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inity meter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4초

염도계 및 Mohr법으로 측정된 HMR 제품의 나트륨 함량과 제품 영양표시 상의 나트륨 함량 비교 (Comparison of Sodium Contents in Nutrition Facts and Sodium Contents of HMR products by Salinity Meter and Mohr Method)

  • 김순미;박희옥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761-770
    • /
    • 2019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how much sodium in food could be detected using a salinity meter. First, the salinity of mixed solutions of 0 to 6% sugar, 0 to 5% oil, and 0 to 6.4% MSG in a 1% NaCl solution was measured using a salinity meter and a Mohr titration metho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calculated sodium expectations. As a result, the sodium contents of the sugar solutions and MSG solutions measured using a salinity meter were lower than the expected concentrations at 2% or more and 0.8% or more, respectively (p<0.05). The salinity of the 18 HMR products was measured in the same way, and the results were then compared with the sodium contents of the nutrition facts. The average sodium content of all products measured using the salinity meter and Mohr method was 1.12 times and 1.06 times the sodium content of the nutrition fact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oducts were significan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nutrition facts and salinity meter, the nutrition facts and the Mohr method, and the salinity meter and Mohr method were 0.885, 0.920, and 0.950, respectively (p<0.01).

안양지역 어린이집에서의 블루투스 염도계 사용에 따른 국의 염도 비교 (Comparison of Salinity of Soups on the Use of Bluetooth Salinity Meter at Childcare Centers in Anyang Area)

  • 김혜원;피재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435-443
    • /
    • 2020
  • 이 연구는 블루투스 염도계 사용이 어린이집에서 제공하는 국의 적정 염도 수준을 조절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2019년 1월부터 12월까지 안양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 등록된 어린이집 중 나트륨 저감화 특화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어린이집(블루투스 염도계 사용 군, BG)과 참여하지 않은 어린이집(블루투스 염도계 미사용군, NG)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블루투스 염도계 사용 여부에 따라 국의 염도와 나트륨양을 비교하였을 때, BG의 값이 NG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블루투스 염도계의 사용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염도와 나트륨양이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블루투스 염도계는 어린이집에서의 나트륨 저감화 교육과 관련하여 조리원들의 자발적인 염도 조절을 유도하는 수단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구지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등록 어린이급식소의 염도 측정 빈도에 따른 국의 염도 및 나트륨 함량 비교 (Comparison of Salinity and Sodium Content by the Salinity Measurement Frequency of Soups of Childcare Centers Enrolled in the Center for Children's Food Service Management in Daegu)

  • 이나영;이연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20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salinity of soups provided at childcare centers by measuring the salinity for three years and providing basic data for sodium reduction. Methods: The soup salinity was measured using a Bluetooth salinity meter from January 2015 to December 2017 at 80 childcare foodservice establishments enrolled in the Suseong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in Daegu. Results: An analysis of the soup salinity each year showed that the salinity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0.48% in 2015 to 0.41% in 2017, particularly in clear soups and soybean soups compared to other soups (P < 0.05). The salinity and sodium content in seafood soups (0.45% and 179.1 mg/100 g, respectively) were highest, followed by soybean soups (0.44%, 175.2 mg/100 g), with perilla seed soups containing the lowest (0.42%, 167.2 mg/100 g) (P < 0.05). The salin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institutional foodservice establishments than small foodservice establishments (P < 0.001). The salinity and sodium content were the highest in foodservice establishments with a small number of measurements, and the salinity was the lowest in foodservice establishments with salinity measurements performed an average of 151 times each year (three times a week) or more (P < 0.05). The soup salinity was low in the order of winter, spring, summer, and autumn, and the salinity decreased significantly year by year in all seasons. (P < 0.05). Conclusions: The soup salin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foodservice establishments where the salinity was measured more than three times a week, indicating that continuous salinity management is effective.

2004년 5-6월 가막만의 수괴분포 및 조류 특성 (Water mass and Tidal current of Karnak Bay In May-June 2004)

  • 이문옥;김병국;김종규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143-148
    • /
    • 2004
  • In order to se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and tidal currents in Gamak Bay, some field surveys have been conducted using ADCP, Aanderaa current meter and CTD from May 17 to June 3, 2004. The northwest of the bay appeared to have a high temperature and a high salinity so that it coincided with the previous results. The distribution of temperature and salinity seem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At the south mouth of the bay, a northwestward-southeastward flow was dominant at the surface layer while a northeastward-southwestward flow was dominant at the bottom layer.

