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 wedge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32초

낙동강 하구의 염수운동 (Saline Water Movement In The Estuary Of The Nakdong River)

  • 장선덕;유청노;이문옥;이재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1-37
    • /
    • 1981
  • 우리나라 남동부의 광범한 유역을 따라 흐르는 낙동강은 국내에서 가장 긴 하천의 하나로서 영남지역을 굽이쳐 흐르다가 부산 앞바다를 통하여 대한해협에 유입한다. 이 강의 하구는 유역주민의 생활 및 산업용수원으로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산업입지 및 자연환경 보전문제로서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낙동강은 하구로부터 약 40km상류까지 상향류를 보이며, 약 60km상류까지 조석의 영향을 받는 감조하천으로서 (유 장 1979), 하구역에는 해수, 하천의 담수 및 양자의 혼합수가 조석의 간만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유출되기도 하고 유입되기도 한다.

  • PDF

하구언 갑문폐쇄 후 금강하구의 물리, 퇴적학적 특성변화 (Physical and Sedimentological Changes in the Keum Estuary after the Gate-Close of Keum River Weir)

  • 최진용;최현용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62-270
    • /
    • 1995
  • 금강 하구언 갑문의 폐쇄에 따른 금강하구의 물리, 퇴적학적 특성변화를 살펴 보 았다. 갑문쇄 이후 최대조류 유속은 갑문개방 시기에 비하여 약 30-40% 감소하였다. 또한 금강하구의 수괴유동이 둔화되어, 염분 및 수괴투명도의 수직적 성충(vertical stratification)이 형성되었다. 이에 따라 금강하구는 갑문개방기의 완전혼합형 (wellmixed type) 하구로부터 갑문쇄 이후에는 부분혼합형(partially-mixed type) 또 는 염쇄기형(salt-wedge type)하구로 변이하였다. 갑문이후 부유물함량은 표층에서 1 0∼100 mg/l의 범위로 측정되어, 갑문개방기에 비하여 약 1/4∼1/3의 수준으로 뚜렷하 게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부유물함량의 감소경향은 첫째 조류유속이 감소하여 해저퇴 적물의 저층재부유 현상이 감소하였고, 둘째 수괴의 수직적성층이 형성되어 저층 혼탁 수의 상부확산이 둔화되었기 때문으로 변이하였고, 세립질 부유퇴적물의 퇴적작용이 보다 활발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중-동 제주 수역의 지하수 개발로 인한 해수침투 (Seawater Intrusion due to Ground Water Developments in Eastern and Central Cheju Watersheds)

  • 박남식;이용두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13
    • /
    • 1997
  • 제주도는 예상되는 물 부족분을 충당하기 위하여 대규모 지하수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효율적인 지하수 자원의 관리를 위해서는 개발에 대한 영향평가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제주도에서는 지역의 특성상 해수의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의 지하수 개발에 대한 중-동제주 수역의 해수쐐기의반응을 해석하였다. 해석 방법으로는 담수와 해수의 동수역학을 동시에 고려하는 비확산 전산모형(sharp interface numerical model)을 이용하였다. 모델링에서 사용된 단계적 지하수 개발 일정은 제주도 광역상수도개발 계획과 동일한 비율과 시간 간격에 따라 설정되었다. 모델링 결과 해수쐐기(saltwater wedge)는 지역에 따라 1km이상 침투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해수쐐기를 고정된 것으로 가정하여 담수의 흐름만을 고려한 모델링을 바탕으로 한 영향평가의 신뢰성에 의문을 가지게 한다.

  • PDF

아산만의 해저지형과 해수유동 (The Circulation and the Submarine Topography in Asan Bay)

  • 장선덕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3권1호
    • /
    • pp.1-5
    • /
    • 1977
  • A series of echo-sounding and current measurements as well as the drogue and the drift bottl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Asan Bay since November 1974. Several sand bars or sand flats covered by silts were developed at ebb tide in the bay. Sand waves and sand ripples were seen on the surface of the sand bars, around which sea channels of 8~ 12 meters in depth are formed. The main stream axis of the flood current which is separated into east and west branch flows southward. A cyclonic and an anticyclonic eddy are developed at the early stage of flood tide. They are transformed into a clockwise eddy before the slack water. The maximum tidal current speed observed was 3.1 ~ 3.2 knots at the entrance of the bay, while it was 1.O ~ 2.8 knots in the bay. The location of the main stream axis of the tidal current coincides well with the sea channel. A salt wedge was observed at the estuary of the Sabgyo-cheon River.

