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tin

검색결과 464건 처리시간 0.028초

메밀 싹 첨가 두유의 제조와 품질 특성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milk added with Buckwheat Sprout)

  • 정다혜;김철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7-85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soymilk added with buckwheat sprout (SBS), and sensory properties of SBS were analyzed with control soymilk (CS). Moisture content decreased while protein, ash, and lipid contents increased according to content of buckwheat sprout. Solids content and viscosity tended to increase with addition of buckwheat sprout from 0% (CS) to 2.5% (2.5SBS), 3.5% (3.5SBS), and 4.5% (4.5SBS). SBS was found the significant pH drop from 7.08 to 6.43, 6.34, and 6.21. Suspension stability of soymilk slightly decreased with addition of buckwheat sprout. Hunter's color value L of SBS decreased while a and b values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CS. Rutin content was measured 23.78 mg/100 g (2.5SBS), 39.68 mg/100 g (3.5SBS), and 44.80mg/100 g (4.5SBS). Vitamin C content in SBS was higher than CS. Daidzin content increased as buckwheat sprout was added. Total phenolic content increased from 100.95 mg/100 g (CS) up to 315.71 mg/100 g (4.5SBS). For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B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S. In conclusion, SBS can be used as a functional food with higher amounts of rutin, vitamin C, total phenolics, and daidzin. 2.5SBS and 3.5SBS also showed better overall quality characteristics.

Lactobacillus bulgaricus를 이용한 메밀싹 첨가 요구르트의 발효특성 (Lactobacillus bulgaricus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Yogurt with added Buckwheat Sprout)

  • 강하니;김철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0-95
    • /
    • 2009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uckwheat sprouts on the acid production and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n to which 5 and 10%(w/v) buckwheat sprouts was added, followed by fermentation with Lactobacillus bulgaricus. In yogurt to which 5 and 10% buckwheat sprouts was added, pH was lower and titratable acidity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It was also not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number of viable cell counts with differing amounts of added buckwheat sprouts until 12 hours. When the yogurt samples were stored for 12 days at $4^{\circ}C$, the pH and titratable acidity of the yogurt to which 5 and 10% buckwheat sprouts was added were maintained at lower and higher than control levels, respectively. The highest number of viable cell counts was found in the yogurt to which 5% buckwheat sprouts was added. Rutin content was reduced via lactic acid fermentation, but quercetin content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yogurt with added buckwheat sprouts. It may be that the glycosidic bonds connected to rutin were hydrolyzed during ferment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The total phenol compound content of the yogurt samples also increased after fermentati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yogurt to which 10% buckwheat sprouts was added was shown to have a 60.95%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which was the highest among all yogurt samples evaluated.

포도전정가지 추출물이 UVB로 유도된 결합 조직 손상에 미치는 피부 보호 효과 (Skin Protection Effect of Grape Pruning Stem Extract on UVB-induced Connective Tissue Injury)

  • 김정희;김극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1-147
    • /
    • 2018
  • 본 연구는 포도수확 후 버려지는 가지를 이용한 포도전정가지 추출물(Grape Pruning Stem Extracts, GPSE)에 함유된 polyphenol류 중 항산화, 항염증, 항암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rutin, procyanidin B3, quercetin, kaempferol의 함량을 분석하고, UVB로 유도된 HR-1 mice의 손상된 피부에 대한 교원섬유, 탄력섬유 파괴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포도전정가지에서 polyphenol 성분을 80% EtOH로 추출하고 여과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20^{\circ}C$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GPSE의 유효성분 함량은 HPL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피부손상을 유도하기 위해 UVB를 HR-1 hairless mice에 조사하였고, 손상된 피부에 교원섬유 파괴억제 효과를 보기 위해 Masson's trichrome stain, 탄력섬유 파괴 억제 효과를 보기 위해 Verhoeff's elastic fiber stain, MMP-9 단백 발현을 보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포도전정가지 시료 53 kg에서 EtOH 분획 추출물 2.34 kg을 추출하여 4.42%의 수율 결과를 얻었다. 유효성분 분석결과, procyanidin B3, 0.28 mg/g, rutin 12.81 mg/g, quercetin 0.51 mg/g 및 kaempferol 8.24 mg/g로 나타났다. GPSE와 serum base를 혼합 도포한 그룹에서 UVB에 의한 교원섬유와 탄력섬유를 분해하는 MMP-9 단백발현 결과, 대조군 대비 평균 약 90% 감소 억제하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교원섬유 파괴억제 효과는 모든 농도에서 평균 24%의 억제율과, GPSE와 serum base의 혼합물 농도 2,000 mg/kg 에서 43%로 가장 우수한 교원섬유 파괴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탄력섬유파괴 억제 효과는 모든 농도에서 평균 12%의 억제율과 GPSE와 serum base의 혼합물 농도 1,000 mg/kg에서 35%로 가장 우수한 탄력섬유 파괴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GPSE가 진피층의 세포 외 기질에 UVB 조사에 의해 파괴되는 교원섬유, 탄력섬유의 파괴를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포도전정가지로부터 rutin, kaempferol, quercetin, procyanidin B3 등의 폴리페놀성 화합물이 화장품 기초 원료인 serum base에 함유토록 제조된 GPSE 는 교원섬유 파괴 억제, 탄력섬유파괴 억제효과 및 피부손상 기능개선 효과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지역포도농가에서 수확 후 버려지는 포도전정가지에서 폴리페놀류와 같은 유효성분을 확보하여 화장품 원료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토성에 따른 삼백초 생육특성과 유효성분 함량 (Growth Characteristics and Available Component of Saururus chinensis Baill in Different Soil Texture)

