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ed Chinese cabbage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46초

절임 방법에 따른 배추 조직 및 염도 변화 (Changes in the Texture and Salt Content of Chinese Cabbage Using Different Salting Methods)

  • 이명기;양혜정;우하나;이영경;문성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1184-1188
    • /
    • 2011
  • 낮은 염 농도로 절임배추를 제조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전통적인 누름 방식, 감압처리 및 증기 투과 후 절임한 배추 처리구를 각각 제조하여 조직 강도 및 염도를 측정한 결과, 누름방식과 감압절임은 그 세기가 클수록 삼투현상이 상대적으로 활발해져 기계적 조직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배추 겉 표면의 뚫림 시간이 증가하였으며, 증기처리의 경우 100$^{\circ}C$에서 1분 투과 시 절임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하여 15$^{\circ}C$ 저장환경에서 배추와 천일염 6% 염수를 1:1.5 비율로 혼합하여 6시간 절임 시 1.35 $kg{\cdot}f/cm^2$의 힘을 가하거나, 250 mmHg로 감압 또는 100$^{\circ}C$에서 1분간 증기 처리한 후 절임하면 절임배추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실험결과에 따라 염 첨가량과 절임시간을 낮춰 조절하면 저염 절임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김치류 및 절임류의 표준화에 관한 조사연구(調査硏究)(3) (Standardization of Kimchi and Related Products (3))

  • 최선규;황성연;조재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31-548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andardization of kimchi and related products. There are about 339 kinds of kimchi and related products in Korea. Half of those various kimchi was 50% of the total products, and the other groups are in the order of Jangachi (high salted vegetable pickles, Saengchae (a salad type kimchi), Kakduki(reddish kimchi), Keotjulyi(nonfemented kimchi), Pickles, Seobakji (kimchi based on raddish, fish and other ingredients) and Shickgae (lactic fermented fish products). About 200 ingredients (chinese cabbage, raddish, cucumber, other vegetables, fruits, seaweeds, fish, meat etc.) were used for those products. Tongbaechu kimchi (whole headded chinese cabbage kimchi) and Possam kimchi (wraped kimchi with chinese cabbage leaves) were made by about 30 ingredients, respectively. Kakduki, Oyster-kakduki, Chonkak kimchi (kimchi based on small raddish with leaves) and Tongchimi (raddish kimchi with brine soup) were made by raddish and more than 10 ingredients, but the subsidiary ingerdients were less than that of chinese cabbage kimchi. Other products such as Yulmu kimchi and Oisobaki (a cucmber kimchi) were also dicussed.

  • PDF

감압하에서 배추의 소금절임 (Salting of Chinese Cabbage under Sub-atmosphere)

  • 정자림;김미정;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9-106
    • /
    • 1993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levate the efficiency of salting with low salt concentr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alted Chinese cabbage. The efficiency of salting was tested with various sub-atmosphere(760mmHg to 0mmHg), temperature(20$^{\circ}C$ and 30$^{\circ}C$), and concentration of salt(3%, 5% and 10%). The salting efficiency was estimated by amounts of juice, calcium elution, sodium penetration and the state of tissue. The amunts of juice eleuted from Chinese cabbag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decrease of atmosphere and the time to reach the highest amounts was reduced. This tendency was promoted, with increase of salinigy(from 3% to 10%)and the increase of temperature(more juice at 30$^{\circ}C$ than 20$^{\circ}C$). The amounts of eluted calcium from Chinese cabbage tissue during salting under sub-atmosphere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amounts of juice and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penetrated sodium. The salting time was reduced with elevation of sub-atmosphere. It was desirable to take between 5.5 and 9 hours to salt under the condition of 3% of salting, 20$^{\circ}C$, and 560-0mmHg. It took between 4.4 and 5 hours under 5% of salt and between 4 and 4.5 hours under 10% of salt. However, it was undesirable because the drying phenomenon and the transparency of tissue appeared under 30$^{\circ}C$ and 160-0mmHg.

