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ad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24초

Prevalence and Quantifica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Raw Salad Vegetables at Retail Level

  • Tunung, R.;Margaret, S.P.;Jeyaletchumi, P.;Chai, L.C.;Zainazor, T.C. Tuan;Ghazali, F.M.;Nakaguchi, Y.;Nishibuchi, M.;Son, R.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2호
    • /
    • pp.391-39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iosafety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raw salad vegetables at wet markets and supermarkets in Malaysia. A combination of the most probable number-polymerase chain reaction (MPN-PCR) method was applied to detect the presence of V. parahaemolyticus and to enumerate their density in the food samples. The study analyzed 276 samples of common vegetables eaten raw in Malaysia (Wild cosmos=8; Japanese parsley=21; Cabbage=30; Lettuce=16; Indian pennywort=17; Carrot=31; Sweet potato=29; Tomato=38; Cucumber=28; Four-winged bean=26; Long bean=32). The samples were purchased from two supermarkets (A and B) and two wet markets (C and D). The occurrence of V. parahaemolyticus detected was 20.65%, with a higher frequency of V. parahaemolyticus in vegetables obtained from wet markets (Wet market C=27.27%; Wet Market D=32.05%) compared with supermarkets (Supermarket A=1.64%; Supermarket B=16.67%). V. parahaemolyticus was most prevalent in Indian pennywort (41.18%). The density of V. parahaemolyticus in all the samples ranged from <3 up to >2,400 MPN/g, mostly <3 MPN/g concentration. Raw vegetables from wet markets contained higher levels of V. parahaemolyticus compared with supermarkets. Although V. parahaemolyticus was present in raw vegetables, its numbers were low. The results suggest that raw vegetables act as a transmission route for V. parahaemolyticus. This study will be the first biosafety assessment of V. parahaemolyticus in raw vegetables in Malaysia.

이태리 레스토랑의 메뉴선택 속성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Menu Selection Factors of an Italian Restaurant on Satisfaction)

  • 민계홍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43-25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주지역 이태리 레스토랑을 대상으로 메뉴 주문시 선택 속성에 관한 중요 내용을 알아보고, 이태리 레스토랑의 이용 형태와 각 메뉴 구성별 좋아하는 음식이 무엇인지 분석을 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태리 레스토랑 메뉴 주문시 선택 속성에 관한 중요도에서는 요인분석에서 건강관리 요인, 서비스관리 요인, 음식관리 요인, 메뉴관리 요인으로 명명하였는데, 만족도 검증 결과 건강관리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태리 레스토랑 이용형태에서는 이태리 음식의 인지도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방문 횟수는 한 달에 1회- 2회, 주 동반인은 가족, 이용 목적은 식사를 하기 위해서, 음식에 대한 정보는 구전을 통해서 정보를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태리 메뉴 중에서 각 메뉴별 좋아하는 음식으로는 안티파스토에서 모짜렐라 치즈요리, 수프에서는 아스파라거스 크림 수프, 파스타에서는 크림소스의 스파게티 까르보나라, 피자에서는 모짜렐라 치즈와 살라미, 검정 올리브, 토마토 소스를 얹어 구운 피자, 샐러드는 모짜렐라 치즈 토마토 샐러드, 주요리 중에서 육류는 쇠고기 안심 스테이크, 생선요리는 광어요리, 후식에서는 신선한 과일과 티라미슈를 좋아하는 음식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고객들이 이태리 레스토랑을 방문했을때 메뉴 선택시 중요하게 이루어지는 내용을 조사대상자 표본 집단별로 분석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이 되어야 하겠다.

