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검색결과 557건 처리시간 0.025초

AI 기반 재난안전통신망 프로텍트 구현 (Implementation of AI-based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protect)

  • 배세진;안중현;이정수;박정수;백남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55-656
    • /
    • 2021
  • 2021년 4월, 재난안전통신망 서비스가 개시되었으나 서비스 초기로 보안기능이 취약한 상태이다. 현재 Android 기반 APP의 보안방법은 구글 프로텍트(Google Protect)의 기술을 사용하여 악성코드를 탐지하는 것이다. 악성코드는 종류가 다양하고 많기 때문에 직접 탐지하기 어려우므로, AI와 구글 프로텍트의 기술을 합한 악성코드탐지 기술을 재난안전통신망에 적용함으로써 'AI 기반 재난안전통신망 프로텍트'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 PDF

재난통신 체계에 따른 품질요건 재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design of Quality Requirements for Disaster Communication Systems)

  • 양정모;김정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327-335
    • /
    • 2015
  • 재난통신망은 TETRA(TErrestrial Trunked RAdio)에서 대용량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광대역 이동통신 기술인 Public Safety-LTE(Long Term Evolution) 자가망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재난재해 대응기관 간의 일원화된 통신체계 유지를 위해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재난재해 현장에 위치한 피해당사자와의 통신을 고려하지 않고 재난재해 대응기관 간 지휘통제를 중심으로 통신망을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재난통신망 구축동향과 해외 선진사례를 해석하여 전 범위 재난통신망 구축을 위한 쟁점을 도출하고 통신주체와 목적에 따라 재난통신 영역을 새롭게 정의하여 재난통신 영역을 통제통신, 대응통신, 현장통신, 당사자통신, 경보통신으로 세분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재정의 된 재난통신 영역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핵심 품질요건을 재설계하여 영역별 음영지역 없는 전 범위 재난통신 체계 구축방안을 수립하였다.

우리나라의 해상 안전 통신망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ion Marine of Safety in the country)

  • 오문희;신현식;박연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1017-1024
    • /
    • 2001
  • 경제성장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해상의 수송물량이 급격히 증가함으로써 해상에서 크고 작은 해상재해 가 발생되고 있다. 그러므로 무엇보다 중요한 해상의 안전통신망 관리체계와 그 시설 현황을 살펴보고 분석함으로써 국내 해상안전 통신망의 선진화 방안과 관리체계를 연구하고자 한다.

  • PDF

철도통합무선망(LTE-R)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이중화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Redundancy for Stable Operation of Integrated Railway Network (LTE-R))

  • 표승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1-58
    • /
    • 2019
  • LTE 시스템은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이후 정부는 재난 상황에 신속한 대처를 위하여 통합된 재난안전 통신망을 조속히 구축 하기로 결정하고 8대분야 333개 기관이 통합된 재난안전통신망을 구축 하기로 하였다(미래창조 과학부 재난망 기술 방식 선정완료). 주파수는 700MHz 대역으로 철도통합무선망인 LTE-R, 연근해통신망인 LTE-M을 통합 운용 하기로 하였다. 철도 무선통합망인 LTE-R과 관련 국토 교통부는 현재 음성통신 위주의 통신시스템인 VHF, TRS을 사용하고 있는 국내 철도통신시스템이 앞으로는 첨단화 지능화 되어가는 철도서비스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고속에서 대용량 정보전송이 가능한 LTE-R이 구축됨에 따라 무선기반 열차제어 등 첨단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지고 철도안전 향상이 가능 하다. 2018년 이후 개통되는 신규 노선과 개량시기가 도래하는 기존 노선에 총 1조 1천억 원을 투입하여 2027년까지 일반 고속철도의 모든 노선을 LTE-R로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나라의 재난안전통신무선망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South Korea's disaster safety of wireless communication)

  • 신현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1-6
    • /
    • 2011
  • 본 연구는 재난안전 무선통신망 구축 활용을 위한 사업 중단으로 재난 관련 기관들의 무선통신망 미확보 및 장비노후화에 따라 인명 및 재산피해가 확산될 우려가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연구 하에 예방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원전 안전통신망을 위한 TDMA 기반의 프로토콜 개발 (Development of TDMA-Based Protocol for Safety Networks in Nuclear Power Plants)