  • 김인재;김민자;남상영;윤태;김홍식;정승근;홍성수;황방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43-147
    • /
    • 2006
  • 삼백초(三白草) 재배에 있어서 토성에 따른 생육과 유효성분을 분석하여 안정적인 재배법을 확립하고 고품질 삼백초를 생산하고자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삼백초의 절수와 엽수, 분지수는 토성 간 차이가 없었으며, 주당 줄기와 잎의 무게는 사양토가 가장 많고, 양토, 식양토, 사토의 순으로 무거웠다. 직경 5mm이하 뿌리는 토성 간차이가 없었으나, $5.1{\sim}10.9\;mm$의 굵기는 사양토, 양토 그리고 식양토에서 $437{\sim}465\;g$로 차이가 없었고, 11 mm이상은 식양토가 많았다. 건물율은 $19.1{\sim}20.8%$로 차이가 없었다. 나. 잎의 quercetin-glycoside 함량은 양토와 사양토에서 $219.3{\sim}222.4\;mg/100\;g$로 가장 높았으며, quercitrin>rutin>isoquercitrin>hyperin의 순으로 높았다. 줄기는 사토와 사양토가 각각 14.8 mg/100 g과 12.4 mg/100 g로 가장 많았으며, quercetin-glycoside 중 rutin이 가장 높았다. 다. 뿌리의 lignans 함량은 식양토, 양토, 사앙토, 사토의 순으로 높은 경향이었으며, lignans 관련 물질 중 manassatin B가 가장 많았다.

돌단풍(Aceriphyllum rossii)에서 분리한 플라보노이드의 항암활성 (Anti-cancer Activity of Flavonoids from Aceriphyllum rossii)

  • 안은미;한재택;권병목;김성훈;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4호
    • /
    • pp.309-315
    • /
    • 2008
  • 돌단풍 지상부를 80% MeOH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H_2O$로 용매 분획하였다. 이 중 EtOAc 및 n-BuOH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5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 및 IR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astragalin (1), kaempferol 3-O-${\alpha}$-L-rhamnopyranosyl (1${\rightarrow}$6)-${\beta}$-D-glucopyranoside (2), rutin(3), kaempferol 3-O-${\alpha}$-L-rhamnopyranosyl(1${\rightarrow}$4)-${\alpha}$-Lrhamnopyranosyl(1${\rightarrow}$6)-${\beta}$-D-glucopyranoside(4), quercetin 3-O-${\alpha}$-L-rhamnopyranosyl(1${\rightarrow}$4)-${\alpha}$-L-rhamnopyranosyl(1${\rightarrow}$6)-${\beta}$-Dglucopyranoside(5)로 동정하였다. 이들 화합물은 FPTase 활성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화합물 3(rutin)은 rat H-ras 세포주의 생장과 bFGF로 유도시킨 HUVECs의 cell migration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 5호 메밀 채소 추출물의 유리라디칼 소거 및 Xanthine Oxidase 활성 저해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Inhibitory Effect on Xanthine Oxidase by Acetone Extract from Buckwheat)

