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yal shrine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3초

종묘와 사직단 제례 실감형콘텐츠 활용 방안 (The useful of the tangible contents for watching Royal ancestral ritual in the Jongmyo shrine and the Sajikdan)

  • 김희재;최희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87-88
    • /
    • 2016
  •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종묘와 사직단은 제례의식이 거행되던 곳으로 실제 재현은 1년에 약 한번 정도 진행되며 이것을 보기위해 관람객이 몰리게 된다. 이것은 일종의 병목현상처럼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병목현상을 해소하고, 평소 관람객에게도 실제 재현과 같은 효과를 보여주기 위하여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하고자 한다. 마이크로소프트(MS)의 증강현실(AR)기기 '홀로렌즈(Hololens)' 기법을 바탕으로 관람자들에게 이용의 편의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17세기 왕자녀 가례 절차 및 복식 연구 (A Study on Procedure and Costume for a Royal Wedding Ceremony of Princes and Princesses in the 17th Century)

  • 김지연
    • 복식
    • /
    • 제66권3호
    • /
    • pp.162-179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17th century wedding ceremonies of princes and princesses recorded in the "Garyedeungrok(嘉禮謄錄)". The Joseon dynasty royal weddings were held outside the palace, so it could have influenced wedding ceremonies of commoners. Royal weddings for princes and princesses were considered to be on a level between that of a king and commoners. Wedding procedure of princes and princesses was carried out under the leadership of the royal family who officiated at a marriage with the king's approval. In addition, kindred of the king and high-ranking officials participated as the maid of honor in the wedding parade. This was completely different between the royal wedding and the scholar-gentry ones. A difference between the prince and the princess was that the princess paid her respect to the shrine of the house of her groom after the wedding ceremony. However, there was no process for the prince's bride. There also existed a wide disparity in the wedding goods of princes and princesses. The prince and the king's son-in-law both held a wedding ceremony to wear Chopo,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decoration or quantity of Danlyeong(團領) Cheollik(帖裏) Hoseul(護膝) belts. Only princes were allowed to use the ornamental knife and the embroidered pouch. While both the princess and prince's wife wore No-ui(露衣) and Jangsam(長衫) as the wedding clothes, there was discrimination of position in terms of hair decoration, Hwalhansam(闊汗衫), skirt, Hosu(胡袖) and Ni-ui(裏衣). There was also a difference of quantity of Jeogori and skirts, as well as various styles of gold decorations in order to distinguish the Gongju(daughter of the king) and the Gunju (daughter of the crown prince)'s position.

발해건축사 연구 동향과 콕샤로프카1 성터 건물지의 성격 (Some topics on the study of Balhae architecture, including the nature of the building site excavated in Koksharovka-1 fortress)

  • 송기호
    • 건축역사연구
    • /
    • 제21권1호
    • /
    • pp.119-134
    • /
    • 2012
  • Balhae(698~926) was the ancient state which opened the Nambuk-guk period with the Unified Silla. But Balhae architecture began to included in the history of Korean architecture only about 15 years ago, such as the books written by Yun Jang-seop or Ju Nam-cheol. I discussed four issues related to Balhae architecture in this paper. First, I criticized the excavation report of 24 stones remains at Jiangdong in Duhua city, and I asserted the ondol site belonged to different period. Second, I also interpreted that the building found on the tombs no.13 and no.14, in the Longhai burial area in Helong city must be a wooden stupa. Third, Balhae played some important roles in the history of ondol. It developed Koguryeo ondol in terms of structure, gave an opportunity to the ruling class to adopt ondol for the first time, and passed the heating system down to the Jurchen, the ancestor of the modern Manchurian. Fourth, the Russian-Korean joint research team excavated seven building sites in Koksharovka 1 fortress from Russian territory these four years, and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e fortress was the center of Anbyeon-bu, one of 15 local government districts in Balhae. I guess this buildings were the royal shrine built by resisters after the fall of Balhae, and the vessel stands found there must be used for ancestral memorial ceremony inside them.

