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 manufacturing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3초

불화물계 용융염을 이용한 지르코늄 스크랩의 다중전극 전해정련 거동 (Electrorefining Behavior of Zirconium Scrap with Multiple Cathode in Fluoride-Based Molten Salt)

  • 박동재;김승현;박경태;문종한;이혁희;이종현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19
    • /
    • 2015
  • 원자력발전소 증설에 따라 핵연료 피복관의 생산량이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되며, 튜브 제조 시 발생되는 지르코늄(Zr) 스크랩 역시 증가 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르코늄(Zr) 정련기 대용량화와 회수율 향상을 위한 사전 연구로서 LiF-KF-ZrF4 불화물의 염에서 다전극을 이용하여 전해정련실험을 실시하였다. LiF-KF-ZrF4염에서는 -0.8 V(vs.Ni)에서 환원전위가 관찰되었으며, 분극 거동 관찰 결과 전극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셀의 저항이 낮아져 인가전류량이 증가하였다. 6개의 다 전극을 이용하여 정련 실험을 한 결과 가장 낮은 전류밀도인 25.64 mA/cm2조건에서 98%의 회수율로 가장 높은 회수율은 보였다. XRD 및 TG 분석 결과 순수한 Zr이 회수되었으며, ICP 분석결과 양극재의 기본 불순물 함량을 포함한 순도 97.8% 보다 낮은 불순물의 함량을 포함한 순도 99.92%의 Zr을 나타내었다. 폭 20 mm 높이 65 mm의 전극 6개를 사용시 전력소모율은 7.15 kWh/Kg으로 크롤 공정대비 39.7%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 다 전극 사용 시 단일 전극 사용에 비해 인가전류와 셀 효율 및 회수율 증대로 대용량화를 위한 효율적인 기술로 판단된다.

유기산과 증점제를 첨가한 쌀국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noodles with organic acid and thickening agents)

  • 김기선;한치원;정경희;이승기;김애정;박원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148-1156
    • /
    • 2009
  • 쌀을 주원료로 국수를 제조하기 위해 유기산과 증점제를 이용하고 단백질, 텍스트린, 정제염을 첨가하였다. 혼합 유기산과 증점제를 사용한 쌀가루 반죽의 증숙 후 물성은 최대응력(max weight)은 평균 $2040.00\;g/cm^2$ 이었고 탄성 139.12%, 응집력 66.05%, 씹음성 1,396.13 g, 깨짐성 190,456.12 g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쌀가루를 이용한 쌀국수제조에 적합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원료쌀의 수침은 $20{\sim}25^{\circ}C$에서 12시간 실시하고 $35^{\circ}C$이하 온도에서 분쇄를 2회 실시하는 것이 적합하였고, 쌀가루의 물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혼합유기산 0.255%(무수 구연산 0.10%, 사과산 0.75%, adipic acid 0.03%, 양조식초 0.05%), 혼합 증점제 2.820%(산탄검 1.00%, 구아검 0.80%, 알긴산나트륨 0.96%, 폴리아크릴산나트륨 0.06%), 글루텐 3.00%, 덱스트린 1.00%, 카제인나트륨 1.00%, 정제염 3.88%를 혼합한 쌀가루로 국수를 제조하는 것이 적합한 조건으로 판단되었다.

Effects of Dietary Fiber Extracts from Brewer's Spent Grai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Patties Cooked in Convective Oven

  • Kim, Hyun-Wook;Hwang, Ko-Eun;Song, Dong-Heon;Lee, Soo-Yeon;Choi, Min-Sung;Lim, Yun-Bin;Choi, Ji-Hun;Choi, Yun-Sang;Kim, Hack-Youn;Kim, Cheon-Je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5-52
    • /
    • 2013
  • Brewer's spent grain (BSG) is a by-product of beer manufactur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fiber extracts from brewer's spent grai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patties. The total fiber content of BSG dietary fiber extracts after extraction increased from 58.11% to 68.57%, and the extracted dietary fiber extracts were added to chicken patties at 0, 1, 2, 3, and 4%, respectively. The effects of the BSG dietary fiber extracts on pH, color, cooking loss, reduction in patty diameter, salt-soluble protein solubility, textur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icken patties were evaluated. The addition of BSG dietary fiber extracts decreased pH and lightness values, and increased redness and yellowness. Chicken patties formulated with 3-4% BSG dietary fiber extracts had the lowest cooking loss among all treatments (p<0.05). The diameter of chicken patties was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BSG dietary fiber extracts. Addition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alt-soluble protein solubility after adding 3% BSG dietary fiber extracts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were different among the chicken patties, and the 3% BSG dietary fiber-added chicken patty had the highest acceptability. Our results indicate that 3% BSG dietary fiber extract can be used as a good source of dietary fiber for improv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patties.

