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fermented shrimp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5초

새우젓 숙성중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이 N-Nitrosamin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itrite and Ascorbic acid on N-Nitrosamine Formation during the Fermentation of Salt-fermented Small Shrimp)

  • 김정균;이수정;성낙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3-70
    • /
    • 1998
  • 새우에 일정량의 식염, 아질산염, 질산염 및 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하여 숙성시키면서, NA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담금직후 8.1에서 숙성 110일 후 6.5로 산성화되었다. TMAO 질소는 숙성중 감소한 반면, TMA 및 DMA질소는 증가하였다. 아질산염 첨가구는 숙성중 NDMA함량이 증가하였고, 아스코르브 산첨가구는 NDMA생성이 억제되었다. 모델계실험 결과, 새우젓의 니트로소화 최적 pH는 3.5이었고, 아스코르브산은 NDMA생성을 크게 억제시킨 반면 thiocyanate는 촉진시켰다. 본 실험 결과, 새우젓 자체에는 NDMA가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질산염이나 아질산염의 함량이 많은 물질과 함께 섭취된다면 위내에서 NDMA가 생성될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시판 새우젓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Salrt-Fermented Shrimp)

  • 황종현;김진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60-763
    • /
    • 2001
  • 시판되는 새우젓의 새로운 기능성 지표를 제시하고자 단백분해효소의 활성 및 키토산 분해활성 등을 측정하였다. 시판 되는 새우젓의 염도를 측정한 결과. 29.8~48.3%로 제품에 따라 최대 19% 정도의 염도 차이를 보였다. 총질소량은 3510.5 ~7314.1 mg/100g 으로 A시료가 7314.1 mg/100 g으로 가장 높은 총질소 함량을 보인 반면 D 시료는 3510.5 mg/100 g으로 비교적 낮은 총질소 함량을 보였다. 아미노태 질소량은 321.2~723.9 mg/100g으로 총질소 함량이 가장 낮았던 D시료가 아미노태 질소 함량이 낮았다. 5개 시판 새우젓의 평균 펩타이드 길이(average peptide length: APL)는 10.1~15.0이었다. 휘발성 염기질소는 14.1~98.6mg/100g 으로 D시료에서 가장 높은 98.6mg%의 함량을 보였다.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은 18~232 unit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C번 시료의 단백질 분해 효소 활성이 232 unit로 가장 높은 효소활성을 보였다. Chitinase 활성은 14.4~171 unit의 활성을 보였으며 E번 새우젓이 171 unit로 가장 높은 효소 활성을 보였다.

  • PDF

저염 새우젓 제조를 위한 최적 숙성직전의 감마선 조사시 화학적 품질변화 (Changes of Chemical Properties in Processing of Low Salted and Fermented Shrimp Using Gamma Irradiation immediately before Optimum Fermentation)

  • 이경행;안현주;이철호;김영지;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051-1057
    • /
    • 2000
  • 관능적 품질이 우수하고 저장성을 향상시킨 저염 새우젓 개발을 위해 감마선 조사기술을 이용하였다. 식염농도를 15% 및 20%로 조절한 새우젓을 제조하여 $15^{\circ}C$에서 발효시키면서, 최적 숙성기에 도달하기 직전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이 400mg% 수준에서 5 kGy 및 10 kGy 선량의 감마선을 조사하였으며, 대조구로는 30% 식염농도의 새우젓을 제조하여 저장기간 동안 화학적 품질을 평가하였다. 최적 숙성직전 감마선을 조사한 결과, 감마선 조사직후 아미노태 질소, 휘발성 염기태 질소, trimethylamine 및 효소활성은 감마선 조사에 의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기간에 따른 성분의 변화는 식염함량 및 감마선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낮았으며, 효소활성은 발효 4∼5주까지 계속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으로 대조구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15% 식염과 10 kGy의 감마선 조사 및 20% 식염과 5 kGy 이상의 감마선을 최적 숙성직전 조사한 새우젓의 경우 젓갈의 화학적 품질지표인 아미노태 질소, 휘발성 염기태 질소, trimethylamine 함량 및 단백질분해 효소활성이 30% 고염농도인 대조구와 비슷한 수준으로, 발효기간 동안 적정수준의 함량 및 활성을 나타내어 양호한 품질특성을 보였다.

