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critical system

검색결과 866건 처리시간 0.049초

정형기법을 이용한 Safety-Critical System 개발 방법론 (Development Methodology of Safety-Critical System Using Formal Method)

  • 성창훈;이나영;오승록;최진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1)
    • /
    • pp.486-488
    • /
    • 2000
  • 본 연구는 정형기법을 사용하여 Safety-Critical System의 개발 방법론을 제시한다. Safety-Critical System의 전체적인 개발 과정을 제시하고 Safety-Critical System 중의 하나인 원자력 발전소 시스템 중 Reactor Protection System(RPS)을 정형 명세(Formal Specification)하고 정형 검증(Formal Verification)하는 과정과 그에 따른 각 과정의 Compliance를 확인하는 예를 든다. 여기서 정형 명세에는 Software Cost Reduction(SCR)이하는 도구가 사용되었고, 정형 검증에는 SPIN이, Compliance를 확인하는 데에는 Prototype Verification System(PVS)를 사용하였다.

  • PDF

Safety Critical 시스템에서 사고의 예방동작간 충돌 분석 기법 (A Collision Analysis Technique for Prevention Actions of Accident in Safety Critical System)

  • 권장진;홍장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2권10호
    • /
    • pp.661-668
    • /
    • 2013
  • Safety Critical 시스템은 시스템의 기능적인 실패 또는 예기치 못한 상황의 발생으로 인해 인명피해, 재산피해, 환경 피해와 같은 치명적인 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Safety Critical 시스템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설계 단계에서 시스템에 존재할 수 있는 위험성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하며, 사고가 발생했을 시 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일련의 예방 동작들이 설계되어야 한다. 현재에는 Safety Critical 시스템의 설계 단계에서 위험성을 식별하고 분석하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연구되었으며, 이 중에는 예기치 못한 사건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는 동작들의 성공 여부를 분석하는 기법도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예방 동작들의 성공 여부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기존 연구들에서 언급하지 못한 예방 동작들 간의 충돌과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한 방법을 통해 Safety Critical 시스템의 안전성이 견고해지고 피해 예방을 위한 동작들의 올바른 설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Design of safety critical and control systems of Nuclear Power Plants using Petri nets

  • Singh, Pooja;Singh, Lalit Kumar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1권5호
    • /
    • pp.1289-1296
    • /
    • 2019
  • Non-functional requirements plays a critical role in designing variety of applications domain ranges from safety-critical systems to simple gaming applications. Performance is one of the crucial non-functional requirement, especially in control and safety systems, that validates the design. System risk can be quantified as a product of probability of system failure and severity of its impact. In this paper, we devise a technique to do the performance analysis of safety critical and control systems and to estimate performance based risk factor. The technique elaborates Petri nets to estimate performability to ensure system dependability requirements. We illustrate the technique on a case study of Nuclear Power Plant system. The technique has been validated on 17 safety critical and control systems of Nuclear Power Plant.

SCADE와 Safety-critical 개발 (SCADE and Safety-critical developement)

  • 정성환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20-1424
    • /
    • 2011
  • When it developes the railway system, safe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necessary things. SCADE SUITE has been used in many systems, like plane, transportation, nuclear power, etc, who have high priority to safety. This document introduces where SCADE SUITE has been used and describes how develope safety-critical system with SCADE.

  • PDF

철도 안전필수 소프트웨어를 위한 안전기준 도출 (Development of Safety Criteria for Railway Safety Critical Software)

  • 정의진;신경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1201-1202
    • /
    • 2007
  • Safety critical systems are those in which a failure can have serious and irreversible consequences. Nowadays digital technology has been rapidly applied to critical system such as railways, airplanes, nuclear power plants, vehicles. The main difference between analog system and digital system is that the software is the key component of the digital system. The digital system performs more varying and highly complex functions efficiently compared to the existing analog system because software can be flexibly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flexible design make it difficult to predict the software failures. This paper reviews safety standard and criteria for safety critical system such as railway system and introduces the framework for the software lifecycle. The licensing procedure for the railway software is also reviewed.

  • PDF

Safety Margin Evaluation of Railway wheel Based on Fracture Scenarios

  • Kwon, Seok Jin;Lee, Dong Hyung;Seo, Jung Won;Kwon, Sung Tae
    • International Journal of Railway
    • /
    • 제5권2호
    • /
    • pp.84-88
    • /
    • 2012
  • Derailment due to wheel failure would cause a tremendous social and economical cost in service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evaluate quantitatively the safety with respect to high-speed train. Although the safety of railway wheel has been ensured by an regular inspection, all critical defects cannot be detected in inspection cycles and the wheel has been replaced because a defect quickly become critical for safet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alculate quantitatively the fracture limit and remnant life of damaged railway wheel in wheel-rail system. In present paper, the critical crack size of wheel for high-speed train is simulated based on fracture scenario and the safety of wheel is evaluated.

