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 composition

검색결과 521건 처리시간 0.028초

(Sr,M)FeO3-y계(M=Ca)의 화학적 성질과 열분석에 대한 연구 (Studies on Chemical Properties and Thermal Analysis of (Sr,M)FeO3-y System (M=Ca))

  • 이은석
    • 공업화학
    • /
    • 제8권6호
    • /
    • pp.954-959
    • /
    • 1997
  • $Sr_{1-X}M_XFeO_{3-y}$ 계에서 (M=Ca), x=0.1, 0.2, 0.3, 0.4, 0.5에 대응하는 페로브스카이드계 고용체를 공기중, 1473K에 18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합성하였다. X-선회절분석 결과 모든 고용체는 단순 입방정계를 나타내며, x=0.3까지는 x값의 증가에 따라 단위세포의 부피가 감소하고, x=0.4 이후에는 급격히 증가한다. 모어염 분석에 의하여 각각의 조성에 대한 $Fe^{4-}$ 이온의 몰비($\tau$값), 산소공위의 양(y값) 및 비화학양론적 화학식을 결정하였다. TG/DTA 실험(온도범위:300~1173K) 결과 x=0.1, 0.2인 시료는 3-y값이 감소하며, 냉각시 3-y값이 거의 가역적인 증가 경향을 보였다. $x{\geq}0.3$인 시료는 가역적인 무게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냉각과정에서 3-y값은 거의 2.5를 유지하였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범위에서 모든 시료의 전기전도도 값은 반도성 범위에서 변화하였다. 그리고 일정한 온도에서의 전도도는 x값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본 훼라이트 계의 전도도 메카니즘은 혼합원자가 상태 사이의 전도성 전자의 건너뜀 모형으로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고온에서 각 시료의 전도성은 금속성으로 변화하였다.

  • PDF

한국장류식품(韓國醬類食品)의 유지성분(油脂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1 보(報) : 청국장 발효(醱酵)과정중의 유지성분(油脂成分) 변화(變化)- (Studies on the Lipids in Korean Soybean Fermented Foods -I. Changes of Lipids Composition during Chungkookjang Fermentation-)

  • 이숙희;김선기;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99-403
    • /
    • 1983
  • 청국장 발효과정중에 일어나는 지질성분(脂質成分)의 변화(變化)를 규명하고저 삶은콩에 Bacillus natto 를 접종(接種), 3일간 발효시킨후 식염을 7% 첨가하여 20일간 숙성(熟成)한 청국장을 만들고, 삶은콩, 청국장 고오지 및 청국장제품의 지질(脂質)에 관한 연구를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삶은콩의 총지질(總脂質) 함량중 중생지질(中性脂質)은 92.08%,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은 1.76%, 당지질(糖脂質)은 2.04%, 연지질(憐脂質)은 4.12% 이었으나, 발효숙성(醱酵熟成)과정중 중성지질(中性脂質)이 감소하고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당지질(糖脂質)의 함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연지질(憐脂質)의 함량은 청국장 고오지 발효중에 증가하였다가 숙성기간중 감소하였다. 또한 연지질(憐脂質)과 당지질획분(糖脂質劃分)들의 발효숙성중(醱酵熟成中)의 구성성분의 변화에 있어서 특히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및 포스파티딜 콜린의 변화가 주목되었고 또 디-갈락토실 디-글리세리드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한편, 중성지질(中性脂質) 및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들의 구성 지방산(脂肪酸)중 주요성분은 리놀레산이었으며 당지질(糖脂質)과 연지질(憐脂質)에서는 팔미트산이었고 특히, 다른 지질획분(脂質劃分)에 비해 당지질(糖脂質)에는 리놀렌산 함량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발효숙성(醱酵熟成) 결과 연지질(憐脂質) 및 당지질획분(糖脂質劃分)들에서 포화지방산(脂肪酸) 함량이 감소한 반면 불포화도가 높은 지방산(脂肪酸)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 PDF

멸치를 이용한 식품가공용 중간소재의 가공 (Processing of the Intermediate Product (Frozen Seasoned Anchovy Meat) Derived from Anchovy)