국가 나트륨 저감화 정책에 따른 생산 및 조리 주체별 나트륨 섭취 감소 기여 요인 분석 (Factors contributing to the reduction of sodium intake by food manufacture and cooking venues according to the national sodium reduction policies)

  • 김기랑;박소현;김지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6호
    • /
    • pp.648-662
    • /
    • 2020
  • 국내 나트륨 평균 섭취량은 2017년 3,477 mg으로 2010년 4,876 mg 대비 71.3%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나트륨 섭취량 감소 추이에서 생산 및 조리 주체별 구분에 따른 기여도에서는 산업체에서 생산된 식품과 가정에서 조리한 식품으로부터의 나트륨 섭취량 감소 비율이 단체급식과 외식업체에서 조리하여 제공하는 식품으로부터의 나트륨 섭취량 감소 비율보다 컸다. 식품군과 음식군으로부터 나트륨에 가장 많이 기여하는 요인은 생산 및 조리 주체별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산업체 생산에서는 김치류에서, 가정과 단체급식에서는 조리한 국/탕/찌개/전골류에서, 외식업체에서는 조리한 면/만두류였고, 나트륨 기여도가 가장 높았던 이들 식품 및 음식들은 연도에 따른 나트륨 섭취량 감소 폭도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정에서 조리한 국/탕/찌개/전골류와 면/만두류의 나트륨 함량 감소 폭은 외식업체 및 단체급식에서 조리한 음식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나트륨 섭취량에 주로 기여하는 주요 식품군과 음식군의 종류는 연도가 증가함에 따라 나트륨 급원 식품이 특정 식품 위주에서 다양한 식품으로 확대되는 경향을 보여, 향후 나트륨 저감 대상 품목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요구됨을 시시하였다. 국내 나트륨 섭취에 기여하는 식품은 가공식품을 완제품 형태로 섭취하는 것 외에도 조리 단계에서 식재료로 다양하게 사용하는 비율이 높으므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생산 및 조리 주체별로 식품군 또는 음식군을 분류하여 나트륨 섭취 주요 급원 및 감소 요인을 파악한 결과는 저염 식품의 개발 및 생산, 저염 섭취와 관련된 식생활 교육 등과 같은 분야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식문화를 고려한 다양한 식품 분류체계 방법을 마련하여 나트륨 섭취량 분석 및 저감 전략 수립에 활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시판 장류의 알코올 함유량 및 품질특성 조사 (Investigati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lcohol content in commercial Korean fermented sources)

  • 길나영;김소영;최혜선;박신영;김재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41-346
    • /
    • 2016
  • 본 연구는 시판 장류의 알코올 함유량 및 관련 품질특성을 파악하고자 산도, pH, 염도, 환원당, 알코올 함량 및 효모수를 조사하였다. 산도는 재래식 된장과 간장이 개량식보다 낮게 나타났고, 재래식 고추장이 개량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pH는 재래식 된장과 고추장이 개량식보다 낮게 나타났고, 재래식 간장이 개량식보다 높게 나타났다. 염도는 재래식 장이 개량식 장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고, 환원당과 알코올은 재래식 장이 개량식 장보다 모두 낮게 나타났다. 또한 주정 무첨가된 시료 중 알코올이 검출된 장류 중에 효모수를 측정한 결과 검출 유무가 알코올 함량과 연관성이 없어 효모의 존재만으로 알코올을 생성하였다고 판단할 수 없었다. 지금까지 결과를 종합해보면 개량식 된장에 비해 낮은 환원당을 나타낸 재래식 된장의 경우 알코올 발효의 기질로 사용될 당이 부족하기 때문에 낮은 알코올 값을 보인 것으로 사료되고, 개량식 간장의 경우 재래식 간장보다 낮은 염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균의 활동이 비교적 활발하여 산도와 알코올 함량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할랄식품 시장 진출을 위한 알코올을 함유하지 않은 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난분해성 당을 사용하고 염도를 높여 균 활동을 억제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냉동 콩나물 비빔밥 제조를 위한 전처리 공정 최적화 (Processing optimization of soybean sprouts pre-treatment for manufacturing frozen Kongnamul-Bibimbap product)