  • PDF

정상염수쐐기 경계층 거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ur of Interfacial Layer in Saltwater Wedge)

  • 류시완;김영도;최재훈;서일원;권재현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33-842
    • /
    • 2009
  • A series of laboratory experiments has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ehaviour of interfacial layer of saltwater wedge in estuary. Experimental conditions have been established according to densimetric Froude number, which is a dimensionless number comparing inertia force with buoyancy due to the density difference. To observe the behaviour of saltwater wedge, conductivity meter has been used to detect salinity. Time averaged and temporal variation of observed properties have been analyzed to determine and investigate the interfacial layer. The location and profile of interfacial layers have shown the dependency on densimetric Froude number. The thickness of interfacial layer has been also dependent on the variation of densimetric Froude number.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등록 시설 국물음식의 염도 모니터링 (Salinity Monitoring of Soups of The Institutions Enrolled at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 박현내;김순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07-516
    • /
    • 2016
  • 본 연구는 지속적인 염도 관리의 교육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강동구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 등록된 21인 이상의 어린이집에서 제공되는 국물음식의 염도를 모니터링 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모니터링을 실시한 시설은 1차 102개소, 2차 76개소, 3차 78개소이며, 맑은 장국, 된장국, 곰국, 찌개, 기타로 구분한 국물음식의 평균 염도는 1차(0.45%), 2차(0.41%), 3차(0.39%)로 진행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1). 2.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염도는 국공립어린이집의 경우, 1차 0.43%, 2차 0.35%, 3차 0.38%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민간어린이집은 1차 0.46%, 2차 0.43%, 3차 0.39%로 모니터링을 진행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1). 3. 집단급식소 등록 여부에 따라 급식 인원 50인 이상의 대규모 급식소와 50인 미만의 소규모 급식소의 염도를 비교한 결과, 대규모 급식소의 국물음식의 평균 염도가 낮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모두 1차에 비해 3차의 평균 염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4. 3차에 걸친 모니터링 시 어린이집에서 제공한 국물음식의 횟수는 총 256회였으며, 이 중 맑은 장국이 139회로 가장 많이 제공되었고, 된장국이 76회, 기타(들깻국, 수제비 등) 24회, 찌개 9회, 곰국 8회 순서로 나타났다. 5. 국물음식의 종류별 염도는 곰국을 제외하고는 맑은 장국, 된장국, 찌개 모두 1차에서 3차로 진행될수록 염도가 감소하였으나, 국의 종류 및 모니터링 차수에 따른 염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동일한 국물음식 간에도 염도의 차이가 매우 커서 개별 국물음식의 최소치와 최대치의 차이는 1차의 경우 달걀국이 0.62%, 2차는 감잣국이 0.54%, 3차는 양송이국이 0.64%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 지속적인 염도 모니터링 진행을 통해 어린이집 국물음식의 염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센터에서 진행하는 교육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영유아 급식시설에서의 국물음식의 염도 기준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으나,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성인의 경우 0.6% 이하, 영유아 급식시설에서는 이보다 더 낮은 0.5% 이하로 관리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적정 염도는 음식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영유아를 위한 주요 나트륨 급원 메뉴의 적정 염도범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3차에 걸쳐 조사된 국물음식의 전체 염도 평균치는 모두 0.5% 미만으로 적절한 범위에서 관리하고 있었으나, 개별 국물음식의 염도는 매우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영유아는 미각이 형성되는 시기이며, 염도는 음식에 대한 기호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국물음식의 염도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후 최고 염도뿐만 아니라, 음식의 맛과 건강을 함께 고려하는 최저 염도에 대한 논의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서.남해 해안지역 지하수의 전기비저항과 등가 NaCl 염분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Groundwater Resistivity and NaCl Equivalent Salinity in Western and Southern Coastal Areas, Korea)

