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ral road segment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3초

지방부 도로구간의 사고수정계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Accident Modification Factors for Rural Road Segments)

  • 오주택;황정원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113-123
    • /
    • 2013
  • PURPOSES : Although numerous researches have been studied to reveal accident causations for road intersections, there are still many research gaps for road segments. It is mainly because of difficulty of data and lack of analytical method. This study aims to study accident causations for rural road segments and develop accident modification factors for safety evaluation. The accident modification factors can be used to improve road safety. METHODS : Methods for developing AMF are diverse. This study developed AMFs using accident prediction models and selected explanatory variables from the accident models. In order to select final AMFs, three different methods were applied in the study. RESULTS : As a result of the study, many AMFs such as horizontal curves or vertical curves were developed and explained the meanings of the results. CONCLUSIONS : This study introduced meaningful methods for developing significant AMFs and also showed several AMFs. It is expected that traffic or road engineers will be able to use the AMFs to improve road segment safety.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농촌 도로 매핑을 위한 영상 분류 및 영상 분할 방법 비교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Research of Image Classification and Image Segmentation Methods for Mapping Rural Roads Using a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 정윤재;구본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73-82
    • /
    • 2021
  • 농촌 도로는 농촌 지역의 개발과 관리를 위한 핵심 기반시설로서 원격탐사 자료를 활용한 농촌 도로 관리 기술은 농촌 교통 인프라 확대, 농촌 주민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 지역을 촬영한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농촌 도로를 매핑하기 위해 영상 분류 방법과 영상 분할 방법을 다음의 과정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영상 분류의 경우, 심층 신경망 기반 딥러닝 기법을 주어진 고해상도 위성영상에 적용하여 고정밀 객체 분류 지도를 제작하였고 이로부터 농촌 도로 객체를 추출함으로써 농촌 도로를 매핑하였다. 영상 분할의 경우, multiresolution segmentation 기법을 동일한 위성영상에 적용하여 세그먼트 영상을 제작하였고 농촌 도로에 위치한 다중 객체들을 선택하고 이들을 최종적으로 융합하여 농촌 도로를 매핑하였다. 영상 분류 및 영상 분할 방법을 통해 매핑한 농촌 도로의 정확도 검증을 위해 100개의 검사점을 사용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영상 분류 방법에서는 객체 분류 지도 내 오분류 에러로 인해 영상 내 일부 농촌 도로의 인식이 불가능하였으나 영상 분할 방법에서는 영상 내 모든 농촌 도로의 인식이 가능하였으므로 영상 분할 방법이 영상 분류 방법보다 위성영상을 이용한 농촌 도로 매핑 작업에 더 적합한 방법이었다. 그러나 영상 분할 방법을 통해 매핑한 농촌 도로를 구성하는 일부 세그먼트들이 농촌 도로 외 객체를 포함하고 있어 영상 내 일부 농촌 도로에서 오분류 에러가 발생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객체 기반 분류 또는 합성곱 신경망 등 다양한 정밀 객체 인식 기법을 고해상도 위성영상에 적용하여 농촌 도로의 정확도를 개선할 계획이다.

지방부 국도의 사고예측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Expected Safety Performance Models for Rural Highway Segments)

  • 오주택;김도훈;이동민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31-143
    • /
    • 2012
  • 그동안 다양한 도로설계 안전성 평가 연구는 교통사고다발지역인 교차로에 집중되어 왔다. 또한 도로구간에서는 특정한 기하구조 요인이 교통사고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일부 수행되었으나, 도로구간에서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다양한 원인분석을 위한 연구는 여전히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방부 도로구간에서의 안전성 평가를 위해 도로구간을 지방부 2차로 도로와 다차로 도로구간으로 구분하여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였다. 일반적으로 도로구간에서의 교통사고는 "0"의 빈도가 높게 나타나므로 통계적 분석 시에 이를 고려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고의 비선형적 요소를 설명하는 허들모형이 전통적인 포아송 및 음이항모형보다 도로구간에서의 발생하는 교통사고의 성격을 설명하는데 더욱 적절한 것으로 판단하여 분석을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부 도로구간에서의 사고빈도 예측모형 개발 및 도로구간 안전성 평가를 위해서 지방부 2차로 도로구간과 다차로 도로구간으로 구분하였으며, 모델분석결과 교통사고를 유발시키는 변수가 각각의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RPNB모형을 이용한 지방부 신호교차로 교통사고 모형개발 (Developing an Accident Model for Rural Signalized Intersections Using a Random Parameter Negative Binomial Method)