  • PDF

유통 중인 새우젓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및 안전성 평가 (Assessment of Microbial Contamination and Safety of Commercial Shrimp Jeotgal (Salt Fermented Shrimp))

  • 하지형;문은숙;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5-109
    • /
    • 2007
  • 본 연구는 젓갈류 식품 중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는 새우젓의 미생물 오염도 및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재래시장(3곳), 백화점(3곳), 대형할인마트(3곳) 총 9곳에서 구입한 16개 제품을 대상으로 총호기성균, 대장균군, S. aureus의 오염도와 식염 및 중금속(Pb) 함량을 조사하였다. 총호기 성균의 오염수준은 평균 $3.35log_{10}CFU/g$를 나타냈고, 판매유형별로 비교하면 재래시장이 평균 $3.71log_{10}CFU/g$로 가장 높았으며, 백화점이 $3.16log_{10}CFU/g$, 대형할인마트가 $2.84log_{10}CFU/g$ 순으로 나타났다. 대장균군 오염수준은 16개 제품 중 8개(50%) 제품에서 양성반응을 보였고 S. aureus는 모든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식염의 함량은 평균 $23.8%(17,9{\sim}28.3%)$로 나타났으며 중금속(Pb)은 단 1개의 제품에서 기준치 이하인 0.02ppm이 검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새우젓의 위생 상태는 양호한 편이나 판매유형별로 비교할 때 재래시장의 위생적 관리제도가 취약함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면서 젓갈류에 대해서도 HACCP 수준의 위생관리 필요성을 입증하였다.

초고압처리에 의한 새우젓의 미생물변화 (Microbial Changes of Salted and Fermented Shrimp by High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

  • 목철균;송기태;이상기;박종현;우건조;임상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49-355
    • /
    • 2000
  • 열처리에 의한 식품의 성분변화를 줄이기 위한 비열처리 공법 중 하나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초고압처리를 적용하여 새우젓의 저장성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염농도를 달리하여 $20^{\circ}C$에서 6주간 발효시켜 제조한 새우젓의 미생물 수는 염농도 18%에서 가장 높은 미생물 수를 보였으며 일반세균 수는 $3.4{\times}10^5\;CFU/g$, 호염성 세균 수는 $6.4{\times}10^4\;CFU/g$, 효모 수는 $4.2{\times}10^5\;CFU/g$, 호염성 효모 수는 $3.0{\times}10^4\;CFU/g$이었다. 새우젓을 초고압 살균시 압력과 처리시간이 증가할수록 살균효과가 증가되었으며 사멸패턴은 1차반응으로 확인되었다. 염농도 8%와 18% 새우젓에서 $k_p$값은 호염성 세균이 일반세균에 비하여 낮은 값을 보였다. 또한 처리압력에 따라 $log(k_p)$는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회귀직선의 기울기는 일반세균보다 호염성 세균이 큰 기울기 값을 보여 호염성 세균의 압력에 의한 사멸속도상수의 변화가 일반세균에 비하여 큰 것으로 나타났다. 초고압 공정은 저염발효 새우젓의 살균에 응용될 수 있었으며 최적 처리조건은 6,500기압에서 10분간 처리하는 것이었다.