  • PDF

새싹채소의 기호도 및 이용 실태 (Studies in the Consumption and Preference for Sprout Vegetables)

  • 이경숙;박금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96-905
    • /
    • 2014
  • 본 연구는 새싹채소와 새싹채소 메뉴의 인지도, 선호도, 이용 실태 및 대중화방안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구 경북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성인남녀 51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새싹채소의 이용 실태 중 구입 동기는 '건강을 위하여'가 가장 많았고, 구입 시 지식 여부는 '신선도만 확인하고 구매 한다'가 46.9%로 높았으며, 연령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구매 시 고려사항은 '신선도', '친환경제품', '가격' 순으로 나타났으며, 30대는 '신선도'를, 50대는 '친환경 제품'을, 60세 이상은 '가격'을 가장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구입용도는 '비빔밥용', '샐러드용'이 높았으며, 구입 장소는 '대형마트 및 백화점'이 81.4%로 가장 많았다. 새싹채소의 구입 빈도는 월 1~2회가 63.8%로 가장 많았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구입 빈도가 증가했다. 새싹채소의 인지도는 무, 순무, 배추, 적무, 보리 순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선호도는 보리, 순무, 무, 배추, 적무 순으로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연령이 높을수록 새싹채소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가 높았다. 새싹채소 메뉴의 선호도는 비빔밥, 샐러드, 비빔국수, 쌈밥 순으로 높았으며, 녹즙이 가장 낮았다. 새싹채소 인식 정도는 '체중조절에 도움이 된다'가 높은 인식수준을 보인 반면 '칼슘을 함유하여 뼈와 치아에 좋다'가 낮은 인식수준을 보였다. 새싹채소의 이용도를 높이고 대중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제품의 위생성, 저장성, 다양한 새싹채소 메뉴개발, 제조회사의 신뢰도, 다양한 유통판매구조 확보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중화 항목을 요인 분석한 결과, 상품품질요인과 판매촉진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이 두 요인 모두 새싹채소 메뉴의 선호도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p<0.001). 이상의 결과 새싹채소의 인지도 및 이용 실태는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새싹채소의 소비 확대를 위해서는 생산, 가공 및 유통 등에서 위생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고, 다양한 새싹채소 메뉴개발 및 품질향상과 판매촉진활동으로 소비자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마늘 풍미유의 휘발성 향기 성분의 변화 (Change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Garlic-Seasoning Oil)

  • 구본순;안명수;이기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20-525
    • /
    • 1994
  • 마늘 풍미유를 합리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Autoclaving Method와 Evaporating Method에 의하여 corn salad oil에 마늘을 raw, flake, extract 형태로 전체 중량의 40%(w/w)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이들 마늘 풍미유를 항온저장($40{\pm}2^{\circ}C$) 및 가열처리($185{\pm}2^{\circ}C$) 하면서 경시적으로 휘발성 향기 성분의 변화를 측정하여 AM 및 E'M의 적합성 및 유효성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마늘 풍미유의 주요 향기성분 중 propane, pentane, diallyl disulfide, methyl allyl trisulfide, diallyl trisulfide 등은 경시적으로 감소현상을 보였으나 carbonyl인 propenal과 hexanal은 증가 추세를 보였다. 항온저장($40{\pm}2^{\circ}C$)시 형태별 총 향기 성분 함량은 raw>extract>flake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향기 안정성은 AM 처리시raw>flake>extract 첨가군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E'M 처리시에는 첨가 마늘의 형태별로는 뚜렷한 차이를보이지 않았다. 가열처리($185{\pm}2^{\circ}C$)시 형태별 향기 성분 함량은 항온 저장시와 동일하였으며 잔류율은 항온 저장시와는 달리 flake>raw>extract의 순으로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정도는 매우 미약하였다. E'M으로 제조된 풍미유의 향기 성분은 AM으로 제조된 풍미유의 향기 성분의 66.1% 수준으로 그 함량이 낮았으나 항온 저장시나 가열 처리시 이들의 함량 변화는 서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에서 AM, E'M에 의해 제조된 마늘 풍미유는 마늘의 독특한 풍미를 보유하면서 상온 저장시에 상당한 기간동안 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아 AM 및 E'M은 풍미유 제조에 합리적인 방법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복분자(Rubus coreanum Miquel) 즙을 이용한 드레싱 제조의 재료 혼합 비율의 최적화 (Formulation Optimization of Salad Dressing Added with Bokbunja (Rubus coreanum Miquel) Juice)