  • 이은정;;홍근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86-190
    • /
    • 2018
  • 본 연구는 냉동 콩나물비빔밥 제품의 공정 최적화를 위해 수행되었고, 각 공정에서 공정변수에 따른 콩나물의 전단력, 배축직경, 중량감소 등과 같은 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각 공정마다 유효한 공정변수들을 조합하여 최종 냉동 후 조리에 의한 콩나물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콩나물 데치기 공정에서, 처리시간의 감소와 당수 사용은 배축직경 수축과 중량감소를 줄이는 효과가 있었다. 조미 배합에서는 설탕의 사용이 소금과 설탕 혼합 사용보다 배축직경이 크고 중량감소가 적게 나타났다. 하지만 이와 같은 단위공정 단일변수적용에 의해서는 콩나물비빔밥 냉동 후 조리한 콩나물에서 배축직경 감소와 중량감소 완화의 유의적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대조구 공정은 열수 데치기, 염과 설탕의 혼합 조미, 취반미 비빔형태로 진행되었고, 공정변수 조합은 당수 데치기, 설탕 조미, 취반미 비빔 또는 토핑형태로 진행되었다. 조합 공정은 대조구 공정 보다 냉동 후 조리콩나물의 유의적으로 높은 전단력과 배축직경, 낮은 중량감소를 유도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각 공정에서 유의적 효과를 도출한 공정변수의 조합은 콩나물 비빔밥 냉동 후 조리 시 콩나물 물리적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Bacillus subtilis HJ18-4를 이용하여 제조한 메밀 속성장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uckwheat Soksungjang manufactured by Bacillus subtilis HJ18-4)

  • 박나영;이선영;김지연;최혜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99-704
    • /
    • 2013
  • 메밀 속성장은 메밀과 콩으로 제조된 별미장이다. 항균 및 효소활성이 우수한 B. subtilis HJ18-4 균주를 starter로 사용하여 메밀 속성장을 제조하였다. 메밀 속성장 제조과정 중, starter 첨가 시기는 메주 제조단계(Treat-1) 및 염수 첨가단계(Treat-2)로 접종시기를 달리하였다. 발효 중 아미노태질소 함량, 환원당, 효소활성(protease, amylase)의 이화학적 품질특성과 총균 수, 유산균 수 및B. cereus 양 변화 등의 미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균 수는 발효 15일부터 7~8 log CFU/mL로 증가되었고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발효기간 동안 65.38~202.52 mg%로 증가되었다. 반면, 환원당과 효소활성(amylase, protease)은 모든 처리구 에서 감소하였다. 발효기간 중 PlcR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Treat-1 처리구에서 발효 23일 이후 검출되지 않았다. 메주 제조단계에서 B. subtilis HJ18-4를 접종한 Treat-1이 발효관련 이화학적 특성과B. cereus 저해효과가 우수하였다. 단일 균을 접종하여 제조되는 개량식장 제조 시, 자연발효에 제조된 장의 품질을 재현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연발효방법으로 제조되는 메밀 속성장에 항균 및 효소활성이 우수한B. subtilis HJ18-4 균주를 스타터 적용하여 장류 품질개선 방법을 제시하였다.

국내 알루미늄 노출실태 및 노출기준 개정 제안 (Proposals for Revising the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for Aluminum in Korea)