  • 황세호;박권규;신제현;이상규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0권4호
    • /
    • pp.361-368
    • /
    • 2007
  • 본 논문은 지표 및 시추공 전기 전자탐사 결과의 정량적인 해석을 위하여 해안 지하수의 전기비저항과 등가 NaCl 염분도와의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해안에서 10 km 이내에 위치하고 전기전도도가 1,000 ${\mu}S/cm$ 이상인 38개의 지하수 시료에 대한 수리지구화학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전기비저항과 등가 NaCl 염분도와의 관계식을 유도하였다. 수리지구 화학분석 결과의 등가 NaCl 염분도 환산은 Schlumberger 도표 GEN-8을 이용하였으며 전기전도도는 현장에서 휴대용 장비로 측정하였다. 본 논문에서 해안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제안한 해안 지하수의 전기비저항$(R_w)$ 과 등가 NaCl 염분도(Eq_NaCl)와의 관계식은 Eq_NaCl=$5935.3551{\times}R_w^{-1.0993}$이며 전기전도도(EC)와 용존고형물총량(TDS)과의 관계식은 TDS=0.721${times}$EC와 같다. 해안대수층 지하수의 전기비저항과 등가 NaCl 염분도 및 TDS와의 관계식은 서 남해 해안지역의 해수침투 평가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진해만 담치 양식장내 지중해담치의 생산력 평가 (Assessment on the Productivity of Mytilus galloprovincialis on the Mussel Culture Ground in Jinhae Bay)

  • 박흥식;이순길;백상규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5-53
    • /
    • 2004
  • This study have conducted to calibrate the productivities on the mussel (Mytilus galloprovincialis) cultures in Jinhae Bay. Annual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dissolved oxygen have varied to 7.2-$25.9^{\circ}C$, 32.9-34.0 psu, 7.9-8.7 mg/l, respectively. In April, the smallest size of spat, 3.3 mm in shell length, have recruited, and 82.5 mm have recorded to the maximum. In summer, variations of growing up between individuals showed both shell length and weights at same cohort. Annual production at 2 m, 5 m, 8 m depth calculated to 10.91, 10.85 and 9.19 gWWt/ind./yr, respectively. Mussel cultiv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column (two meter depth) were significantly longer and heavier than those in lower part (eight meter depth). After the recruitment, monthly production showed gradual increment at all positions during summer. As results, annual production of mussel cultivated seemed to be controlled by conditions of growing up in summer. Based on the productivities calculated to this study, the total annual production of the mussel cultivated in Jinhae Bay have estimated about 196 ton/ha/yr.

  • PDF

간척지의 염분농도 차이가 토양의 화학적 조성과 벼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inity Content on Soil Chemical Composition and Productivity of Rice in Reclaimed Saline Paddy Field)

  • 권병선;백선영;신정식;임준택;신동영;김학진;현규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1-186
    • /
    • 2003
  • 간척지 논에서 쌀 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0년 전남 광양만 간척지에서 토양염분농도별 수량과 토양의 이화학적 조성간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0.1%의 염분농도 토양은 8월 15일, 0.4%의 염분농도 토양은 8월 20일, 0.8%의 염분농도 토양은 8월 25일로서 0.1%의 염분농도 토양이 가장 빨랐다. 2. 쌀수량은 토양의 염분농도가 0.1%로 낮은 토양이 599kg/10a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0.4%의 염분농도 토양이 568kg/10a이었고 0.8%의 염분농도 토양은 446kg/10a로 가장 낮았으며 쌀수량 구성 요소 역시 같은 경향으로 0.1%의 염분농도 토양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으로는 0.4%, 0.8%순으로 나타났었다. 3. 쌀수량과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간의 상관에서는 pH와는 부의상관, 유기물, 인산, 질소, 가리, 칼슘, 마그네슘의 함량간에는 정의 상관이었다. 4. 전남광양만 간척지에서 쌀수량과 수량구성 요소면에서 볼 때에 적합한 토양의 염분농도는 0.1%이라고 사료된다.

On the Cold Water Mass Around the Southeast Coast of Korean Peninsula

  • An, Hui Soo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9권1_2호
    • /
    • pp.10-18
    • /
    • 1974
  • The cold water mass around the south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s analyzed by using CSK data from 1966 through 1970. It is shown that this water mass flows down from the region offshore of Jukbyun to the area of Youngil Bay along the 100meter contour line of bottom topography. In ordinary summer conditions when the current velocity in the Korea Strait is usually above about 50cm/sec and the wind direction is southwest, the cold water ascends to the surface and makes the surface temperature gradient large, unless disturbed by a tropical cyclon. The bottom water of the Korea Strait is formed by the stratification after the Tsushima intermediate water and the Japan Sea intermediate water have been mixed. In winter the Tsushima intermediate water with high salinity sinks rapidly around the inlet of the Japan Sea and prevents the Japan Sea intemediate water from entering the Korea Strai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