  • 정수지;김나영;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97-504
    • /
    • 2008
  • 본 연구는 새로운 드레싱을 개발하기 위하여 복분자를 이용한 샐러드드레싱을 만들었을 때 최적의 혼합비를 찾기 위하여 혼합물 실험계획법(mixture design) 중 D-optimal design을 이용하였다. 샐러드드레싱의 품질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복분자즙, 기름, 식초의 첨가율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범위는 예비실험을 거쳐 각각 $15.70\sim47.10%$, $23.50\sim39.20%$, $3.90\sim19.60%$로 하였다. 실험 결과를 모델링하여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점도, 적색도, 황색도, 총색차, 유화안정성과 관능검사 항목 중 색이 linear 모델로, 명도와 관능검사 항목 중 냄새,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quadratic 모델로 결정되었다. 모델의 적합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probability가 모두 0.05% 이내에서 유의성을 보여 모델로서 적합함이 인정되었다. 복분자즙을 이용한 샐러드드레싱의 최적 재료 혼합비율은 수치 최적화에서는 복분자즙 36.02%, 기름 26.48%, 식초 12.00%이었고, 모형적 최적화에서는 desirability가 0.577에 해당하는 복분자즙 36.00%, 기름 26.44%, 식초 12.06%로 수치 최적화 점과 거의 일치하는 수치를 보였다. 이는 드레싱을 만들 때 복분자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여 새로운 드레싱 제품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Watermelon Industry Using Unstructured Big Data Analysis

  • LEE, Seung-In;SON, Chansoo;SHIM, Joonyong;LEE, Hyerim;LEE, Hye-Jin;CHO, Yongbeen
    • 산경연구논집
    • /
    • 제12권1호
    • /
    • pp.47-62
    • /
    • 2021
  • Purpose: Our purpose in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watermelon industry using unstructured big data analysis. That is, this study was to look the change of issues and consumer's perception about watermelon using big data and social network analysis and to investigate way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watermelon industry based on that. Methodology: For this purpos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Naver (blog, news) and Daum (blog, news) by TEXTOM 4.5 and the analysis period was set from 2015 to 2016 and from 2017-2018 and from 2019-2020 in order to understand change of issues and consumer's perception about watermelon or watermelon industry. For the data analysis, TEXTOM 4.5 was used to conduct key word frequency analysis, word cloud analysis and extraction of metrics data. UCINET 6.0 and NetDraw function of UCINET 6.0 were utilized to fin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words and to visualize the network relations, and to make a cluster of words. Results: The keywords related to the watermelon extracted such as 'the stalk end of a watermelon', 'E-mart', 'Haman', 'Gochang', and 'Lotte Mart' (news: 015-2016), 'apple watermelon', 'Haman', 'E-mart', 'Gochang', and' Mudeungsan watermelon' (news: 2017-2018), 'E-mart', 'apple watermelon', 'household', 'chobok', and 'donation' (news: 2019-2020), 'watermelon salad', 'taste', 'the heat', 'baby', and 'effect' (blog: 2015-2016), 'taste', 'watermelon juice', 'method', 'watermelon salad', and 'baby' (blog: 2017-2018), 'taste', 'effect', 'watermelon juice', 'method', and 'apple watermelon' (blog: 2019-2020) and the results from frequency and TF-IDF analysis presented. And in CONCOR analysis, appeared as four types, respectively.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authors discussed the strategies and policies for boosting the watermelon industry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prioritize strategies and policies for boosting the consumption of the watermelon an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watermelon industry in Korea. Also,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very important basis for agricultural big data studies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and this study will offer watermelon producers and policy-makers practical points helpful in crafting tailor-made marketing strategies.

국내 유통 중인 혼합채소샐러드 및 신선·냉동과일의 미생물 오염실태 조사 (Microbial Risk Assessment for Mixed Vegetable Salad and Fresh and Frozen Fruits Distributed in Korea)