  • PDF

새우가공부산물을 이용한 속성 멸치액젓의 제조 (Preparation of Accelerated Salt-fermented Anchovy Sauce Added with Shrimp Byproducts)

  • 김혜숙;양수경;박찬호;한병욱;강경태;지승길;서윤언;허민수;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1265-1273
    • /
    • 2005
  • 새우 가공부산물(두부, 갑각 및 꼬리)을 이용한 멸치 액젓의 발효기간 단축 및 기호성 개선에 의한 고품질의 속성 멸치 액젓을 제조할 목적으로 새우 가공부산물을 마쇄 하고, 이를 멸치 마쇄물에 0$ \%$, 10$\%$, 20$\%$ 및 30$\%$를 각각 첨가한 다음 숙성 중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 효소학적 특성 및 수율 등을 검토하였으며, 아울러 이를 토대로 최적 숙성기간 및 첨가량의 구명을 시도하였다 새우 가공부산물의 첨가량에 관계없이 숙성 중 수분함량 및 pH의 경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조단백질 함량, 휘발성염기질소 함량, 갈변도 및 수율의 경우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염도의 경우 거의 변화가 없었다. 아미노질소 및 아미 노질소/총질소는 숙성 중 새우 가공부산물 0$\%$ 및 10$\%$ 첨가 제품의 경우 270일째까지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새우 가공부산물 20$\%$ 및 30$ \%$ 첨가 제품의 경우 180일째까지 급격히 증가한 후 거의 변화가 없었다. 액젓 중의 endoprotease와 exoprotease 활성 및 gel filtration의 결과,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멸치액젓은 저분자화 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새우 가공부산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현저하였다. 새우 가공부산물 첨가 멸치액젓의 최적 숙성기는 무첨가 및 10$\%$ 첨가 제품의 경우 270일, 20$\%$ 및 30$\%$첨가 제품의 경우 180일로 판단되어, 새우 가공부산물의 경우 멸치액젓의 제조시 발효촉진제로 사용 가능하리라 판단되었다.

감마선 이용 저염 새우젓 제조시 화학성분의 변화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Changes of Chemical Compounds in the Processing of Fermented Shrimp with Law Salt)

  • 안현주;이경행;이철호;차보숙;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29-634
    • /
    • 2000
  • 저 염 세우젓을 제조하기 위하여 식염농도를 각각 10%, 15% 및 20%로 조절한 새우젓에 감마 선을 조사한 후 15$^{\circ}C$에서 발효시키면서 아미노태 질소, 휘발성 염기태 질소, trimethylamine 및 단백질분해효소의 할성변화를 조사하였다. 감마선 조사직후 아미노태 질소, 휘발성 염기 태 질소, trimethylamine 함량 및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은 감마선 조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기간 동안 아미노태 질소, 휘발성 염기태 질소 및 trimethylamine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효소활성은 발효 4~5주까지 계속 증가하다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15% 식염첨가와 10kGy의 감마선 조사 및 20% 식염첨가와 5~7.5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를 병용처리한 새우젓의 경우, 30% 식염성 염기태 질소, trimethylamine 함량 및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이 비슷한 수준으로 발혀기간 동안 적정 수준 의 함량 및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새우젓 저장 유통 중 위해 미생물학적인 안전성 연구 (Microbiological Safety of Commercial Salt-fermented Shrimp during Storage)

  • 오상희;허옥순;방옥균;장해춘;신현수;김미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507-513
    • /
    • 2004
  • 시판 새우젓의 미생물학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총균수는 기업 새우젓과 재래 새우젓이 각각 $10^{2}-10^{4}\;CFU/g,\;10^{1}-10^{6}\;CFU/g$으로 나타났다. 시판새우젓에서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은 제품, $10^{1}-10^{2}\;CFU/g,\;10^{3}-10^{4}\;CFU/g$ 수준의 제품이 재래 새우젓은 전체 25제품 중 각각 1개, 8개, 8개였으며, 기업 새우젓은 전체 8제품 중 각각 3개, 4개, 1개 제품이었다. 비브리오균은 전체 25개 제품 중 10개 제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나머지 제품에서는 $10^{1}-10^{3}\;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이들 검출된 미생물을 생화학적 특성과 API system을 통해 동정한 결과 병원성 미생물은 분리되지 않았다. 또한, 시판 새우젓과 염농도를 9. 18, 27%로 달리하여 제조한 새우젓에 Salmonella sp., Escherichia coli O26, Staphylococcus aureus를 접종하여 생육을 평가한 결과 숙성이 완료되어 시판되는 새우젓에 접종하였을 경우에는 15일 이내에 모두 사멸하였으며, 제조 직후 숙성되기 전에 접종하였을 경우에는 숙성기간인 90일 이내에 모두 사멸하였다.