  • 김승원;피영규;백용준;정태진;이혜실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5-97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revision status of the occupational exposure standards for aluminum at home and abroad; to investigate worker exposure at domestic aluminum manufacturing and handling workplaces; to conduct social and economic evaluation for the revision of domestic aluminum exposure limits. Methods: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for aluminum at home and abroad, and analyzed supporting data. An exposu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domestic aluminum manufacturing and handling workplaces. Based on these, revised aluminum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were proposed. Results: The major aluminum exposure limits at home and abroad show a notable difference. The toxicity of aluminum, which was revealed through animal experiments an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aluminum in the air at 12 workplaces was 0.016 mg/m3, and the maximum was 0.0776 mg/m3. When total dust and respiratory dust were measured side by side and simultaneously for the same process, 12.1% of the total mass concentration of aluminum dust was respiratory dust. As a result of measuring and comparing the size distribution of dust with an optical particle counter in real time, 48.1% of the total dust in the form of welding fume and pyro-powder was respiratory dust.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workplace survey, three proposals for changing the aluminum exposure limit were proposed. Proposal (1): For all types, 10 mg/m3 is unified as the exposure limit except for soluble salts and alkyls. Proposal (2): 1(R) mg/m3 as the exposure limit for all forms except soluble salts and alkyl. Proposal (3): 1(R) mg/m3 for pyro-powder and welding fume, and 10 mg/m3 for metal dust, aluminum oxide, and insoluble compounds as exposure standards. A pyro-powder was defined as dry aluminum powder of 200 mesh size (74 ㎛) or smaller (larger size classified as metal dust). Reason for setting: In the workplace survey, the ratio of respiratory dust to total dust was analyzed to be about 1:10, so it was judged that the domestic standard and the ACGIH standard were compatible. Conclusions: In all scenarios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exposure standard, the B/C ratio was greater than 1 or only benefits existed, so it was evaluated as sufficiently reasonable as a result of the socio-economic evaluation.

우리나라 주부들의 젓갈에 대한 인식 및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Salted Seafood in Korean Women)

  • 김지은;김정현;정인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11-2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salted seafood in Korean women. We also asked them about their opinions on how to increase the production range of popular salted seafood. Data were collected from 1,137 women and were analyzed with SAS 9.1 program. Women aged between 40 and 59 had higher positive perception of salted seafood than women aged between 20 and 39. The older age group (i.e. 40 to 59) believed that the production of salted seafood, such as like as Kimchi and soy sauce, should be globalized because of their taste and nutritional value. However, the younger age group (i.e. 20 to 39) had negative perceptions of salted seafood because of their unhygienic production and excess amount of salt. Women aged 50 and over used salted seafood frequently as a side dish or seasoning to make Kimchi, stew, or soup. The younger age group preferred to purchase a small package (200g or less) of salted seafoods from the grocery store instead of preparing it themselves. When purchasing salted seafood, they considered the taste, manufacturer, and expiration date. Finally, all interviewees agreed on the importance of salted seafood as part of traditional Korean cuisine, and wanted to see further local development. However, manufacturing and packaging processes need to be standardized, and hygiene and nutritional contents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achieve good quality local production. To succeed and develop high quality salted seafood, younger consumers need to be enticed with better nutritional value, taste, and hygienic production. Furthermore, the production range of popular salted seafood needs to be expanded beyond Kimchi and Soy Sauce. Hence new recipes are needed.

시판 전통발효식품에 대한 대전지역 소비자들의 반응 및 구입현황 (Consumers' Response and Purchasing of Traditional Fermented Foods Marketed in Taejon)

  • 구난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388-395
    • /
    • 1997
  •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usewives' perception and consumption of Korean fermented foods marketed in Taejon. Most subjects know how to prepare Kimchi(seasoned and fermented vegetables), 65-67% can make Kochujang(fermented red pepper soybean paste), Toenjang(Korean style soysauce) and Jang-atchies(pickled basic side dishes), 56% can make Kuk-ganjang(Korean style coysauce), 45% can make Chonggukjang (fermented soybean) and 34% can make Jot-kals(salt-fermented fish products). With decreasing age(p<0.0001), not many other subjects could make other fermented foods besides Kimchi. The percentages of subjects buying fermented foods were 71.5% for Chin-ganjang(Japanese style soysauce), 51.7% Jot-kals, 27.1%Kochujang, 25.7% Chonggukjang, 20.1% Jang-atchies, 10.4% Toenjang, 5.9% Kuk-ganjang, and 3.8% Kimchi. the uounger in age, the higher the tendency to buy marketed Kimchies(p<0.05) and Kochujang(p<0.01). The resons for purchasing fermented foods were convenience (52.9%), lack of preparation knowledge(17.5%), lack of time for preparation(12.5%), and lack of space for food storage(8.2%). Subjects indicated that their reasons for mot buying were as follows : use of additives or unreliability with regard to manufacturing dates(45%), bad taste(21%), unsanitary treatment(16%) and to keep their indigenous taste(14%). They cosidered expiration dates, taste, crpteria and safety as the important standard in selecting marketed foods. Younger subjects insisted on the improvement of sanitary condition and partial change of taste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fermented foods. However, older subjects thought it best to keep the taste original for more utilization of fermented foo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