  • 박현진;이정은;김솔아;심원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24-330
    • /
    • 2021
  •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혼합채소샐러드류, 신선과일 및 냉동과일에 대해 미생물 오염 도를 식품군별, 지역별, 분기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식품군 별로 일반세균수는 혼합채소샐러드에서 가장 높은 6.48 log CFU/g, 신선과일은 5.07 log CFU/g, 냉동과일은3.78 log CFU/g 수준으로 나타났다. 분기별 일반세균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에서는 1분기 오염도는 5.12 log CFU/g, 2분기는 6.26 log CFU/g, 3분기는 5.73 log CFU/g, 4분기는 4.42 log CFU/g으로 확인되어 외부온도가 높은 2,3분기에서 조금 더 높은 일반 세균수가 관찰되었다. 지역별 일반세균수의 오염은 5.26-5.47 log CFU/g으로 수준으로 지역별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대장균군의 경우 1.98-3.93 log CFU/g으로 나타났고, E. coli의 경우 혼합채소샐러드 27점 중 3점에서 평균 1.38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혼합채소샐러드와 신선과일은 Solberg 등이 제시한 비가열 식품의 일반세균 기준치(3 log CFU/g)를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3점의 신선과일 시료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어 샐러드류 및 신선과일의 원료의 안전성과 제조 및 유통 단계에서의 위생관리가 보다 철저히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선일보에 게재된 음식만들기 기사분석 (Analysis of Home Cooking Articles in Cho-Sun Daily Newspaper)

  • 황귀련;김영남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05-111
    • /
    • 1995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dietary life a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conomic growth caused the change in dietary life. Newspaper articles on home cooking in Cho-Sun Daily Newspaper, published from 1961 to 1993,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1) Total number of articles on home cooking was 817. Traditional Korean foods had been introduced more often than foreign foods, particularily after the third period($'79{\sim}'93$). In the first period($'61{\sim}'67$ serving size of 5 had been adapted mainly, whereas serving size of 4 had been adapted more frequently after third period. (2) Vegetable foods were the most frequently introduced item in home cooking articles as a whole. In the third and forth periods starch foods had been reduced, whereas vegetable and meat foods had been increased in home cooking articles. Use of foods of the season had been reduced thanks to spreading of greenhouse and to improvement of food storage technology. (3) Traditional Korean foods were largely composed of kimchi, boiled rice, Korean style soup and stew which are basic foods in Korea. Foreign foods introduced were mainly beverage, alcoholic drink and salad. Since 1980 meat, chicken and vegetable dishes had been frequently introduced. In conclusion, the daily newspaper articles on home cooking reflect the changes in Koreans' food consumption pattern and consciousness of dietary life.

  • PDF

단순가공 식품재료 개발을 위한 단체급식에서의 채소류 이용의 현황 조사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Vegetable Utilization in the Development of Simple Pre-processed Foods)

  • 김미영;백옥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5-133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trengthen productivity and employee management through the development of simple pre-processed foods based on Hansik (Korean foods) and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of fresh vegetable menus, pretreatment, and cooking time in the preparation of vegetable side dishes. The reasons for not using pretreated foods were increased cost, required product size is not available, and not hygienic. The acceptable rate of increase in cost when purchasing simple pre-processed foods was under 10%. The expected developed products of simple pre-processed vegetable foods were balloon flower root salad, seasoned green vegetables, and sheredded white radish. The expected developed products of simple mixed vegetable pre-processed foods were deodeok+balloon flower root and white radish+pear. Based on these finding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simple preprocessed foods, development of various product sizes and sauces is needed, cost must be reduced, and hygiene improved.

초등학교 급식용 세트메뉴 계발을 위한 일품요리와 반찬의 조합기호에 관한 연구 (Combination Preferences of Side Dishes and One-Dish Items to Develop Set Menus for School Foodservice)

  • 김석영;민순옥;이명화;류선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3호
    • /
    • pp.307-315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preferences for one-dish items and the combination preferences of one-dish items and side dishes that were served and eaten together. Participants were 710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were asked to write three of their favorite one-dish items and to select a preferred side dish among 25 of items for each one-dish item. In this way total 41 one-dish items were assessed to combine with a preferred side dish. The results showed that schoolchildren chose Kuksu as their most favorite one-dish item followed by Jajangmyon and curry rice. Kimchi was the most preferred side dish when they consumed one-dish items, especially Ramyon, Jabchebab, and one-dishes containing much broth. Danmugy was liked when they consumed Gimbab, Jajangbab, and Jajangmeon. Kackdugi was chosen as a favourite side dish when they ate Chungmugimbab and fruit salad was most preferred with Spaggetti. There is a difference in preference for side dishes among the three areas of residence. More schoolchildren in Namhae than in Jinju or in Busan liked Kackdugi when they consumed several one-dish items, like curry rice and Dakj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