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accident rates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7초

냉동, 냉장 시스템에서 NH3 누출 사고 시 장외영향평가를 위한 피해범위 및 대피거리 산정에 관한 연구 (Recommended Evacuation Distance for Offsite Risk Assessment of Ammonia Release Scenarios)

  • 박상욱;정승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56-161
    • /
    • 2016
  • An accident of an ammonia tank pipeline at a storage plant resulted in one death and three injuries in 2014. Many accidents including toxic gas releases and explosions occur in the freezing and refrigerating systems using ammonia. Especially, the consequence can be substantial due to that the large amount of ammonia is usually being used in the refrigeration systems. In this study, offsite consequence analysis has been investigated when ammonia leaks outdoors from large storages. Both flammable and toxic effects are under consideration to calculate the affected area using simulation programs for consequence analysis. ERPG-2 concentration (150 ppm) has been selected to calculate the evacuation distance out of various release scenarios for their dispersions in day or night. For offsite residential, the impact area by flammability is much smaller than that by toxicity. The methodology consists of two steps as followings; 1. Calculation for discharge rates of accidental release scenarios. 2. Dispersion simulation using the discharge rate for different conditions. This proactive prediction for accidental releases of ammonia would help emergency teams act as quick as they can.

대형서점 적재가연물의 초기 연소발열성상 (Heat Release Characteristics of Typical Live Fire Load in Large Bookstore)

  • 남동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88-94
    • /
    • 2011
  • 건축물 적재가연물의 연소성상 및 발열특성은 건물 내부의 화재전파속도와 화재규모 등을 크게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대형 서점의 적재가연물은 다른 건축용도에 비해 다량 적재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시 건물 전체의 화재피해가 대형화할 가능성이 있지만 연소발열성상이 화재실험 등으로 파악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형서점의 적재가연물인 목재 서가 등을 재현한 시험체를 대상으로 연소실험을 실행하여 연소발열성상을 파악하였다. 또한 이 결과를 바탕으로 대형서점의 화재시 화재안전성을 검토하고 대형 서점의 화재안전설계에 필요한 적재가연물의 연소표면적당 최대열방출률과 화재성장률 등을 제시하였다.

연구실 유해인자 발굴 및 관리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Laboratory hazard discovery and management techniques)

  • 이형규;이인복;신용태;문진영;이익모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81-90
    • /
    • 2016
  •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at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ions and research laboratories which belong to corporations. Because of blooming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in various fields, safety accidents in the laboratories happen consistently. The government office established Act on the establishment of safe laboratory environment to decrease safety accident rates and make environment of laboratories better, and it is effective slowly. However, in the case of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of the laboratory where various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are carried out. So it is difficult to closely monitor them. Even though safety inspections and periodic inspections is regularly conducted, these are focused on facilities and environment. According to a study of Dea-deok science town safety council, accidents in laboratories of 73% have arisen out of careless action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researchers to know to potential harmful factors in research. there is necessary to make a system to prevent laboratory acc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researchers discovered potential hazard factors in laboratories. For that, foreign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systems has applied to domestic laboratories. Four laboratories in targeted institution has been selected to apply the appropriate personal protection equipments, job safety assessment and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And I found the limitations of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excavations harmful factors in the research proces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Suggest a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discovered current laboratory safety system limitations and provides alternatives so that effective safety management can be achieved.

소득수준 대비 산재사망지수 비교를 통한 건설분야 산업재해 분석 및 저감대책 (A Comparison of Income Level and Work-Related Fatalities for Finding Causes and Measures for Construction Sector)

  • 이규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3-10
    • /
    • 2014
  • 소득수준이 높으면 이와 함께 사회 경제 문화적 기대수준도 함께 향상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산업안전에 대한 기대수준도 함께 높아질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소득수준은 그동안 많이 향상되었으나, 산재사망률은 OECD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며 산재사망이 지난 10여년간 전혀 줄어들고 있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소득수준 대비 산재사망률을 관련 국가들과 비교하고 그 차이점을 분석하여 근로자 중심의 산재예방 대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진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소득반영 산재사망지수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비교국가 중에 그 수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원인에 대한 분석의 일환으로 산업재해에 대한 법집행실적에 대한 비교를 한 결과 위반 사업주에 대한 법집행에 중점을 두는 영국의 경우와는 달리 우리나라의 법집행 실적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으로 나타나 건설공사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서는 향후 법집행 강화의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사망자의 심층적 실증분석을 통한 예방적 개입점 발견 연구 (Finding on Preventive Intervention of Fatal Occupational Injuries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Accident Death)