  • 오광수;노락현;이응호;박희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98-504
    • /
    • 1989
  • 멸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 각종 조리재료나 식품가공용 중간소재로 이용할 수 있는 냉동멸치조미육의 가공조건을 구명하고 본 시제품의 화학성분을 분석하였다. 냉동멸치조미육제품을 가공하기 위하여 채육, 세절한 멸치육에 대해 분리대두 단백 : 물 : 대두유(1 : 5 : 2)로 만든 유화커어드 12.8%, 식염 0.5%, 설탕 2.0%, sodium bicarbonate 0.4%, 중합인산염 0.2%, MSG 0.2%, 분리대두단백 3.0%, 양파가루 0.3%, 생강가루 0.1%, 후추가루 0.1% 항산화제로서 sodium erythrobate를 0.2% 첨가하여 멸치육 알맹이가 붕괴되지 않도록 혼합한 후$-35^{\circ}C$에서 급속동결시켜 carton box로 포장하여 $-25{\pm}2^{\circ}C$에 동결 저장하는 것이 가장 좋았다. 냉동멸치조미육제품의 수분함량은 73.0%. 조단백질 19.1%, 조지방은 5.0%였으며 생균수는 $1.5{\sim}1.6{\times}10^5/g$, histamine함량은 70.6mg/100g이었다. 유화커어드를 첨가함으로써 제품의 지방함량 조정 및 조직감을 개선 시킬 수 있었다. 제품의 주요구성 지방산은 linoleic, oleic, palmitic, docosahexaenoic, linolenic, palmitoleic, eicosapentaenoic acid 등으로 불포화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Glu, Asp, Leu, Lvs, Ala 등이 주요 구성아미노산이었다. 멸치조미육제품의 정미성분은 IMP(160.9mg/100g)와 같은 핵산관련물질 및 Glu(179.4mg/100g), His(84.7mg/100g), Ala(54.4mg/100g), Leu(37.9mg/100g) 둥 유리아미노산이 정미성 및 양적으로 보아 주체를 이루고 있었고, 이 외에 total creatinine(158.3mg/100g), 미량의 TMAO, betaine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 PDF

전통 안동식혜의 제조공정 확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Fermentation Process for Traditional Andong Sickhae)

  • 최청;석호문;조영제;임성일;이우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724-731
    • /
    • 1990
  • 안동지방의 전통적인 식혜의 제법을 조사하고 10종의 시료를 채취하여 성분분석 및 관능시험으로 품질을 평가하였다. 점차 사라져가는 전통 안동식혜의 전통적인 제법을 계승, 보존하고 그 품질향상을 도모하고 상품화할 목적으로 관능시험의 결과 식혜 담그는 재료의 비와 그 제법공정을 확립하였다. 전통 안통식혜를 관능시험으로 가장 이상적인 식혜 제조시 재료의 비는 찹쌀 : 엿기름 : 무우 : 물 : 생강 : 고추가루의 중량비는 각각 80 : 50 : 100 : 500 : 8 : 4이었다. 전통 안통식혜의 성분 중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낮았으며 수용성 아미노산과 염용해성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다같이 glycine,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의 함량이 많았다. 식혜의 당 조성은 총당 및 환원당의 함량은 대체로 높았으며 유리당의 함량은 maltose가 78%로써 가장 많았고 glucose, maltotriose순이었다. 산성 protease의 활성은 1.15 unit/ml였으며 전분당 화력은 $12.5D^{40}_{30}^{\circ}$로써 식혜의 감미를 크게 증가시켰다. 관능시험 결과 선정된 우량 식혜는 매운맛과 단맛 및 산미가 잘 조화된 전통식품으로 향기는 약간의 감주향에다 매운향이 잘 조화된 향취를 나타내었고 색은 약간 붉은색을 띠었다.

  • PDF

전복내장 젓갈의 제조 및 품질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Haliotis Discus Hannai Ino (abalone) viscera Jeotgal, a Korean fermented seafood)

  • 이정뢰;김보섭;강성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8
    • /
    • 2014
  • 본 연구는 전복내장을 이용하여 젓갈을 제조과정 중 이화학적 변화와 제조된 젓갈의 품질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전복내장의 영양학적 성분을 분석한 결과 탄수화물, 단백질 및 미네랄이 풍부하여 젓갈발효에 우수한 성분특성을 갖고 있었다. 젓갈 발효중 pH는 경시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염도가 pH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휘발성염기질소함량은 발효중 염농도에 따라 현저한 영향을 받았으며 고염발효의 경우 저염발효에 비하여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이 현저하게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발효중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염농도가 낮을수록 높은 값을 보였으나 염농도에 따른 변화는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발효과정중 protease 활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 고염에서 활성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발효 30 일경 최고 활성을 보였다. 전복내장과 발효 전복내장젓갈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젓갈 중 7종의 아미노산이 내장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26 종의 아미노산이 높게 나타났다. 전복내장 젓갈의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62.75 mg/g 으로 전복내장 30.37 mg/g에 비하여 약 2배 증가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색과 종합기호도에서 우수하였으며 상품화를 위해서는 맛과 향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복내장젓갈에 대한 최초의 연구논문으로 향 후 타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Fabrication and Catalysis of $SiO_2$-Coated Ag@Au Nanoboxes

