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ral population

검색결과 1,397건 처리시간 0.033초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Osteoporosis Prevalence: Different Results in the Overall Korean Adult Population and Single-person Households

  • Kim, Jungmee;Lee, Joongyub;Shin, Ju-Young;Park, Byung-Joo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8권2호
    • /
    • pp.84-93
    • /
    • 2015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SES) and osteoporosis prevalence in Korea and to assess whether different associations are found in single-person households. Methods: A cross-sectional population-based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2008 to 2011. The study subjects were people aged ${\geq}50$ years with osteoporosis as defined by bone mineral density. Multivariate logistic models were used to estimate prevalence odds ratios (p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Gender differences in the likelihood of osteoporosis were analyzed based on household income, education level, and residential area. Results: There were 8221 osteoporosis patients aged ${\geq}50$ years, of whom 927 lived in single-person households. There was a gender-specific association between osteoporosis prevalence and all three SES factors that we analyzed: income, education, and residential area. After adjusting for age, SES, and health behaviors, including body mass index (BMI), low household income was on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steoporosis in men, whereas education level had an inverse relationship with osteoporosis only in women (p=0.01, p<0.001, respectively). However, after controlling for age and BMI, rural residency was only associated with osteoporosis in women living in single-person households (pOR, 1.59; 95% CI, 1.05 to 2.43). Conclusions: The Korean adult population showed a gender-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SES and osteoporosis prevalence, with a different pattern found in single-person households.

Geographic homogeneity and high gene flow of the pear psylla, $Cacopsylla$ $pyricola$ (Hemiptera: Psyllidae), detected by mitochondrial COI gene and nuclear ribosomal internal transcribed spacer 2

  • Kang, Ah-Rang;Baek, Jee-Yeon;Lee, Sang-Hyun;Cho, Young-Sik;Kim, Wol-Soo;Han, Yeon-Soo;Kim, Ik-Soo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6권2호
    • /
    • pp.145-153
    • /
    • 2012
  • The pear psylla, $Cacopsylla$ $pyricola$ (Hemiptera: Psyllidae), is a serious insect pest of commercial pear crops. The species, which resides on pear trees throughout its life cycle, is rapidly spreading in some regions of the world. The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the species collected from several pear orchards in Korea was studi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dispersal and field ecology of the species. The 658-bp region of mitochondrial COI gene and the 716-bp long complet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2 (ITS2) of the nuclear ribosomal DNA were sequenced. Unlike other previously studied insect pests, the COI-based genetic diversity of the pear psylla was extremely low (maximum sequence divergence of 0.15%). This finding allowed us to conclude that the species may have been introduced in Korea relatively recently. ITS2 sequence-based analyses of phylogeny, population differentiation, gene flow, and hierarchical population structure all concordantly suggested that the pear psylla populations in Korea are neither genetically isolated nor hampered for gene flow. These genetic data are concordant with the dispersal of an overwintering winterform morph outside the non-pear habitat in the fall.

배추 묘령과 선충접종밀도가 사탕무씨스트선충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 Age and Nematode Inoculation Density on Final Population of Heterodera schachtii on Chinese Cabbage)

  • 파이쟐 카비르;이재국;이동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13-420
    • /
    • 2017
  • 사탕무씨스트선충(Heterodera schachtii)은 최근 우리나라의 배추 재배지의 문제선충이다. 본 연구는 사탕무씨스트선충의 밀도와 배추의 묘령이 사탕무씨스트선충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접종농도가 높은(4마리 유충 또는 알/g 토양) 처리에서 씨스트 수나 암컷 또는 알 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40일 묘령 배추에 고밀도 선충 접종 시 30일이나 60일 후 다른 어린 묘령 배추(파종처리, 20일묘, 30일묘)에 비하여 증식 선충 밀도가 높았다. 높은 선충 밀도 조건에 묘령이 오래 된 모종 식재 시 선충 증식율이 높기 때문에 사탕무씨스트선충 관리를 위해서는 정식 모종의 묘령 고려가 필요하다.

빈집 현황 및 공간 패턴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Pattern of Other Vacant Housing)