  • 박민호;이동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54-563
    • /
    • 2015
  • 본 연구는 확률적 모수를 고려한 음이항 모형을 이용하여 지방부 신호교차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에 대한 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통사고 모형개발에 사용되는 기존의 가산모형(대표적으로 포아송/음이항모형)의 단점은 시간적 변화 혹은 각 지점/구간이 가진 고유한 특성에 대한 변화를 통합하여 설명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추정되는 계수의 표준오차가 과소추정되어 결과적으로 모형 전체의 신뢰성을 하락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각 대상 지점/구간의 이질성을 고려 할 수 있는 random parameter를 적용하여 기존 가산모형의 한계점을 개선하였다. 분석결과 교통량의 증가와 는 부도로의 보행자 시설들은 사고발생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좌회전 전용차로 및 중앙분리대는 교통사고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random parameter를 적용한 모형개발방법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기하구조의 변경 관련 자료의 부재로, 이들에 대한 영향까지는 확인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교통사고잦은곳 발생분포를 활용한 개선사업 구간선정 방안 (Identification Method for Hazardous Road Sections Based on Black Spot Distribution)

  • 김상옥;안성채;최기주;장일준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67-74
    • /
    • 2008
  • 현재 시행 중인 지점단위 사고잦은곳 개선사업은 매년 효율성이 저하되고 있으나, 효율성 제고방안으로 제기되고 있는 구간단위 개선사업은 방법론에 있어 아직까지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국도를 대상으로 개선사업 및 미개선사업 지점으로 부터 사업 차년도 신규 사고잦은곳에 이르는 거리자료를 분석하여, 적정 개선사업 구간길이 및 구간설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거리자료 분석결과, 개선사업을 실시한 교차로로부터 2Km 내 신규 사고잦은곳이 발생할 확률이 미개선 교차로 지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선사업 내역별 거리분포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상호 인접거리가 2km내에 있는 일련의 사고잦은곳을 포함하는 구간을 개선사업 후보구간으로 선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비전 기반 주간 LED 교통 신호등 인식 및 신호등 패턴 판단에 관한 연구 (Vision based Traffic Light Detection and Recognition Methods for Daytime LED Traffic Light)

  • 김현구;박주현;정호열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45-150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an effective vision based method for LED traffic light detection at the daytime. First, the proposed method calculates horizontal coordinates to set region of interest (ROI) on input sequence images. Second, the proposed uses color segmentation method to extract region of green and red traffic light. Next, to classify traffic light and another noise, shape filter and haar-like feature value are used. Finally, temporal delay filter with weight is applied to remove blinking effect of LED traffic light, and state and weight of traffic light detection are used to classify types of traffic light. For simulations, the proposed method is implemented through Intel Core CPU with 2.80 GHz and 4 GB RAM, and tested on the urban and rural road video. Average detection rate of traffic light is 94.50 % and average recognition rate of traffic type is 90.24 %. Average computing time of the proposed method is 11 ms.

역사적 도심 내 건축물의 이력을 통해 본 재생기법에 관한 연구 -청주시 남문로 2가동의 세장형 필지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Adaptive Reuse Techniques through the History of Buildings in the Historic Urban Area - Focused on the Deep and Narrow Lots of Nammun-ro 2Ga, Cheongju -)

  • 김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8
    • /
    • 2020
  • This study is intended to derive the adaptive reuse techniques through the history and aspects of new construction, extension, repair, and other works, limited to the deep and narrow lots facing Seongan-gil and Nammun-gil in Nammun-ro 2 ga of Cheongju, the historic urban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he case of newly built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the central part of the top floor of the residence or all floors are opened to the open space(void) to facilitate lighting and ventilation. This is developed as a convection phenomenon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from the slits between buildings, which affects the entire air flow of the block. 2) The buildings of extension and repair are composed of two-story masonry or steel frame, both the front store facing the road and the house on the back, but it looks like one because it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If only a small gap between the front and rear buildings is restored to an external space or a space equipped with sun light, a small breath can be provided in lighting and ventilation. 3) The existing two-story wooden stores and houses have lost their external space due to repairs. With minimal intervention to restore the small courtyard, slits, and space under the eaves, it will not only improve lighting and ventilation, but also create a unique appearance as a segment of the elongated 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