동관왕묘(東關王廟)의 조각상 연구 (A Study on the Sculptures from Donggwanwangmyo [East Shrine of King Guan Yu])

  • 장경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3호
    • /
    • pp.94-113
    • /
    • 2013
  • 동관왕묘(東關王廟)는 중국 촉(蜀)나라의 장수 관우(關羽)를 모신 사당이다. 이러한 사당이 우리나라에 세워지기 시작한 것은 1598년 정유재란 때부터이다. 당시 조선에 파병된 명나라 장수들은 관우의 힘으로 일본의 침략을 막아내길 염원하면서 그들의 주둔지마다 관왕묘를 세웠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 중국 명나라 황제와 조선의 국왕은 외세를 물리치려는 의지로 관왕묘를 세우고자 하였다. 1599년 8월 조선 정부는 '동관왕묘조성청' 이라는 관청을 임시로 설치하고 인력과 물력을 총동원하였다. 명나라 기술자의 감독 아래 연 2,400명의 조선 장인과 역군(役軍)들이 중국 제저우(解州) 관제묘(關帝廟)를 본으로 삼아 영건하여 3년 뒤인 1602년 봄에 동관왕묘를 완공하였다. 한 중 기술자가 협력하여 세웠기 때문에 관왕묘의 정전 건축과 내부 구조 및 조각상에는 양국의 양식이 반영되어 있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동관왕묘 내부에는 7기의 조각상이 서 있다. 관우상 1기는 금동상이며, 나머지 6기는 소조상 위에 채색한 것이다. 이들 조각상들은 1602년에 만들어졌고, 관우와 그를 배위하는 관평(關平) 주창(周倉) 조루(趙累) 왕보(王甫)는 삼국시대에 실존했던 인물들의 초상조각이었다. 하지만 그들의 복식은 관우를 추숭하던 당송대에 확립된 도상을 따르고 있었으며, 세부적으로는 명대적 요소와 조선적 배치가 절충되어 있었다. 이로 미루어 송대 이후 확산된 <의용무안왕(義勇武安王)> 판화의 도상이나 명나라 만력황제가 1593년 조영한 제저우 관제묘의 명대 관우 도상이 동관왕묘를 제작할 때 직접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현재 동관왕묘와 비교되는 중국 제저우 관제묘의 경우 건축과 조각상이 모두 청대 18~19세기에 중건된 것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다.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동관왕묘의 조각상은 17세기 초 한 중 관왕묘 중에서 제작시기가 가장 이른 예로서 당시의 원형을 지니고 있다는 점, 한 중 기술자의 합작으로 규모가 매우 크다는 점, 금동으로 만든 관우상은 유일하다는 점, 문무 배위상을 각 1쌍씩 마주 배열하여 조선왕릉의 석인 배치와 친연성이 있다는 점 등 여러 면에서 미술사적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동관왕묘의 어제(御製) 현판(懸板)의 유형과 내용 분석 (An Analysis on Types and Contents of Hanging Boards Inscribed with King's Writings in Donggwanwangmyo[East Shrine of King Guan Yu])

  • 장경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3호
    • /
    • pp.52-77
    • /
    • 2016
  • 관우를 모신 동관왕묘에는 51점의 현판이 소장되어 있다. 이것들은 조선의 국왕이나 명 청대 사신 및 장군들이 쓴 것이다. 그동안 현판에 대한 연구는 궁궐에 소장된 것들이 주로 연구되었고, 동관왕묘의 것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국왕의 글씨로 만든 현판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그 내용과 형식을 분석하였다. 내용상으로는 현판의 제작자와 제작시기 및 제작배경을, 형식상으로는 현판의 유형과 재료 및 시기별 양식 변천을 밝혀 보았다. 이를 통해 알게 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동관왕묘에 국왕 글씨로 만든 현판은 총 7점이 현존하고 있다. 숙종이 쓴 1점, 영조가 쓴 4점, 고종이 쓴 2점이 그것이다. 이것들은 건물의 이름을 쓴 편액(扁額)과 동관왕묘에 방문한 느낌을 시로 쓴 시액(詩額)으로 나뉘었다. 특히 후자는 국왕이 봄과 가을에 능행(陵幸)하면서 동관왕묘에 들렀을 때 썼으며, 관우의 의리와 충성을 통해 왕실의 안녕을 도모하고자 의도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다음, 국왕의 현판은 명 청대 사신이나 장군의 것들과 비교할 때 재료나 형식면에서 차별화되었다. 바탕은 청색[회회청(回回靑) ]이나 주색[주칠(朱漆)] 및 옻색[흑칠(黑漆)]으로서, 먹색[묵(墨)]이나 흰색[분질(粉質)]으로 된 현판보다 고급 재료로 칠하였다. 글씨는 양각으로 새긴 위에 금(金)으로 칠하였다. 현판의 형식은 4면이 모판처럼 $45^{\circ}$로 비스듬하며 단청기법으로 꽃문양이나 칠보문양을 그렸고, 그 좌우와 아래로 길게 빼 당초문양을 장식하였다. 이것은 '사변형(斜邊形)'이라고 부르는 형식이며, 나머지 3종류의 형식보다 품격이 높아 최고 수준의 것이었다. 이처럼 국왕의 글씨를 새긴 현판의 존재를 통해 조선후기에 동관왕묘는 국왕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군인들의 충성심을 강조한 정치적 공간으로서의 위상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밖에 명대 사신이나 청대 장군의 글씨로 제작된 현판과 형식 비교나 시기별 양식적 변천은 다음 기회로 미루고자 한다.