  • 노민지;유선종
    • 부동산연구
    • /
    • 제27권4호
    • /
    • pp.21-34
    • /
    • 2017
  • 본 연구는 관리되지 않고 방치되어 빈집문제를 야기하는 빈집이 무엇인지, 이러한 빈집이 어디에 얼마나 발생하는지, 어떤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05, 2010년 두 시점이며, 공간적 범위는 전국으로 분석을 위한 공간의 최소단위는 시군구이다. 분석결과 첫째, 전국 수준에서 관리되지 않고 방치된 기타빈집은 0.6%로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나, 지역별 기타빈집의 정도와 유형은 매우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지방의 기타빈집은 주로 단독주택에서 발생하고 있지만, 도시의 기타빈집은 주로 아파트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해당 지역과 주변 지역에서 '기타빈집 비율'이 높은 지역은 시간이 지날수록 주변 지역으로 늘어남과 동시에 특정 지역으로 고착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첫째, 농촌지역은 단독주택 빈집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기타빈집과 귀농 귀농 대책을 연계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도심은 과거 대량으로 공급된 아파트가 단숨에 노후화되어 대량의 기타빈집이 발생되지 않도록 노후주택을 관리하고, 둘째, 기타빈집이 고착화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빈집관리 우선지역을 선정하여 관리할 것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기타빈집이 많은 지역은 인구 이동, 인구 감소, 고령화가 심각한 지역으로 빈집이 '지방소멸'의 징후 또는 결과라는 관점에서 빈집문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여러 대책과 함께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Relation between 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Activities in Soils from Reclaimed Tidal Lands at South-western Coast Area in Korea

  • Park, Mi-Na;Go, Gang-Seuk;Kim, Chang-Hwan;Bae, Hui-Su;Sa, Tongmin;Choi, Joon-H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62-270
    • /
    • 2015
  • The scientific information between microbial community and chemical properties of reclaimed tidal soil is not enough to understand the land reclamation proces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activities of soils from reclaimed tidal lands located at south-western coastal area (42 samples from Goheuong, Samsan, Bojun, Kunnae, Hwaong and Yeongsangang sites). Most of the reclaimed soils showed chemical characteristics as salinity soil based on EC. Only $Na^+$ in exchangeable cation was dependent on EC of reclaimed soil, whereas other cations such as $K^+$, $Ca^{2+}$, and $Mg^{2+}$ were independent on EC. The mesophilic bacteria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EC of soil. Microbial population increased with soil organic content in the range of $0{\sim}10g\;kg^{-1}$ and dehydrogenase activity less than $100{\mu}g-TPF\;g^{-1}h^{-1}$. Microbial population of soils from reclaimed tidal lands was closely related to the microbial community containing hydrolytic enzyme activities of cellulase, amylase, protease, and lipase.

Grain Size Relate Gene in CNDH, and Identification Of Shape Based on QTL Mapping in Rice

  • Ji-Hun Kim;Jae-Ryoung Park;Yoon-Hee Jang;Eun-Gyeong Kim;Kyung-Min Kim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79-279
    • /
    • 2022
  • Rice is 34% of the world's population used as a staple food. But the world population is increasing. Food security is not well protected. Improving cultivar development can address food security. Quantitative trait locus (QTL) mapping is a statistical analysis using both phenotypic and genotypic dates. The purpose of QTL mapping is to determine a gene. Increasing grain size is a way to increase yield in rice. Grain size-related genes were mapped using CNDH population obtained by cross-breeding Cheongcheong (Indica) and Nagdong (Japonica) through anther culture. Grain harvested from experimental field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Gunwi in 2021. Genes related to grain length were detected between RM5964-RM12285, RM20924-RM20967 in chromosome 1, 7. LOD score is 5.88 and 5.6. Genes related to grain width was detected between RM289-RM18130 in chromosome 5. LOD score is 4.57. Genes related to grain length/width ratio were detected between RM5459-RM3482, RM5699-RM1211 and RM3838-RM3381 in chromosome 1, 2, 5. LOD score is 3.75, 3.14 and 3.41. 4 genes was detected in chromosome 1 and 2 genes was detected in chromosome 2 and 7 genes was detected in chromosome 5. 2 genes related to grain shape and quality were detected. 4 genes related to grain length were detected. 4 genes related to grain size were detected. 1 gene related to grain size and weight was detected. 2 genes related to grain length and weight were detected. By finding the gene related to grain size, it provides food to people threatened by food security and solves the food shortage.

  • PDF

농촌 다목적 모듈형 전기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dular Design for Multi-purpose Electric Motor Vehicles in Rural Areas)

  • 권성자;김명수;이봉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73-182
    • /
    • 2020
  • 우리나라는 2000년 이후 EU의 지구온난화에 따른 환경 규제 강화, 고유가 추세 그리고 농촌 인구분포의 고령화 등에 따라 친환경에너지를 기반으로 하는 농촌 소상공인을 위한 다목적 전기차에 대한 니즈 강화가 시장의 큰 흐름이 되고 있다. 농촌 소상공인을 위한 다목적 전기차는 적은 비용으로 유지가 가능하고 친환경 에너지의 활성화를 통한 온실 가스를 감축할 뿐 아니라 고령화 되어가고 있는 농업 종사자의 노동 강도를 줄이고 야간작업 및 물류 운반을 위하여 매우 혁신적인 운송수단이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친환경 에너지 정책 시행과 함께 영세 규모의 농촌 소상공인들이 비포장도로와 웅덩이가 많은 농로환경에서 쉽게 운행할 수 있고, 농작물 운반 시 노동 강도를 줄일 수 있으며, 사고 시에도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부품을 교체할 수 있는 농촌 다목적 모듈형 전기차를 제안하기 위하여 기존 문헌들을 고찰하고 국내외 전기차를 벤치마킹하여 12개의 모듈형 부품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모듈형 전기차의 산업계는 물론 디자인계의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시뮬레이션 기반 심폐소생술교육이 노인의 태도, 자기 효능감,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focusing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n Attitude,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Rural Community)