Safety Critical 시스템의 센서 결함 허용을 위한 Kalman Hybrid Redundancy 개발 (Development of Kalman Hybrid Redundancy for Sensor Fault-Tolerant of Safety Critical System)

  • 김만호;이석;이경창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1180-1188
    • /
    • 2008
  • As many systems depend on electronics, concern for fault tolerance is growing rapidly in the safety critical system such as intelligent vehicle. In order to make system fault tolerant, there has been a body of research mainly from aerospace field including predictive hybrid redundancy by Lee. Although the predictive hybrid redundancy has the fault tolerant mechanism to satisfy the fault tolerant requirement of safety crucial system such as x-by-wire system, it suffers form the variability of predic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input feature of system. As an alternative to the prediction method of predictive hybrid redundancy for robust fault tolerant, Kalman prediction has attracted some attention because of its well-known and often-used with its structure called Kalman hybrid redundancy. In addition, several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are given where the Kalman hybrid redundancy outperforms with predictive smoothing voter.

KUH 임무탑재시스템의 안전성설계 및 검증 (Safety Design and Validation of Mission Equipment Package for Korean Utility Helicopter)

  • 김유경;김명진;김태현;임종봉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813-822
    • /
    • 2010
  • 안전성 요구수준이 서로 다른 비행필수 데이터(Flight Critical Data)와 임무필수 데이터(Mission Critical Data)의 시현을 처리하기 위해 별도의 독립된 계기를 사용하지 않고 Glass Cockpit 설계를 적용하여 데이터를 통합처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독립적으로 설계 진행되어온 비행조종계통과 임무탑재시스템의 통합설계를 위해 설계변경을 최소화하면서 비행조종계통에서 요구되는 비행필수 데이터처리의 안전성 요구수준을 만족시키는 최적화 설계를 제안하였다. 비행필수 데이터의 시현을 처리하기 위해 KUH 임무탑재시스템의 핵심구성품인 임무컴퓨터(Mission Computer)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설계변경을 최소화하였다. 임무탑재시스템의 안전성 요구도(Safety Requirement)를 검증하기 위한 시험절차를 개발하여 임무탑재시스템 통합시험장비(SIL)를 이용한 시험 수행 결과 안전성 요구도가 만족됨을 확인하였다.

정형기법을 이용한 Safety-Critical System 개발방법론 적용사례 (Case Study on Development Methodology of Safety-Critical System Using Formal Method)

  • 성창훈;이주용;이나영;최진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A)
    • /
    • pp.595-597
    • /
    • 2001
  •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은 날이 갈수록 규모 면에서 대형화되고, 기능면에서 복잡해지고 있다. 이런 복잡성의 증가로 시스템 에러 발생가능성은 더욱 높아졌다. 특히, safety-critical 시스템의 경우 에러가 발생했을 때 인간과 생태계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더욱 신중한 개발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형기법을 이용한 safety-critical 시스템의 개발방법론이 나오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safety-critical 시스템인 원자력 발전소 시스템에서 Digital Plant Protection System(DPPS)를 가지고 어떻게 방법론이 적용되는지를 보여준다. Software Cost Reduction(SCR)이라는 정형 명세 도구로 명세를 하였고, SPIN 이라는 정형 검증 도구로 그 특성(property)을 검증하였다.

  • PDF

Safety Critical 시스템의 위험성 해결을 위한 Hazard Perspective 정의 (Hazard Perspective to Solve Hazard of Safety Critical System)

  • 권장진;홍장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B)
    • /
    • pp.135-137
    • /
    • 2012
  • Safety Critical 시스템은 예상치 못한 오류가 발생했을 시 인명, 재산 및 심각한 환경 피해 등이 발생 할 수 있는 임베디드 시스템이다. Safety Critical 시스템에는 많은 위험성들이 잠재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시스템에 존재하는 위험성을 분석하는 활동이 중요시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afety Critical 시스템의 잠재적인 위험성들을 분석하고 이를 아키텍처 설계에 반영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Hazard Perspective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Hazard Perspective는 위험성 분석으로 산출된 정보들과 SSR(System Safety Requirement)을 시스템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제시된 여러 Safety Architectural Tactics와 매핑하여 아키텍처 설계에 반영시킴으로써 시스템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