  • 이관형;이홍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83-88
    • /
    • 2019
  • The 7,993 cases of Survey Report of Fatal Industrial Accidents conducted jointly by the MEOL and the KOSHA for the recent seven years(2007-2013)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personal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industry types, business sizes, job types, activities at the time accident, types of accidents, material agents(assailing materials), unsafe conditions, and unsafe acts. And it is found that among the 72.2 percent of fatal occupational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are caused by falling, sticking, bumping and being caught under objects & overturning. For this study,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on causes of fatal industrial accidents, was used to identity high risk groups based on total data of 7,993 victims of occupational accidents. An annual fatal occupational injury (FOI) rate per 10,000 workers was about 0.47‱. The middle-aged group and the elderly group showed the highest FOI rates per 10,000 workers (0.73‱, 0.80‱), and the daily workers showed the highest FOI rate (1.46‱), and the craft and related trades workers showed the highest FOI rate (2.17‱). In case of industry type the mining industry (7.26‱) showed the highest FOI rate, followed by the sewerage, waste management, materials recovery and remediation activity industry (3.91‱) and the construction industry (2.71‱). The primary high risk target group that requires a strategy designed to reduce fatal occupation injuries caused by falling and bumping & contact(collision) is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secondary high risk target group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classified as the equipment, machine operating and assembling work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ose aged 50 years old and above need the prevention measures against bumping & contact(collision) and being caught under an object & falling(objects), while those aged less than 50 years old need prevention measures against falling(persons).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재해율 감소를 위한 위험성평가 방안 (A Risk Assessment Counterplan for Reducing the Accident Rates in Medium and Small sized Construction Sites)

  • 장윤라;고성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90-100
    • /
    • 2018
  • 정부의 국민생명 지키기 3대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전체 사고성 사망사고의 절반이상을 차지하는 건설현장에서의 재해예방을 위한 감소대책과 근본적인 변화를 위한 안전 중시 문화 확산을 위해 사전예방의 실효성 있는 위험성 평가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건설재해 중 중 소규모 현장의 재해는 전체 건설 재해의 88.9%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안전관리감독자의 부재로 인한 관리소홀과 사전 안전조치 미흡이 가장 큰 문제점이라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중 소규모 건설현장의 재해예방을 위해서는 현장의 위험성을 평가하고 예방할 수 있는 적극적인 방안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건설재해의 발생빈도가 높은 중 소규모건설현장의 재해율 저감을 위해 건설현장 안전관리 문제점을 도출 분석하여 재해다발요인의 중점 위험항목과 선제적이고 실천 가능한 위험성 평가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Q 분석 방법을 이용한 운전자 운전성향별 유형화에 관한 연구 (교통법규 위반자 및 교통사고 야기자를 중심으로) (A Study about The Typical Patterns of Driver's Characteristics by The Q Analysis Method (with Traffic Law Violator and Traffic Accident Causer))

  • 장석용;정헌영;이원규;고상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65-180
    • /
    • 2008
  • 본 연구는 교통법규 위반과 교통사고 야기에 밀접한 운전자의 운전성향에 대해, 미시적인 통계분석 기법인 Q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서, 운전성향과의 관련성에 근거한 교통법규 위반 및 교통사고 감소에 효과적인 교통안전대책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교통법규 위반자들은 5가지의 운전성향으로, 교통사고 야기자들은 6가지의 운전성향으로 유형화하여 분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유형별 운전성향 특성 분석을 통해, 운전성향별 교통법규 위반 및 교통사고 감소대책을 수립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의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통법규 위반과 교통사고를 일으키는 데 결정적인 운전자의 운전성향을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각각의 운전성향이 교통법규 위반과 교통사고 야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지를 비교적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사고호발성향을 지닌 위험 운전자 표본을 찾아낸 것도 본 연구의 성과라 할 수 있다. 둘째. 현재 시점에서 연구대상이 된 비정상 운전자들의 요인별 운전특성을 유형화하고 분석한 결과, 교통 법규 위반 및 사고 감소를 위한 대책을 중점대책과 보완대책으로 비교적 명확하게 구분하여 수립할 수 있었다. 셋째. 교통사고 야기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을 갖고 있는 운수업체의 입장에서는 여객운수 종사자들의 신규 채용 시 이들의 운전성향을 사전에 파악하여 채용 여부를 결정하거나, 채용 후 운전성향에 맞는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교육에도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LOSS-OF-POOL-WATER 사고시 연구용 원자로 MAPLE-X10 시설에서의 감마 방사선장 해석 (Analysis of Gamma Radiation Fields in the MAPLE-X10 Facility Associated with Loss-of-Pool-Water Accident Conditions)