  • 유제복;정정희;방설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60-468
    • /
    • 2017
  • 본 연구는 농촌에서 거주하는 노인들에게 강의 기반과 시뮬레이션 기반 심폐소생술 교육 후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 자기 효능감,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또한 65세 이상 농촌 노인 4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22명의 대조군에게 강의기반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하였고, 실험군에게는 강의 기반 심폐소생술 교육과 시뮬레이션 기반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하였다. 교육 전, 후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chi}^2$-test, Fisher's exact test, paired t-test, ANC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두 그룹에서 태도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F=0.89, p=.353)으로 나타났으나, 자기 효능감(F=5.54, p=.025)과 만족도(F=4.66, p=.039)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촌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에게 이 연구에서 적용한 교육 방법이 효과적임을 나타내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을 통해 심폐소생술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 만족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노인들도 응급상황에 대처 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벼 종자 저장단백질 및 재설계 연구 동향 (New design of rice seed storage proteins)

  • 김영미;이종렬;윤웅한;최상봉;하선화;임선형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8권4호
    • /
    • pp.263-271
    • /
    • 2011
  • 벼는 세계 인구의 60%에 의해 소비되고 있는 주요 식량작물이며 그 종자의 주성분은 탄수화물로 인류의 중요한 에너지원이 된다. 미곡(米穀)은 주식으로 다량 섭취하게 되는데 특히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가 부족한 국가 또는 지역에서는 쌀 단백질이 콩 단백질과 함께 중요한 영양공급원이 되고 있어 벼의 종자단백질은 인류에 매우 중요한 영양성분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벼의 종자단백질은 필수아미노산인 라이신이 부족하므로 아미노산 조성 변경에 의한 영양적인 개량이 요구되기도 하는 한편 선진국에서는 혈압조절이나 면역증강 등 생리기능을 가진 건강증진용 기능성 단백질 또는 펩티드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벼의 종자단백질의 조성변경과 더불어 이종의 저장단백질의 도입에 의한 벼 종자단백질 개량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총설에서는 벼의 종자 저장단백질의 생합성과 축적 특징 및 저장단백질 집적의 유전적 제어 기작에 대하여 알아보고 또한 벼 종자 저장단백질 조성 변경, 이종단백질 도입에 의한 벼 종자 저장단백질 개량 연구 현황을 기술하고자 한다.

여름작형 시설재배 파프리카의 주요 해충에 대한 생물적방제 기반 종합관리 (Biological Control Based IPM of Insect Pests on Sweet Pepper in Greenhouse in the Summer)

  • 최만영;김정환;김황용;변영웅;이용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503-508
    • /
    • 2009
  • 여름작기 파프리카의 주요해충에 대한 생물적방제 기반 종합적관리를 시도하였다. 총채벌레류방제를 위해서 $m^2$당 총 2.1마리의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를 6월 6일과 19일 두 번 방사하여 작기 동안 피해가 없었다. 진딧물 방제를 위해서는 $m^2$당 총 0.8마리의 콜레마니진디벌(Aphidius colemani)을 4회에 걸쳐 방사하고, 진딧물 밀도가 높은 지점에 국부적으로 플로니카미드와 피메트로진을 5월 14일과 7월 18일, 6월 14일과 9월 4일에 각각 2회씩 살포하여 콜레마니진디벌 사용량을 줄었다.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에 대해서는 지중해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를 5월 9일부터 한번에 $m^2$당 38.1마리씩 9회에 걸쳐 총 343.4마리를 방사하였으며, 담배가루이 밀도가 트랩 당 200마리에 달했던 11월12일에 천적으로 방제가 어려워 디노테푸란을 1회 살포하여 방제하였다. 차응애(Tetranichus kanzawai)는 칠레이리응애(Phytoseiulus persimilis)를 5월 23일부터 9월 10일까지 5회에 걸쳐 한 번에 $m^2$당 8.9마리씩 총 44.4마리를 방사하였으며, 담배가루이 천적인 지중해이리응애가 차응애의 알과 약충을 포식함으로서 두 종의 천적에 의한 차응애 밀도가 억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