  • 김영순;조정순;서형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3호
    • /
    • pp.254-258
    • /
    • 1997
  • 메밀 채소 아세톤 추출물을 각 용매로 분획시 회수율은 헥산이 57%로 가장 높은 회수율을 보였으며, 페놀 성분의 양은 아세트산에틸과 1-부탄올 분획이 47.96 mg/ml과 44.02 mg/ml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수소 공여능은 부탄오 분획이 가장 높았으며, 에테르, 헥산 순으로 나타났다. 과산화지질의 형성 억제능은 기질로 리놀레산을 사용하여 자외선 조사에 대한 산화 억제능으로서 검토하였다. 과산화지질의 형성 억제능은 부탄올과 헥산 분획에서는 0.9% 첨가시 1시간 조사한 결과 65%와 57%의 억제능과 2시간 조사시 75%와 60% 억제능을 보였다. 초과산화물음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의 측정은 xanthine/xanthie oxidase를 이용한 superoxide dismutase 활성 측정법을 이용하였다. 각 분획의 초과산화물음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은 부탄을 분획은 392.6 U/mg으로 가장 높은 SOD의 활성, $IC_{50}$값은 $2.5\;{\mu}g$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임에 따라 다른 분획에 비해 초과산화물음이온 라디칼 소거능력 이 가장 높았다. 또한 각 분획의 spectrophotogram을 검토한 결과 부탄올 분획은 메밀의 활성 성분인 rutin과 유사한 spectophotogram을 보였다. 초과산화물음이온 라디칼 소거능과 rutin 함량이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각 분획의 xanthine oxidase의 활성 저해는 $IC_{50}$값이 $3.1\;{\mu}g$을 보인 부탄올 분획의 저해효과가 가장 높았다.

  • PDF

양파 껍질 성분이 Press Ham의 지방산패도와 육색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nion Peel Components on Lipid Oxidation and the Changes of Color in Press Ham)

  • 박구부;허선진;이제룡;이정일;김영환;하영래;주선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3-100
    • /
    • 2000
  • Effects of onion peel (OP) components (quercetin and rutin) in press ham on TBARS, pH, redness (a*) and flavor (panel test) were investigated during cold storage. TBARS in OP samples of high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control during cold storage. This result suggests that OP components have an antioxidant activity in press ham. Also, redness of OP samples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control after three weeks of cold storage. Cured ham redness could be improved through lower pH of OP sample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However, flavor score of OP samples was not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with control during cold storage. It could be possible that OP components plays role as an antioxidant without any negative effects on plavor of press ham. 양파 껍질을 급여한 돼지로부터 quercetin 및 rutin을 축적시킨 돈육을 원료육으로 하여 제조한 햄을 4주 동안 냉장 저장하면서 지방산패도(TBARS), pH, 육색(적색도) 및 향미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TBARS의 경우 저장 3주부터 양파부산물 급여량이 높은 처리구가 유의적으로(P〈0.05) 낮은 수치를 보여 양파 껍질 성분의 항상화 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저당 3주이후 대조구와 비교해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P〈0.05) 높은 적색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양파 껍질 성분이 육제품의 변색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처리구의 염지 육색이 증진된 것은 처리구의 pH가 대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설명되었다. 한편, 향미의 관능검사 결과 처리구와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는데(P〉0.05), 이는 양파 껍질 성분의 항상화제로서의 역할과 향미에 미치는 영향이 다소 미미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 PDF

뽕잎 품종별 기능성 성분 분석 (Analysis of Functional Components of Leaves of Different Mulberry Cultivars)

  • 채주영;이준영;황인승;황보득;최필환;이완주;김진원;김선여;최상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5-21
    • /
    • 2003
  • 본 연구는 뽕잎을 이용한 고부가가치의 기능성식품의 제조에 적합한 뽕잎 품종을 선별하고자 품종별(YK-209, Cheong il, Yongchon and Kaeryang), 산지별(영천 및 상주), 부위별(상위, 중위 및 하위엽) 및 생육시기별(5월, 6월 및 8월)에 따른 뽕잎의 기능성 지표물질인 DNJ, GABA및 flavonoid의 함량을 HPLC로 정량하였다. 4가지 뽕잎 중 YK-209 뽕잎의 기 능성 물질 (DNJ, GABA 및 flavonoid) 함량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YK-209 뽕잎으로부터 분리된 4가지 flavonoid 중 rutin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isoquercitrin>kaempferol-3-Ο-rutinoside>astragalin 순으로 나타났으나 그 외 3가지 뽕잎에서는isoquercitrin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rutin이 차지 하였으나 품종별, 산지별, 부위별 및 성장시기별에 따라 flavonoid구성성분의 함량이 다소 차이가 있었다. 영천지역에서 수확한 YK-209뽕잎의 3가지 기능성물질의 함량이 상주에서 수확한 뽕잎보다 그 함량이 높았다. 한편, YK-209 뽕잎의 부위 중 상위엽이 중위 및 하위엽보다 3가지 기능성물질의 함량이 높았다. 끝으로YK-209뽕잎의 성장시기 중 5월에 수확한 것이 6월 및 8월에 수확한 뽕잎보다 기능성물질의 함량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미루어 볼 때 3가지 기능성 성분함량이 높은 YK-209 뽕잎(용천뽕과 개량뽕을 교배하여 얻은 것)의 5월산 상위엽을 향후 뽕잎의 이용한 기능성식품의 제조용 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온주밀감 유전자원의 과즙 중 플라보노이드 특성 및 군집 분석 (Characteristics of Flavonoids in Juice and Cluster Analysis of Satsuma Mandarin Germplasms)