서울 동관왕묘(東關王廟)의 공간구성 및 원형경관 해석 (Studies on the Spatial Organization and Interpretation of Prototype Landscape of Donggwanwangmyo Shrine in Seoul)

  • 김형석;정우진;심우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3-5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소재한 동관왕묘를 대상으로 문헌의 발굴 및 고증 그리고 현장조사를 병행하여 동관왕묘의 공간구성 및 원형경관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의 집약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관왕묘는 중국의 영향을 받은 유적으로, 기본적인 배치는 주요 건물들이 남북의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의 배치를 이루고 있다. 둘째, 중국 양식과 특색은 정전과 중문 등에서 나타났으며 각 공간에서 왕권을 상징하는 요소를 찾아 볼 수 있다. 셋째, 공간구성은 진입영역, 의례영역으로 구분된다. 진입영역의 경우, 평소에는 수직하는 관원들의 관리적 성격이 강했으며, 제례 시에는 제례 준비공간으로 이용되었다. 넷째, 현재 동관왕묘는 70년대 공원화 사업으로 인해 원형경관이 훼손되어 있었다. 동관왕묘의 원형복원을 위해서는 사적지에 적합하지 않은 식생의 경우 대부분이 교체되어야 할 것이며, 사료에 나타난 취병, 연지, 점경물 등 다양한 경관요소들이 복원되어야 한다. 다섯째, 현재의 동관왕묘는 제례공간으로서의 엄숙한 분위기를 찾아볼 수 없는바, 사당으로서의 경건한 분위기를 되찾을 수 있는 정비가 요구되며, 문화재 관리적 측면에서 '사적'으로 재분류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일각에서 동관왕묘를 사대주의의 산물이라 비판하는 의견이 있으나, 당시 조선역사의 한 부분이자 시대성이 반영된 조영물이므로, 차후 한 중 교류의 상징적인 유적으로 정비하여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조선 후기 원유의 영선체제와 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stem and Process of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for the Royal Garden and Landscape in the Late Choson Dynasty)

  • 전영옥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73-90
    • /
    • 1998
  •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royal garden and landscape were the most significant project in Choson Dynasty. The kind of the royal garden and landscape were the rear garden of the palace, the groves of the royal shrine and orchard, etc. As the important project of the country, these constructions were controlled by the administrative system without division into the fields of engineering, building and landscap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dministrative system. In particular,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royal garden and landscape in Hanyang from the 18th century to the late 19th century.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historic documents and a survey of the relic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royal garden and landscape was composed of the government offices under Industry Board as a permanent organization - Yongjosa, Santaeksa, Chunchonsa, Songonggam, Changwonso - and Togam as a temporary organization. In addition to these organizations, there were Revenue Board, Ceremony Board, Military Board, which served as supporting organizations. The control of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royal garden and landscape was held by decision makers, executors of works and management. 2) The general process of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royal garden and landscape included Sangji and Kyuho다 as the first step; In case of buildings and facilities, according to former examples and drawings, the most of the planning and design was already fixed. In the case of landscape, those things aimed at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existing lie of the land. The works in the 2nd step; This process was divided into the construction of facilities and planting. In case of construction of facilities, those works were done by Togam and Songonggam. The high cost works were carried out through Togam and normal repairing works were completed by Songonggam. In case of planting, those works were carried out through Chunchonsa and the military. The management in the 3rd step; This process was done by two parts like the process of works. In case of facilities, management was done 효 the officers of Pongshim. In case of groves of newly - planted trees, this management was done by Tongsanbyonlgam and Tongsanjik who served cultivation and harvest of fruit trees as an expert.