  • PDF

창녕·함안보 방류량에 따른 하류지역 및 하구역의 수리환경특성에 관한 연구(1) (Study on Water Level and Salinity Characteristics of Nakdong River Estuary Area by Discharge Variations at Changnyeong-Haman Weir(1))

  • 김태우;양현수;박병우;윤종성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61-366
    • /
    • 2018
  •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variation factors in inducing a salinity change using the existing observation network in the section between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and Changnyeong-Haman Weir, and also examined the seasonal changes in precipitation, salinity, and discharge.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d the causes of a salinity increase by collecting observational data during a period when abnormal salinity occurred, and further investigated the salinity transfer time in a section of approximately 5.3 km from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to Nakdong River Bridge to understan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salinity moving upstream. The study results would make it possible to control the increase in salinity and block salt water from moving upstream by understanding the salinity vari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ischarge amount. This will provide stability in collecting water from various residential, agricultural, and industrial sources through water intake facilities scattered near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Impact of Estuarine Dams on the Estuarine Parameter Space and Sediment Flux Decomposition: Idealized Numerical Modeling Study

  • Figueroa, Steven M.;Lee, Guan-hong;Chang, Jongwi;Lagamayo, Kenneth D.;Jung, Nathalie W.;Son, Minwoo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276-276
    • /
    • 2022
  • Estuarine dams are constructed for securing freshwater resources, flood control, and improving upstream navigability. However, their impact on estuarine currents, stratification, and sediment fluxes is not well understood. To develop a general understanding, an idealized modeling study was carried out. Tide and river forcing were varied to produce strongly stratified, partially mixed, periodically stratified, and well-mixed estuaries. Each model ran for one year. Next, the models were subject to the construction of an estuarine dam and run for another year. Then, the pre- and post-dam conditions were compared. Results showed that estuarine dams can amplify the tidal range and reduce the tidal currents. The post-dam estuaries tended to be a salt wedge during freshwater discharge and a bay during no freshwater discharge. For all estuaries, the estuarine turbidity maximum moved seaward, and the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tended to decrease. In terms of sediment flux mechanisms, the estuarine dam increased the seaward river runoff for cases with strong river, and increased the landward tidal pumping for cases with strong tides.

  • PDF

지구통계분석을 이용한 해수침투지역에서의 전기비저항탐사 자료 해석 (Interpretation of Vertical Electrical Sounding Data in Saltwater Intrusion Area using Geostatistical Method)

  • 송성호;이규상;용환호;김진성;성백욱;우명하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5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59-64
    • /
    • 2005
  • 해안지역 대수층을 통한 해수침투 현상의 규명은 지하수 분석법이 가장 효율적이지만, 관정수의 제한이나 시료 분석의 어려움으로 염분 농도의 지속적인 변화를 위한 모니터링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해수침투 관측망이 위치한 전라북도 부안군 해안지역의 소유역에 대하여 전기비저항 수직탐사를 수행한 후 역산결과를 지구통계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층별 등고선도를 작성하였으며, 각 층별 전기비저항 변화를 분석하여 해수쐐기의 공간분포를 확인코자 하였다. 수직탐사 자료의 1차원 역산 결과를 토대로 지구통계방법인 베리오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기존의 수리지질학적 방법에서 얻어진 해수쐐기와 담수체의 경계부 확인에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향후 이 연구결과를 기존의 광역지역에 대한 등가염분농도분포도 작성 방법에 적용할 경우 해수침투의 범위 확인 및 예측을 위한 정량적인 평가에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입자추적방법을 이용한 새만금 해역의 수리특성 변화 분석 (Analysis of Hydrodynamic Change around the Saemangeum Area Using a Particle Tracking Method)

  • 서승원;이화영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442-450
    • /
    • 2011
  • 장기간 시행된 새만금 건설단계별 환경변화 분석을 위해 3차원 무작위 행보에 의한 입자추적 기법을 이용한 해석이 시도되었다. 방조제 공사로 만경 동진강 및 금강 하구역의 운동 양상이 크게 변화되었다. 변산반도 외해 부근 운동 감소와 호 내 북측구간의 흐름 정체가 특이하다. 조류 이동거리를 건설단계별로 평가한 결과도 유사한 결과를 보인다. 연직혼합형태의 변화 분석을 위해 수온, 염분을 고려한 밀도성층을 재현한 결과 방조제 착공 전 잘 혼합된 연직구조 형태는 공사 중 개방구간 존재 시 부분적으로 혼합된 구조로 변화되고, 완공 후에는 만경 동진강 하구 입구부에 염분쐐기 구역과 호소 측에는 강한 밀도성층이 발생한다. 해석결과 수평방향의 확산과 연직 방향의 혼합능력 감소로 새만금 내외측 수질환경에 부정적 영향으로 작용할 수 있음이 추론된다.

