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amander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17초

Effects of Physical Parameters and Age on the Order of Entrance of Hynobius leechii to a Breeding Pond

  • Lee, Jung-Hyun;Park, Dae-Si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1권3호
    • /
    • pp.183-191
    • /
    • 2008
  • To determine the age structure of a Hynobius leechii breeding population and analyze relationships between the order of entrance to breeding ponds and physical parameters and age, we studied a wild population of the species in the Research Forests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n Chuncheon, Kangwon, South Korea from March 16 to April 13, 2005. The age of breeding males ranged one to nine years old and that of females ranged from three to nine years old. The asymptotic sizes of males and females were 6.36 and 6.51 cm, respectively, and the growth coefficients of males and females were 0.71 and 0.81, respectively. The snout-vent length (SVL), head length, and body mass of males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age, but female age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ny physical parameter. The tail depth, body mass, and condition factors (SVL/body mass $\times$ 100) of both males and females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the order of entrance to the breeding pond. The head width and SVL of males were also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order of entrance, but the SVL of female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order of entr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hysical parameters are more important determinants of breeding migration patterns than age. We discuss which of two hypotheses, the mate opportunity hypothesis and the susceptibility hypothesis, is better able to explain the order of entrance to breeding ponds for male and female H. leechii.

Entering and Exiting Routes of Hynobius leechii to a Breeding Site and Staying Time within the Site

  • Sung, Ha-Cheol;Lee, Jung-Hyun;Park, Dae-Si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5호
    • /
    • pp.237-243
    • /
    • 2005
  • To study entering and exiting routes of male and female Hynobius leechii to a breeding site and staying time of them within the breeding site, we monitored a breeding population located in the research forests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e breeding site was surrounded by a drift fence associated with nine pitfall traps. The breeding season of this population was about one month, from 16 March to 13 April, 2005. Breeding males arrived earlier at the breeding pond than females did. The operational sex ratio (OSR), defined as the ratio of males to females which are ready to mate, over a breeding season was female-biased as 0.67 male vs 1 female (57 males vs 87 females), but daily OSRs, OSR in a particular day, within the breeding pond were male-biased with $1.36\sim7.5$ male vs f female in six days out of seven investigated days. While breeding males stayed in the breeding pond for about 11 days, breeding females left the pond as soon as they completed oviposition. However, the females stayed at terrestrial areas near the pond for about seven days before completely leaving the breeding site. Entering and exiting routes to the breeding site were different between males and females, and between ovulated and oviposited females. Both males and females arrived earlier at the breeding site stayed longer within the site. Males stayed longer within the breeding site lost more body weight.

녹색성장의 상보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lementarity of Green Growth)

  • 박성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306-32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green growth issues such as employment, education and training, social capital and nature's standing right from the complementary perspective between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economic growth. Green growth can be defined as a growth which lowers an increasing rate of entropy and at the same time improves our living standard. Green growth paradigm requires a quite amount of understanding the laws of thermodynamics and the uncertainty principle as the highest orders which regulate our overall socio-economic behaviors. They suggest that socio-economic growth is a mere transformation process of natural energy from one form to another and they increases natural manmade entropy over time. The most important issue of green growth policy may be a problem concerning employment and/or unemployment since green growth may induce inevitable movement of resources from the existing industries to the green sector. In particular, green industries will demand more highly specialized manpower than the existing ones. Without a well-designed new training education system and social capital accumulation toward environmental concerns, green growth may accompany a substantial amount of structural involuntary frictional unemployment. This may increase not only wealth-distribution disparity but also political instability. In order to achieve harmonious green growth, we should recognize that there are important complementary relationships between green and growth. Our society should also be able to innovate the existing educational system to accumulate social capital, to create a new sharing system, and to admit nature's standing right. Although the 2003 lawsuit case of Korean Salamander in Cheonseong Mountain went against plaintiff, it would provide apparently our society with a way of green development ahead.

Reproductive Function of the Body and Tail Undulations of Hynobius leechii (Amphibia: Hynobiidae): A Quantitative Approach

  • Kim, Ja-Kyeong;Lee, Jung-Hyun;Ra, Nam-Yong;Lee, Heon-Ju;Eom, Jun-Ho;Park, Dae-Si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3권1호
    • /
    • pp.71-78
    • /
    • 2009
  • To clarify the reproductive function of vibration signals in Hynobius, which has externally fertilized eggs, we quantitatively analyzed the body and tail undulations of male Korean salamanders (Hynobius leechii) in sixteen mating events. One large and one small male, and one female were used in each mating event. We analyzed behaviors recorded over a total of 3 hrs for each mating event; 2 hrs before and 1 hr after female's oviposition. Males touched females using their snouts or body trunk throughout the entire mating periods, but females touched males increasingly more after approximately 1 hr before oviposition. Males conducted body undulations more than 50 times per 10 minutes at a mean frequency of 0.64 Hz. Large males conducted more body undulations than small males, particularly on the tree twig where females attached their egg sacs. Males responded to other males' body undulation throughout the mating period by orienting their head towards, approaching, and touching the undulating male. Females only responded for about 10-20 min before ovipositing, and most responses were directed to the large male's body undulation. Males conducted tail undulations 3.0 times per 10 min at a mean frequency of 1.7 Hz and most tail undulations occurred after one male bit the other ma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dy undulations function in both male-female and male-male interactions, while tail undulations mainly functions in male-male competition. Also, male H. leechii appear to actively attract females, while females respond to the males only at times close to oviposition.

