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mination response styl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과 반응양식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in Adolescents : The Moderating Role of Response Styles)

  • 김빛나;박주희
    • 아동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13-128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cademic stress and response styles on depression in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responses sty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mprised 419 high school students (185 boys and 234 girls) in two high schools.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depression, the CES-D Scale (Radloff, 1977) was used. Academic stress and response styles were assessed by the Academic Stress Scale for adolescents (Lee & Kim, 2000) and the Response Styles Questionnaire (Kim, 1991) respectively.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or both boys and girls, the levels of academic stress and rumination response style increased the level of depression, whereas the distraction response style decreased the level of depression. Second, both the rumination and distraction styles for girls moderated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their depression. On the contrary,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the response styles for boys.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반추적, 반성적 반응양식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f University Student to Depress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Rumination, Reflective Response Style)

  • 최재광;송원영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7권2호
    • /
    • pp.199-222
    • /
    • 2020
  • 이 연구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반추적, 반성적 반응양식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대학생에게 나타나는 우울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중부권 소재의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 283명을 대상으로 우울(CES-D),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HMPS),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IUS), 우울 기분에 대한 반응양식 척도(RDQ)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반추적 반응양식은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지만 반성적 반응양식과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을 1차 매개변인으로 설정하고 반추적 반응양식을 2차 매개 변인으로 설정하여 관계를 검증하였고, 모든 매개효과는 의미있는 수준이었다. 한편 2차 매개변인을 반성적 반응양식으로 설정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로 나타나는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반추적 반응양식에 초점을 두어 개입한다면 유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