  • 이재원;장두전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588-588
    • /
    • 2013
  • Nanoscale noble-metals have attracted enormous attention from researchers in various fields of study because of their unusual optical properties as well as novel chemical properties. They have possible uses in diverse applications such as devices, transistors, optoelectronics, information storages, and energy converters. It is well-known that nanoparticles of noble-metals such as silver and gold show strong absorption bands in the visible region due to their surface-plasmon oscillation modes of conductive electrons. Silver nanocubes stand out from various types of Silver nanostructures (e.g., spheres, rods, bars, belts, and wires) due to their superior performance in a range of applications involving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and biosensing. In addition, extensive efforts have been devoted to the investigation of Gold-based nanocomposites to achieve high catalytic performances and utilization efficiencies. Furthermore, as the catalytic reactivity of Silver nanostructures depends highly on their morphology, hollow Gold nanoparticles having void interiors may offer additional catalytic advantages due to their increased surface areas. Especially, hollow nanospheres possess structurally tunable features such as shell thickness, interior cavity size, and chemical composition, leading to relatively high surface areas, low densities, and reduced costs compared with their solid counterparts. Thus, hollow-structured noblemetal nanoparticles can be applied to nanometer-sized chemical reactors, efficient catalysts, energy-storage media, and small containers to encapsulate multi-functional active materials. Silver nanocubes dispersed in water have been transformed into Ag@Au nanoboxes, which show highly enhanced catalytic properties, by adding $HAuCl_4$. By using this concept, $SiO_2$-coated Ag@Au nanoboxes have been synthesized via galvanic replacement of $SiO_2$-coated Ag nanocubes. They have lower catalytic ability but more stability than Ag@Au nanoboxes do. Thus, they could be recycled. $SiO_2$-coated Ag@Au nanoboxes have been found to catalyze the degradation of 4-nitrophenol efficiently in the presence of $NaBH_4$. By changing the amount of the added noble metal salt to control the molar ratio Au to Ag, we could tune the catalytic properties of the nanostructures in the reduction of the dyes. The catalytic ability of $SiO_2$-coated Ag@Au nanoboxes has been found to be much more efficient than $SiO_2$-coated Ag nanocubes. Catalytic performances were affected noteworthily by the metals, sizes, and shapes of noble-metal nanostructures.

  • PDF

담금원료에 따른 전통식 고추장의 숙성 중 미생물과 효소력의 변화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s Activitie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Various Raw Materials)

  • 신동화;김동한;최웅;임미선;안은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901-906
    • /
    • 1997
  • 전통식 고추장의 품질개선과 담금방법을 표준화하여 산업화하기 위하여 담금원료를 달리한 고추장을 90일간 숙성시키면서 미생물과 효소활성의 변화를 표시하였다. 고추장의 수분함량은 숙성 중 서서히 증가하였으나 조단백질과 NaCl 함량은 불규칙적인 증감을 보였으며, 마늘의 첨가로 고추장의 pH와 적정산도의 변화는 적었다. 고추장 중의 호기성 세균과 효모는 60일경까지 증가하다 그 이후 감소하였으나 마늘 첨가구는 숙성 90일경까지 증가하였고, 혐기성 세균수는 시험구간의 차이는 없으나 숙성후기에 감소하였다. 고추장의 전분액화효소와 당화효소 활성은 엿기름 첨가시 급격히 증가하였고 40일경까지는 감소하나 60일경에는 증가하였다. 단백질 분해활성은 담금초 산성 protease활성이 높았으나 중성 protease활성은 숙성 중 증가하여 $30{\sim}45$일경에 높은 활성을 유지하였고 간장, 구기자, 자색고구마 첨가 고추장에서 높았다.

  • PDF

훈건멸치 분말수프의 가공 및 정미성분 (Processing of Powdered Smoked-Dried Anchovy Soup and Its Taste Compounds)