  • 김동훈;박성우;김정헌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시스템및제어부문D
    • /
    • 제55권7호
    • /
    • pp.303-312
    • /
    • 2006
  • This paper proposes the architecture and protocol of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for the safety system in nuclear power plants. First, we establish four design criteria with respect to determinability, reliability, separation and isolation, and verification/validation. Next we construct the architecture of the safety network for the following systems: PPS (Plant Protection System), ESF-CCS (Engineered Safety Features-Component Control System) and CPCS (Core Protection Calculator System). The safety network consists of 12 sub-networks and takes the form of a hierarchical star. Among 163 communication nodes are about 1600 origin-destination (OD) pairs created on their traffic demands. The OD pairs are allowed to exchange data only during the pre-assigned time slots. Finally, the communication protocol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design factors for the safety network. The design factors include a network topology of star, fiber-optic transmission media, synchronous data transfer mode, point-to-point link configuration, and a periodic transmission schedule etc. The resulting protocol is the modification of IEEE 802.15.4 (LR-WPAN) MAC combined with IEEE 802.3 (Fast Ethernet) PHY. The MAC layer of IEEE 802.15.4 is simplified by eliminating some unnecessary (unctions. Most importantly, the optional TDMA-like scheme called the guaranteed time slot (GTS) is changed to be mandatory to guarantee the periodic data transfer. The proposed protocol is formally specified using the SDL. By performing simulations and validations using Telelogic Tau SDL Suite, we find that the proposed safety protocol fits well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the requirements of the safety system in nuclear power plants.

방재정보통신시스템 관리 운용 및 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and Application for Preven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 강희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611-618
    • /
    • 2008
  • 방재통신시스템은 방재행정무선시스템을 주체로 정비되고 최근에는 위성통신을 확대하고, 유선통신과의 상호보완 멀티미디어화 등을 들 수 있다.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방재정보통신 분야로는 풍수해, 시설안전, 교통안전, 산업안전, 에너지안전, 소방안전, 정보통신 안전, 특수안전 분야에는 방사능 누출사고, 환경오염, 해양오염, 산림재해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기술을 이용한 방재정보통신시스템을 통신 기반시설로서 방재와 관련한 정보를 일원적으로 관리 운용하는 시스템 및 용용에 대하여 연구한다.

  • PDF

해상 안전 종합통신망 구축 제안 (A proposal to build comprehensive maritime safety communication networks)

  • 양규식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920-92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최근 5년 동안의 국내 및 일본에서 일어난 선박 해난사고, 특히 어선 등 소형 선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고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선박에 설치해야할 무선설비와 선박위치 식별장치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용되는 전파의 전달특성 및 통신기의 운용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형태의 해상안전 종합 통신망을 제안하였다.

TCN(Train Communication Network) 통신 시험용 WTB(Wire Train Bus) Analyzer 개발 (The development of WTB(Wire Train Bus) Analyzer for the TCN(Train Communication Network) testing)

  • 전성준;백진성;손강호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36-1945
    • /
    • 2008
  • In Korea, TCN has applied to the Korean High-speed Train (HSR350X) through G7 High-speed Train development project. TCN is the most suitable international standard communication network for distributed control systems that is adopted for high-speed of vehicle, safety and flexibility. TCN is the network exclusively for the high-speed train and electrical trains. This TCN satisfies the network standards. The network standards are real time communication, fault tolerance design, integrated data system, resistance of environment, automated recognition for modification of vehicle formation and maintenan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pplying the development of WTB analyzer which is part of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TCN, to check the communication of high-speed trains and electrical trains.

  • PDF

Wireless safety monitoring of a water pipeline construction site using LoRa communication

  • Lee, Sahyeon;Gil, Sang-Kyun;Cho, Soojin;Shin, Sung Woo;Sim, Sung-Han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30권5호
    • /
    • pp.433-446
    • /
    • 2022
  • Despite efforts to reduce unexpected accidents at confined construction sites, choking accidents continue to occur. Because of the poorly ventilated atmosphere, particularly in long, confined underground spaces, workers are subject to dangerous working conditions despite the use of artificial ventilation. Moreover, the traditional monitoring methods of using portable gas detectors place safety inspectors in direct contact with hazardous conditions. In this study, a long-range (LoRa)-based wireless safety monitoring system that features the network organization, fault-tolerant, power management, and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was developed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sites. The LoR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was adopted to detect hazardous gases and oxygen deficiency within a confined underground space with adjustable communication range and low power consumption. Fault tolerance based on the mapping information of the entire wireless sensor network was particularly implemented to ensure the reliable ope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Moreover, a sleep mode was implemented for the efficient power management. The GUI was also developed to control the entire safety-monitoring system and to manage the measured data. The developed safety-monitoring system was validated in an indoor testing and at two full-scale water pipeline construction 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