  • Kim, Kyo-Youn;Ha, Chung-Woo;I.C. Gauld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1권2호
    • /
    • pp.63-72
    • /
    • 1989
  • 연구용 원자로 MAPLE-X10 시설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원자로 pool 및 보조 pool로부터 물의 상실이 가정되었을 때 시설에 대한 감마 방사선장을 해석하였다. 차폐 해석에 고려된 4개의 photon 선원항은 ORIGEN-S코드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또한, pool물 상실 사고 조건하에서 원자로 pool 및 보조 pool에서의 감마 선량율은 QAD-CG코드를, 그리고 pool외부의 방사선장은 입체각 외부에서의 산란 photon 선량율 계산에도 적합한 MCNP 코드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 PDF

우리나라 공업고등학교의 안전 . 보건 교육실태 조사 (A Survey on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Technical High Schools in Korea)

  • 박순우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29
    • /
    • 1999
  •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technical high schools is especially important because the great majority of the students engage in the industrial field after graduation. But there are few reports on the state.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technical high schools in Korea.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present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technical high schools in Korea and to propose the ways of improving health and safety education. To conduct this study, the textbooks for health and safety related courses, i.e., Introduction to Industry, Gyoryun(dril), and Physical Education, were reviewed. A questionnaire was mailed to the teachers of Introduction to Industry, Gyoryun, Physical Education, and school nurses in 188 technical high schools and the teachers of Gyoryun, Physical Education, and school nurses in 376 general high schools in November 1997. The final response rates were 42.0% for teachers of Introduction to Industry, 62.9% for teachers of Gyoryun, 47.9% for teachers of Physical Education, and 33.0% for school nurses. Also, a survey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about safety and health was conducted from May through July 1998 among 44 employees graduated from technical high schools and 44 employees graduated from general high schools since 1995. The analysis of the textbooks showed that the contents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Environment’ section in Introduction to Industry were rather for safety managers than industrial workers and the contents about occupational hygiene and health were scanty. The majority of ‘Accident and Disaster’ and ‘Hazardous Substances’ section in Gyoryun overlapped with those in Introduction to Industry and several mistakes about health related descriptions were found. Some contents of Physical Education. ‘Mental Health’. ‘Emergency Care’. ‘Communicable Disease’, ‘Noncommunicable Disease’, and ‘Food Hygiene’ overlapped with those of Gyoryun. The teachers lectured safety and health related sections of textbook completely in 84.8% for Introduction to Industry, 62.1% for Gyoryun, 20.8% for Physical Education and the most frequent reason for the incomplete education was shortage of time.

  • PDF

건축공사 안전사고에 대한 현장 요인별 영향력 분석 (Empirical Examination of Determinants Affecting Safety Incidents in Building Construction)

  • 허윤경;이승우;유위성;송태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83-593
    • /
    • 2023
  • 건축 프로젝트의 안전 성과를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당해 사업의 공사특성과 현장 실행을 분리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실제 사고사례 데이터를 활용하여 건축공사 안전사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공사특성 요인과 현장 실행 요인을 분석하였다. 안전사고의 유형을 사망사고와 다인 부상사고로 설정하고, 독립변수로 공사특성 변수, 현장 실행 변수, 외부환경 변수를 투입하여 이항로짓 모형을 구축하여 유의미한 변수와 그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사망사고 발생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공사특성 요인은 공사비가 절대적이었다. 반면, 사망사고 및 다인 부상사고에서 현장의 안전 실행 변수들이 영향력이 컸다. 이는 건설 프로젝트의 안전 성과를 측정할 때 공사비에 따라 프로젝트를 분류하고 보정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설명력을 가지며, 사업의 안전 성과를 평가할 때는 현장의 다양한 노력과 조치를 성과지표에 반영하기 위한 노력을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