  • 오광수;이형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93-397
    • /
    • 1994
  • 훈건멸치 분말수프의 제품화에 필용한 가공조건을 구명하고, 시제품의 정미성분 및 품질 등에 대하여 실험 하였다. 원료멸치를 수세한 후 $5{\sim}6%$의 식염 및 1.0%의 에리소르빈산나트륨을 첨가한 자숙수 중에서 5분간 자숙하였고, 자숙이 끝난 멸치는 물빼기를 한 후 훈연실로 옮겨 $40^{\circ}C$에서 4시간 훈건 후 점차 온도를 올려 $80^{\circ}C$에서 8시간 동안 훈건하였다. 이를 분쇄기로써 분쇄한 후 50mesh의 체를 통과시켜 얻은 분말을 PET/Al/CPP 적층필름주머니에 충전 포장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제품의 수분함량은 9.4%, 조지방 9.6%, 조회분은 15.8%이었고, 산도는 23.0ml, 염도는 6.9%, 휘발성염기질소함량은 31.2mg/100g 이었다. 제품의 가공 중 지질성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항산화제로 첨가한 에리소르빈산 나트륨 및 훈건처리 중 부착된 고비점페놀류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제품 가공 중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분해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제품의 가장 중요한 정미성분인 IMP의 함량은 건물량으로 466.5mg/100g이었고, 제품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1179.2mg/100g으로 주요 아미노산은 histidine, taurine, proline, lysine, alanine, glutamic acid 등이었다. 유기산으로는 lactic acid가 591.4mg/100g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TMAO는 21.3mg/100g 함유되어 있었다. Creatinine 및 betaine 함량은 595.9mg/100g, 57.2mg/100g 이었다.

  • PDF

유청(乳淸) 및 두유(豆乳) 혼합액에서의 단백질 콜로이드 안정성 (Stability of Protein Colloids in the Mixture of Cheese Whey and Soy Milk)

  • 손동화;이형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1호
    • /
    • pp.83-89
    • /
    • 1986
  • 유청 및 대두단백질의 상호작용을 구명하기 위한 기초실험으로서 유청, 대두 이들로 부터 추출한 유청 및 대두단백질을 가지고 두부의 겔 형성특성, 가열처리 및 염류조성이 콜로이드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열처리가 저장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하였다. 유청과 대두의 혼합물로써 두부를 제조했을 때 유청중에 함유된 칼슘 등 염류는 대두단백질을 침전시킴으로써 두 단백질의 겔 형성을 방해하거나 커드의 조직을 나쁘게 하였다. $60{\sim}100^{\circ}C$의 열안정성시험에서 유청과 증류수에 투석한 유청의 단백질은 $70^{\circ}C$ 상에서 급격히 침전하기 시작하였다. 대두추출물과 그 혼합물의 경우에는 모두 거의 안정하였다. 인산나트륨용액에 투석한 유청, 대두추출물 및 혼합물의 경우에는 같은 열처리에서 모두 안정하여, 대두추출물중 인산염의 존재가 특히 유청단백질을 안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aCl_2\;0.05{\sim}0.07M$ 농도 범위의 칼슘염 첨가에 의하여 증류수에 투석한 유청단백질은 $30{\sim}35%$만 침전되었으나 대두단백질은 쉬 불안정화되어 대두추출물 및 혼합물 중 $70{\sim}85%$의 단백질이 침전되었다. 유청 및 두유혼합물의 $4^{\circ}C$ 저장안정성은 $63^{\circ}C$의 저온에서 열처리했을 경우가 고온에서 처리한 경우보다 향상되었다.

  • PDF

보리단백질의 추출 및 품종간 조성비교 -I. 보리단백질의 추출- (An Extraction of Barley Protein and a Comparison of the Protein Composition of Some Barleys -I. Extraction of Barley Protein-)

  • 김정상;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1호
    • /
    • pp.51-56
    • /
    • 1986
  •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보리의 단백질추출율을 높여서 품종간 단백질조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올보리, 영산보리, 사친 6호, 수원228호를 시료로 하여 Osborne의 방법 및 이를 변형한 방법에 의해 분획하고 이들 방법을 비교 평가하였다. 염가용성회분은 NaCl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추출율이 증가하여 0.5M에서 가장 높은 추출율을 보였으며, NaCl의 농도를 0.5M로 고정하고 추출온도를 변화시켜서 추출했을 때, 실온$(22^{\circ}C)$에서 추출율이 가장 높았다. 한편 알콜가용성획분은 70% ethanol에 의해 가장 적게 추출되였으며 $60^{\circ}C$에서 50% propan-1-ol과 2% 2-ME을 함유한 50% propan-1-ol을 사용하여 연속추출을 하였을 때 가장 높은 추출율을 보였다. 단백질추출율에 대한 pH의 영향을 관찰한 결과$pH\;4{\sim}6$에서 추출율이 가장 낮았으며 pH가 10 이상이 되면 대부분의 단백질이 용출되었다. 변형된 Osborne의 방법으로 보리단백질을 분획한 결과 염가용성 획분은 전 질소의 $21.4{\sim}24.1%$를 차지하였고 hordein은 $30.4{\sim}43.4%$, hordein-II는 $9.3{\sim}19.5%$, 그리고 borate buffer 가용성 glutelin은 $17.1{\sim}23.7%$를 각각 차지하는 높은 추출율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