  • PDF

배추김치의 재료배합비 표준화 (Standardization of Ingredient Ratios of Chinese Cabbage Kimchi)

  • 조은주;박건영;이숙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228-1235
    • /
    • 1997
  • 문헌을 이용한 표준화 배추 김치의 배합비를 표준 값으로 하고 표준편차 만큼의 양을 가감하여 관능검사 및 이화학적 실험과 기능성 실험으로 항돌연변이성과 항암성을 평가하여 배추김치의 재료배합비를 표준화하였다. 절인 배추 100에 대해 무 13.0, 파 2.0, 설탕 1.0, 고춧가루 3.5, 마늘 1.4, 생강 0.6, 멸치액젓 2.2, 염도 2.5% 또는 2.7%로 조절한 배추김치의 경우가 관능검사에서 주관적인 평가항목인 종합적인 냄새, 향미, 질감과 종합적인 평가에 있어서 좋았고, 객관적 평가항목인 군덕내, 군덕맛이 적게 감지되었으며, 이화학적 실험결과 및 재료배합비에 따른 $AFB_1$의 항돌연변이성과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모든 김치 시료에서 높은 항돌연변이효과와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보였고, 특히 표준화 배추김치의 즙액은 84%의 항돌연변이 효과와 80%이상의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보여 관능성과 기능성의 연을 고려해 볼때 가장 적절한 배추김치의 표준화를 위한 재료배합비는 절인 배추 100g에 대해 무 13.0 g, 파 2.0 g, 설탕 1.0 g, 고춧가루 3.5 g, 마늘 1.4 g, 생강 0.6 g, 멸치 액젓 2.2 g, 염도 2.5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문헌을 통한 표준화의 재료배합비 중 최종염도만 2.7에서 2.5로 변한 것 외에는 일치하였다.

  • PDF

직냉식 냉장고의 과냉각 저장을 위한 항온 특성 개선 연구 (Improvement of Temperature Constancy of Direct Refrigerator for Supercooled Storage)

  • 김진세;남소영;정현경;손재용;최동수;김용훈;이수장;박천완;김하윤;박석호
    • 산업식품공학
    • /
    • 제23권4호
    • /
    • pp.270-277
    • /
    • 2019
  • 0℃로 설정 시 최저온도 -9℃ 최고온도 1℃로 온도편차가 10℃ 발생하는 직냉식 냉장고 내부에 단열재와 전도체를 배치하여 온도편차를 목표온도에서 ±0.3℃ 이내로 유지하는 조건을 이론적으로 계산하였고, 상용 판매되는 직냉식 냉장고에 적용하여 효과를 확인하였다. 항온 특성이 개선된 직냉식 냉장고에 -2℃의 과냉각 상태로 절임배추를 저장할 경우 2℃의 저온저장 대비 유산균과 효모의 증식이 완화되었고, 유산균의 먹이가 되는 환원당도 높게 유지되었다. -2℃ 과냉각으로 절임배추를 저장할 때 발효가 지연되는 효과가 나타났기 때문에, 김치를 저장할 경우에도 발효 지연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상용 직냉식 냉장고를 단열재와 전도체의 추가만으로 경제적으로 항온냉장고로 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산업적인 활용이 기대된다.

구소련(독립국가연합) 거주 한인들의 김치 이용 실태에 관한 조사(III) -김치재료- (A Research on Kimchi Culture for Koreans in CIS(III) -Materials of Kimchi-)

  • 김영숙;이경임;신애숙;김영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6-74
    • /
    • 1998
  • To investigate the materials in the preparation of kimchi for Koreans in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CIS) a survey was completed by 199 Koreans living in Moscow, Sahalin, Uzbekistan and Jazahstan, In the way to purvey the materials of Kimchi, the frequency to get all the materials of Kimchi in the markets is 74.7% on the whole and by regional groups the frequency is relatively high in Moscow and Kazahstan, For the main ingredients most respondents use Chinese cabbage, cabbage, or turnips. In general Chinese cabbage is used most, But the respondents who live in Moxcow and Kazahstan. For the main ingredients most respondents use Chinese cabbage, cabbage, or turnips. In general Chinese cabbage is used most, But the respondents who live in Moscow and Kazahstan. 쫴 are younger, or belong to higher emigrant generation, prefer cabbage kimchi. For the additional vegetables many respondents use carrots. For the seasonings, garlic, red pepper powder, and salt are added to Kimchi, but the use of ginger, whole seasame seed, and waxy rice paste is relatively low. The coriander, which is not added to kimchi in Korea, is used in Kimchi By above 80% of the respondents living in the three regions except Sahalin. It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effect of the western dining cultural area. For the animal materials, 74.4% of the respondents add lightly salted fish to Kimchi and all toe respondents in Sahalin add salt-fermented sea food, the kind of which is mainly salt-fermented croaker. The reasons given for not adding salt-fermented seafood to Kimchi in the three regions except Sahalin, 59.9% of the respondents said it was because of the difficulty to purvey, 21.1% because of the fishy taste, and 16.8% because of not considering the addition of self-fermented sea food in Kimchi. The higher the emigrant generation of respondents, the less seasonings of strong flavor like garlic, red pepper powder, and salt-fermented sea food are used, and the more coriander is used. In the salting of Kimchi preparation, 97.8% of the respondents salt the main vegetables by soaking in brine and its concentration is controlled by experience.