해황과 어황에 미치는 댐 방수의 방향 (Influence of Dam Water Discharge on the Oceanography and Fishery)

  • 장선덕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9-55
    • /
    • 1971
  • 1969년 10월에 완성된 남강 다목점 댐과 방수로가 준공되어 1969년에 7회, 1970년에 3회 합계 10회에 걸쳐 1,359 $10^{6}$㎥ 이상의 담수를 진주만으로 방수하였다. 방수 속도는 최고 약 3,770㎥/sec 에 이르렀으며 1회 누적 방수량은 최고 4.50 $10^{6}$㎥ 이상에 달하였다. 이 결과 방수로 하류부와 연결되는 사천만 북부에서는 5kt 이상의 빠른 유속이 해저의 토사를 이동시켜 간석지와 해저의 지형을 변동시켰다. 양식장 시설물과 패류를 매몰, 유실 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하구 현상이 일어 났으며 2중조가 관측되었다. 어구의 파손, 발장의 도괴 및 어선의 조업 불능 등으로 피해가 막심하였다. 방수후 진주만의 염분은 급격히 하강하였으며 특히 사천만 에서는 밀물때에도 5 이하의 이상저염분수가 분포하였다. 현저한 조경이 이루어졌으며 반조석 주기에 4.6 에서 30 로 약 25 이상의 염분 급변이 있었다. 이와같은 염분의 저하와 급변은 동해역의 굴, 바지락 등 패류를 폐사시키고 멸치, 문어 등을 만외로 추방하는 원인이 되었으며, 내유 어군의 접근을 방해하였다. 염분의 저하는 해수의 밀도와 삼투압 환경을 급변 시키는 원인이 되었고, 투명도가 낮은 혼탁한 물덩이는 광선의 투입을 방해하여 광합성 작용을 억제할 것이다.

  • PDF

해안 대수층의 해수침투에 관한 수치적 고찰 (On Numerical Simulation of Salt-Water Wedge in Coastal Aquifer)

  • 이우동;허동수;정영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82-82
    • /
    • 2015
  • 해안 대수층은 해수와 담수가 공존하는 지역으로 상대적으로 밀도가 큰 해수가 대수층의 담수 아래에 쐐기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쐐기형태의 해수와 담수의 경계면은 압력경도의 평형에 의해 경계면이 유지되며, 해수면 또는 지하수위가 변동할 경우 해수-담수 경계면의 균형이 무너짐과 더불어 압력경도의 평행이 이루어질 때 까지 해수-담수 경계면의 이동이 계속 진행된다. 수위 변화의 주요 원인으로는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로 인한 지속적인 해수면 상승과 도서지역의 인구증가 및 산업화로 인한 무분별한 지하수의 사용 등에 의한 지하수위 저하 등을 꼽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원인으로 해안 및 도서지역에서는 해안 대수층의 해수침투거리가 증가하여 지하수 이용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해안 대수층의 해수침투 범위 및 거리를 추정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해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서로 밀도가 다른 해수와 담수가 공존하는 해안 대수층 내의 수리특성을 명확히 파악하기에는 아직까지 미흡한 점들이 많다. 과거에는 Darcy의 법칙 및 Ghyben-Herzberg 식에 근거한 이론적인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졌고, 근래에 현장관측이나 수리모형실험이 국내 외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나, 모든 영역의 지하수의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최근에는 컴퓨터 성능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수치해석방법에 의한 수치모델들이 개발되어 시뮬레이션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거의 대부분의 수치모델은 해안 대수층 수리특성을 투수계수에 의존하고 있을 뿐, 대수층 내부의 해수-담수에 의한 밀도류의 유동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못한 채 정수압에 근거한 해수-담수 경계면에 대해 모의하고 있는 정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안 대수층 내부의 유동현상을 투수계수에 의존하는 방법에서 탈피하여 대수층 매체의 입경, 공극, 형상 등을 고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염분 및 온도차에 의한 밀도류를 해석할 수 있는 강비선형 수치모델을 개발하여 해수침투 현상을 직접 모의한다. 나아가 대부분의 이전 연구들에서 간과하고 있는 해안지역의 대표적 물리력인 파랑과 조석의 영향이 해안 대수층의 해수침투에 미치는 영향, 해안 대수층의 지하수위 및 해수면의 수위차에 의한 해수침투 특성 그리고 이를 제어 할 수 있는 새로운 대응기술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