  • 박영철;양영택;김진영;이창훈;강상훈;강종훈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25
    • /
    • 2015
  • 온주밀감 60품종에 대하여 착색 개시기에 과즙의 플라보노이드 조성 및 함량을 분석하고 품종들과의 연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온주밀감 과즙에서는 flavanones에 속하는 narirutin, hesperidin과, flavones인 rutin, polymethoxylated flavones인 sinensetin, tangeretin, nobiletin 등 6종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주밀감 과즙 중에는 narirutin, hesperidin 함량이 가장 높아 대표적인 기능성 성분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성이 우수한 polymethoxylated flavones인 sinensetin, tangeretin, nobiletin도 함유하고 있었다. Hesperidin 함량 범위는 41~196 mg/L로, narirutin 함량은 25~230 mg/L로 나타났다. Rutin 함량은 평균 2.2 mg/L로 미량이 검출되었고 일부 품종에서는 전혀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감귤에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polymethoxylated flavones류인 sinensetin, nobiletin, tangeretin은 미량이지만 모든 품종에서 검출되었다. 온주밀감 과즙 중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조성 및 함량과 품종의 수확기와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R 프로그램으로 계층적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플라보노이드 성분별 함량에 따라 A, B1, B2 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나 세집단 모두에서 극조생온주밀감, 조생온주밀감, 보통온주밀감이 산재하여 있어 착색개시기 과즙 중 플라보노이드 분포와 과실의 성숙기와는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Flavonoids의 약리작용(V) - 전기자극 및 과민반응으로 유발된 흰쥐 회장의 평활근수축에서 Flavones 및 Flavonols의 진경효과 -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Flavonoids (V): Spasmolytic Activities of Flavones and Flavonols on Rat Ileal Smooth Muscle Contraction Induced by Electrical Stimulation and Anaphylactic Reaction)

  • 안홍직;이지윤;김수정;김정민;박주현;박성훈;심상수;김창종
    • 약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50-156
    • /
    • 2007
  • Some flavonoids have spasmolytic activities in various smooth muscles, but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on their spasmolytic activity and its mechanism are unclear. In this study, effects of flavones (flavone and apigenin) and flavonols (quercetin and rutin) on the rat ileal smooth muscle contraction were studied in vitro and in vitro. In the electric stimulation-induced contraction, all of four flavonoids inhibited concentration-dependently the rat ileal smooth muscle contraction induced by electric stimulation (10 mV, 0.1 cps, 0.1 msec duration), IC$_{50}$ of quercetin, apigenin, flavone and rutin were 0.98${\times}$10$^{-5}$, 1.20${\times}$10$^{-5}$, 1.55${\times}$10$^{-5}$ and 1.85${\times}$10$^{-5}$ M, respectively. Flavonoids at a concentration of 2${\times}$10$^{-5}$ M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the anaphylactic contraction and decreased concentration-dependently the mast cell degranulation by anaphylactic reaction, IC$_{50}$ of quercetin, apigenin, flavone and rutin were 4.0${\times}$10$^{-5}$, 7.5${\times}$10$^{-5}$, 8.0${\times}$10$^{-5}$ and 9.5${\times}$10$^{-5}$ M,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flavones and flavonols inhibited the rat ileal smooth muscle contraction induced by electric stimulation because of their antagonism against acetylcholine and have spasmolytic activities on anaphylactic contraction which may be due to their mast cell-stabilizing activities. Furthermore, double bond of C$_{2,3}$ in benzene ring of flavonoids may be important in the their antispasmodic activities on the rat ileal smooth muscle contraction induced by electric stimulation and anaphylactic re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