  • PDF

절임 배추의 세척 조건에 따른 김치의 숙성중 품질 변화 (Effect of Washing Conditions in Salted Chinese Cabbage on the Quality of Kimchi)

  • 박우포;박규동;김종현;조용범;이미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0-34
    • /
    • 2000
  • 김치의 저장성을 연장하기 위한 시도의 하나로 1,000 ppm 농도의 자몽종자추출물(grapefruit seed extrtact, GFSE)과 구연산 용액에 절임 배추를 각각 씻어서 김치를 담근 다음 숙성시키면서 품질 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GFSE 및 구연산에 세척한 배추로 담근 김치는 대조구에 비하여 pH 저하 및 적정산도의 증가가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숙성 기간의 연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원장은 GFSE로 처리한 시험구가 숙성 20일까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어 발효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GFSE를 처리한 시험구는 숙성 10일까지 대조구에 비하여 총균수 및 유산균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구연산 처리구는 대조구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 PDF

포장방법을 달리한 절임배추의 장기저장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Salted Baechu with Packaging Methods during Long Term Storage)

  • 한응수;석문식;박지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307-1311
    • /
    • 1998
  • 절임배추의 장기저장에 적합한 포장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해남산 월동배추를 절여서 20 kg씩 대형으로 포장하여 $0^{\circ}C$ 저온저장고에서 8주간 저장하면서 절임배추의 염도, pH, 환원당함량, 총균수, 유산균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플라스틱 상자에 포장하여 덮개를 덮은 것이 가장 빠르게 변질되었고, LDPE로 포장한 것이 품질이 가장 잘 유지되었으며, HDPE 포장은 LDPE보다 약간 빠르게 변화하였는데, 모든 포장구에서 즙액에 잠긴 부분은 품질이 6주이상 양호하였으나 잠기지 않은 부분이 초기부터 빠르게 변질되었으므로, 절임배추는 즙액에 잠기도록 포장하는 것이 품질유지에 아주 중요하였다.

  • PDF

김치용 배추 절임 염수의 재사용 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Brine Recycling on Salting of Chinese Cabbage for Kimchi Preparation)

  • 신동화;홍재식;오진아;안용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5-29
    • /
    • 2000
  • 김치 공장에서 배추 절임시 사용하는 염수의 재사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염지 후 배출되는 염수의 염농도를 재조정하여 6회까지 재 사용하면서 염수의 성분과 미생물 변화 및 매회 절임 배추로 담근 김치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배추 절임 후 염수의 염 농도는 1.35~2.49%감소하였고 재 사용횟수에 따라 절임 후 염수의 pH는 4회까지 유의적 변화를 보였고 절임 전 염수의 pH는 4회 까지는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으며 산도도 절임 횟수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염수 중 미생물수는 1회 사용시 1.58$\times$10에서 4회 사용시 2.25$\times$$10^{7}$ 으로 최고에 달하여 10배정도 상승하였다. 염수 중 염을 제외한 순 가용성 고형분은 6회 사용시 0.93%로 미미하게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비타민 C함량은 6회사용 후 0.55 mg%로 재사용 횟수에 따라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6회까지 염수를 재 사용하여 절임한 배추로 담근 김치의 pH와 산도, 그리고 관능적 품질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아 염수의 재 사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김치의 역사적 관찰 (Historical Review of Kimchi)

  • 조제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93-108
    • /
    • 1994
  • Kmich is the traditional vegetable fermented food. Like other traditional foods. it was not known when the kimchi was first processed. In the chinese historical litera tures, Salt and varlous vegetables were used in Korea from the time of kokuryo and shila Dynasty. Brined vegetable product might be therefore, processed at that time for the winter. But the product was highly salted and any seasonings were not added at all. Chinese cabbage and ned pepper were used for kimchi processing in 15-16 centureis. Vanious type of Kimchi simllar to present products were processed thereaf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