국내 멸종위기양서·파충류의 공간적 분포형태와 주요 분포지역 예측에 대한 연구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and Prediction of Hotspot Area for Endangered Herpetofauna Species in Korea)

  • 도민석;이진원;장환진;김대인;박진우;유정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81-396
    • /
    • 2017
  • 생물 종의 분포를 파악하는 것은 진화생물학 뿐만 아니라 보전생물학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최근에는 직접적인 관찰 위주 결과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종 분포 모델을 적용한 멸종위기종의 보전에 대한 연구들이 다양한 분류군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체들이 관찰된 좌표 자료와 종 분포 모델링 기법을 바탕으로 한국에 서식하고 있는 멸종위기양서 파충류 종들의 주요 분포지역을 예측하고 이들의 서식지 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멸종위기양서 파충류는 이끼도롱뇽(Karsenia koreana)과 수원청개구리(Hyla suweonensis), 금개구리(Pelophylax chosenicus), 맹꽁이(Kaloula borealis), 구렁이(Elaphe schrenckii), 표범장지뱀(Eremias argus), 남생이(Mauremys reevesii), 자라(Pelodiscus sinensis)를 포함하며, 고리도롱뇽(Hynobius yangi)과 비바리뱀(Sibynophis chinensis)은 표본수가 적어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그 결과 고도가 멸종위기종들의 분포에 가장 중요한 환경변수로 나타났으며, 그들이 분포한 고도는 그 지역의 기후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종분포 모델링에서 예측된 분포지역은 본 연구의 관찰결과 뿐만 아니라 다른 선행 조사의 관찰결과를 충분히 포함하고 있었다. 8종의 AUC 값은 평균 $0.845{\pm}0.08$로 비교적 높게 측정되었고, 오류 값은 $0.087{\pm}0.01$로 비교적 낮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생성된 멸종위기종들의 종 분포 모델은 성공적으로 생성되었다고 판단된다. 멸종위기양서 파충류들의 주요 분포지역을 확인하기 위해 분포 모델들을 중첩한 결과, 5 종은 한반도의 서쪽 지역인 경기도와 충청남도의 해안지역 주변에서 공통적으로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지역들을 우선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야 하며, 이러한 결과들은 멸종위기양서 파충류의 보호지역을 지정함에 있어 보호대책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멕시코산 엑소로틀 다리 재생조직의 탈분화와 리소솜 산성탈인산화효소의 발현 (Dedifferentiation Correlates with the Expression of Lysosomal Acid Phosphatase in the Limb Regenerates of Mexican Axolotl)

  • 서광석;박숙경;주공건;전상학;김원선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권1호
    • /
    • pp.53-62
    • /
    • 1998
  • 리소솜 acid phosphatase(LAP)를 포함하는 리소솜 산성 가수 분해 효소는 세포 내,외 성분의 분해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며, 유미 양서류의 다리 재생 과정에서 LAP의 효소 활성도는 탈분화시기에 특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멕시코산 도룡뇽의 일종인 axolotl(Ambystoma mexicanum)의 다리 재생 가정에서 정상적인 다리 재생 조직과 retinoic acid (RA)가 처리된 다리 재생 조직에서 LAP의 분포 및 발현을 면역 화학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Axolotl의 다리 재생 조직에서 한국산 도룡뇽(Hynobius leechii)의 LAP에 대한 단일 항체를 이용한 면역 반응도는 줄 탈분화시기에 있는 wound epidermis와 미분화된 중배엽성 세포인 blastema 세포, 탈분화 상태의 근육과 연골 부위 세포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LAP의 면역 반응도는 재생단게의 초기에 점차 증가하여 탈분화시기 동안 최대치에 도달하였으며, 재분화가 시작되면서 basal level 까지 서서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ulcorner. 유미 양서류의 다리 재생 과정에서 골격 패턴의 복제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RA 처리는 LAP의 면역 반응도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나\ulcorner. 즉, RA가 처리된 다리 재생 조직에서 LAP의 면역 반응도는 정상적인 다리 재생 조직에서 보다 강하게 나타났으며, 면역 반응도가 나타나는 시기 또한 연장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다리 재생 조직에서 RA 처리가 탈분화시기의 연장에 관여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지표종을 이용한 생태계 위해성평가 (Ecosystem Risk Assessment Using the Indicator Species)

