 기술혁신 지속 현황 및 특성에 대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2년부터 2018년까지 격년으로 수행된 한국기업혁신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복수관측된 3,379개 기업에 대한 불균형 패널자료를 구성하였다. 기술혁신의 지속 현상을 살펴본 결과, 지속적인 혁신이 관측되는 기업은 전체 중 일부(혁신성과에서는 10~12%, 혁신활동에서는 15~17%)에 불과하였으며, 오히려 비혁신의 지속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약 52~57%). 또한 혁신성과보다는 혁신활동의 지속 현상이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외에도 제품혁신이 공정혁신보다, 내부 R&D가 공동/외부 R&D보다 지속성이 높게 나타나는 등 세부 유형에 따른 지속 현상의 특징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혁신 지속의 영향요인 식별을 위해 추가적으로 로짓분석을 수행한 결과, 급진적 혹은 점진적 제품혁신이 다음 시기에서 혁신이 지속되게 하는 가장 영향력 높은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패널자료는 원시자료의 한계로 인해 표본 선택 편의가 존재하기 때문에, 분석 결과의 지나친 일반화는 경계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혁신 지속 현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초기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후속 연구의 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공식적인 패널자료의 구축 및 개선된 방법론 등을 통해, 혁신 지속 관련 발전된 연구 결과가 도출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