새우젓 첨자 수준에 따른 김치의 저장중 특성 변화 (Effects of Level of Salted Shrimp on the Characteristics of Kimchi during Storage)

  • 신명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93-200
    • /
    • 199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level of salted shrimp on the characteristics of kimchi fermented at 2$0^{\circ}C$ for one day and then stored at 4$^{\circ}C$ for 3 or 6 days. The sensory characteristics, pH, total acidity and salt content of kimchi, prepared to have an equal intensity of salty taste, with three levels of salted shrimp and NaCl, were measured.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also was used to examine the firmness of kimchi. As the level of salted shrimp and storage periods increased, intensity of translucency, sour odor, carbonic mouthfeel, toughness and sour taste of kimchi increased while firmness and crispness decreas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 among the kimchies. However, total acidity of kimchi increased as the level of salted shrimp increased and the storage period was extended.

  • PDF

김치 및 젓갈류의 인공소화시 N-Nitrosamine의 생성 (The Formation of N-Nitrosamine in Kimchi and Salt-fermented Fish Under Simulated Gastric Digestion)

  • 김경란;신정혜;이수정;강현희;김형식;성낙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4-100
    • /
    • 2002
  • 본 실험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널리 애용되고 있는 전통 발효식품인 김치와 젓갈류 중의 NA와 전구물질의 함량을 분석하고 인공타액 및 위액을 혼합하여 in vitro상에서 소화시킴에 따라 이들 식품의 섭취 후 체내에서 생성될 수 있는 NA의 함량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질산염은 김치에서 10.7~24 mg/kg, 멸치젓에서 1.5~5.6 mg/kg, 새우젓에서 1.0~2.0 mg/kg 아질산염은 모든 시료에서 평균 0.3 mg/kg이 검출되었다. DMA는 새우젓에서 함량차가 매우 커 30.3~177.9 mg/kg의 범위였고, TMA는 김치에서 0.6~0.8 mg/kg, 멸치젓에서 1.9~2.8 mg/kg, 새우젓에서는 4.4~2l.3 mg/kg으로 정량되었다. NA를 분석한 결과 NDMA가 김치에서 0.8~6.9 $\mu\textrm{g}$/kg, 멸치젓에서 불검출~l.2 $\mu\textrm{g}$/kg, 새우젓에서는 불검출~0.9 $\mu\textrm{g}$/kg의 범위로 검출되었고, 인공소화시킨 후에는 모든 시료에서 약 1.5배 증가하였다. 각 시료에 아질산염을 첨가하여 인공소화시킨 경우 모든 시료에서 무첨가군에 비하여 아질산염의 농도에 비례하여 NDMA의 생성량이 증가하였는데, 특히 새우젓에서는 8mM의 아질산염 첨가시 NDMA는 183배 증가하여 220.9 $\mu\textrm{g}$/kg이 검출되었다. 인공타액에 thiocyanate를 1.6, 3.2, 6.4mM 농도로 가하여 인공소화시킨 결과 무첨가구에 비해 NDMA생성량은 약 1.5배 증가하였고 아스코르브산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인공소화시킬 경우 NDMA생성량은 아스코르브산의 농도와 반비례하였고 12.8 mM첨가시 김치는 92.4% 멸치젓과 새우젓은 각각 50.0%, 82.46%의 생성억제 효과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