  • 장진수;김경웅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2권1호
    • /
    • pp.103-115
    • /
    • 2007
  • 생태계 위해성평가는 유해물질의 노출로 인한 생태계 교란, 생물 공생의 파괴 및 부적합한 서식조건에 의한 생물집단구조의 문제를 적절히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초기의 위해성 평가는 오염의 수준을 숫자로 표기하여 단일된 공식으로 평가하였으나, 현재 이러한 평가는 실제로 생태계에 미치는 위해성을 평가하는데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지표종을 이용한 생태 위해성평가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며 육안적 지표의 변화 뿐만 아니라 유전자 수준에서의 변화까지도 감지함으로써 위해성 평가의 폭을 넓힐 수 있게 한다. 국외의 경우 오염의 평가 및 오염 지역 복원의 평가기준으로 여러 지표종을 이용하고 있으며, 여러 지표종을 국가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관리하며 오염으로 인한 변화를 유전자 돌연변이 및 암발생 수준까지 연구함으로써 생태계 위해성 평가를 하는 추세이다. 국내의 경우에도 점차 지표종을 이용한 유해성 평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오염물질의 인체에서의 발암 메커니즘, 동물실험을 통한 발암 메커니즘에까지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이용되는 여러 지표종을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중금속으로 오염된 폐광산에서 발견된 생지표종인 고사리, 지렁이, 미생물 및 도룡뇽의 변화를 생태계 위해성 평가에 활용되어진 다양한 예가 소개되어 질 것이다.

양서류 피부 색소세포의 미세구조 (The Ultrastructure of the Cutaneous Pigment Cells in the Amphibia)

  • 김한화;노용태;지영득;문영화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33-144
    • /
    • 1981
  • 도룡뇽 배부피부의 색소세포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표피의 색소세포는 종자층 사이에 있는 흑색소세포와 각질세포층에 산재해 있는 흑색 소보유세포로 구성되었으며 표피내 이들 세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A. 흑색소세포의 핵은 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부분적으로 크고 작은 핵막함요를 나타내었다. B. Rough-surfaced endoplasmic reticulum과 Golgi체가 특히 흑색소세포의 핵 아래부분의 세포질에 잘 발달되었으며, ribosome은 특히 핵 주변부와 인접하여 산재해 있었다. C. 흑색소세포의 흑색소과립은 전자밀도가 높고 낮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나타났다. D. 흑색소보유세포의 핵은 일부분의 핵막이 깊게 함입하였으며, 흑색소과립이 세포질에 채워져 있으므로 다른 세포소기관은 구별되지 않았다. 2. 진피는 기저막 바로 밑의 대황세포와 흑색소보유세포로 구성되었으며, 전피내 이들 세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A. 대황세포는 크기가 다른 원형 또는 타원형의 소낭을 가지고 있으며, 그 소낭은 6가지의 형으로 구분되었다. (제 1형 prerinosome, 제 2형 pterinosome, 제 3형, pterinosome, 제 4 형 pterinosome, 제 5 형 pterinosome, 제 6 형 pterinosome). B. 진피의 흑색소보유세포의 핵은 긴 타원형이며, 핵막의 일부분이 깊게 함입되었다. C. 같은 전자밀도의 흑색소과립이 흑색소보유세포의 전 세포질에 채워져 있으며, 다른 세포소기관은 관찰되지 않았다. D. 흑색소보유세포의 돌기는 대황세포와 평행하여 뻗어 있었으며, 그 돌기속에는 흑색소과립이 채워져 있었다.

  • PDF

기후변화에 따른 산간계곡에 번식하는 계곡산개구리 (Rana huanrenensis)와 도롱뇽 (Hynobius leechii) 번식개체군 크기의 변동 (Changes in the Reproductive Population Size of the Huanren Brown Frog (Rana huanrenensis) and Wonsan Salamander (Hynobius leechii), which Breeding in Mountain Valley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 최우진;박대식;김자경;이정현;김대인;김일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82-590
    • /
    • 2018
  • 기후변화에 따른 양서류 번식계절학 및 양서류 군집다양성 변동에 대한 연구는 다수 수행되었지만, 개별 종의 번식개체군 크기의 변동에 대한 연구결과는 여전히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가 국내 산간계곡에서 번식하는 무미류인 계곡산개구리(Rana huanrenensis)와 유미류인 도롱뇽(Hynobius leechii) 번식개체군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2005년부터 2012년 사이 8년간의 야외개체군 변동과 주변 기후변화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야외에서 두 종은 각각 약 3.5년을 주기로 번식개체군의 크기가 증감하고 있었다. 특별히, 도롱뇽 번식개체군의 크기는 8년에 걸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기후요인들 중, 기온은 계곡산개구리, 강수량은 도롱뇽 번식개체군의 크기와 더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특별히, 해당지역에서는 8년에 걸쳐 년간평균최고기온 및 봄철평균일교차가 일관되게 감소하였으며, 후자는 도롱뇽 번식개체군 크기의 의미 있는 감소와 관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의 기후변화가 산간계곡에서 번식하는 국내 양서류, 특별히 도롱뇽, 번식개체군 크기의 감소로 직접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