  • PDF

근세조선의 왕목-사직수, 문화사회적 임업, 그리고 문화적 지속가능성 (The Royal and Sajik Tree of Joseon Dynasty, the Culturo-social Forestry, and Cultural Sustainability)

  • 이정호;전영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1호
    • /
    • pp.66-81
    • /
    • 2009
  • '환경을 조성하고 보전하는 인간과 문화'의 새로운 시각에서 지속가능한 숲 관리는 '문화적 지속가능성' 개념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문화적 지속가능성은 환경을 조성하고 보전하는 문화의 높은 기여도를 강조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근세조선의 '문화사회적 임업'의 역사적 사례를 통해서 현대의 문화적 지속가능성에 필요한 함의들을 추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조선의 첫 번째 왕이었던 태조와 관련하여 소나무(Pinus densiflora)는 조선의 왕목이었고 왕도정치의 이념을 지지하는 성리학적 신앙과 예제 체제 속에서도 가장 상위에 속하는 사직제례와 관련 있는 사직수(社稷樹)였다. 사직 제례의 숭배대상은 토지신(社)과 곡식신(稷)인데 고대 사회의 수목신앙을 이으면서 유교적 신앙 및 예제에 편입된 것이 토지신이며 토지신의 구체적 모습이 사직수이다. 왕목과 사직수로서의 소나무는 조선 왕실 통치의 종교-정치적 정통성을 지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소나무의 종교-정치적 상징성은 여러 측면으로 표현되었다. 소나무는 조선 조정이 주관하는 예제가 봉행되는 신전과 사당을 위해서도 물적 기반으로도 쓰였다. 소나무의 이런 역할은 왕실 능원림, 왕실 관곽재를 위한 황장봉산의 소나무 숲, 왕의 거처 도성 내외사산 소나무 숲의 조성, 방제, 보전, 관료적 관리로 확대 표현되었다. 문화사회적 임업의 역사적 사례인 이러한 소나무 숲의 종교-정치적 관리 체계는 조선의 경제적인 숲 관리 체계인 송정이나 조선 전기의 의송처와 금산의 소나무 숲 및 조선 후기의 봉산 체계의 소나무 숲의 경영과도 비교가 가능하고 공통성과 고유성을 함께 보여준다. 왕실의 소나무 문화는 대중적 의식에도 영향을 끼쳐 백성들이 금표가 있는 능원림, 금산, 봉산에서 시행된 금양(禁養)된 토지 또는 숲과 바꾸어 쓸 수도 있는 '말림갓'이라는 순한국어 단어를 형성하게 만든 것으로 보인다. 근세조선은 사직단, 능원림, 황장금산 및 황장봉산, 도성내외 사산의 소나무숲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사회적 임업을 실행하였다. 조선 시대 소나무 숲의 보전과 경영에는 풍수지리, 민속신앙, 불교적 요소가 통합된 조선의 성리학적 신앙과 예제가 경제적 목적보다도 더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이 여러 세대를 걸쳐 장기적인 문화-자연적 평형이나 균형을 이루는 것이 문화적 지속가능성인데, 숲과 환경을 조성하고 보전하는 현대인이 문화-자연 유산을 발굴하고 여러 세대에 걸친 보전으로 변환하며, 문화적, 사회적, 정신적 필요를 충족하는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초학제적 지식인 지속가능성 과학 지식을 생산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근세조선의 사례 연구의 함의로 추출되었다.

조선왕실 현판 글자의 금색 안료와 재현 실험 연구 (Pigments in the Letters of Hanging Boards of the Joseon Royal Court and Reproduction Experiments)

  • 이혜연;이민혜;이희승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3호
    • /
    • pp.118-135
    • /
    • 2023
  • 조선왕실의 현판은 궁궐, 종묘 등 왕실과 관련된 건물에 걸어 건물의 위계와 성격을 나타낸다. 현판은 조선왕실 의궤에 제작 방법이나 재료 등을 기록하고 있어 당시 제작기술이나 재료 변화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그러나 현재 남아 있는 현판은 전각의 화재나 전란 등으로 여러 차례 개·보수 되면서 원형과 재료가 변화되었다고 추정된다. 조선왕실의 현판은 어제·어필 현판이 많아 검은색 바탕에 금색 글자로 이루어진 형태가 주요하다. 본 연구는 조선왕실 현판 중 금색 글자로 추정되는 44점을 대상으로 글자에 남아 있는 안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글자 표면에 남아 있는 금색 안료의 현재 상태와 검출된 구성성분에 따라 분류하였다. 글자 안료의 분석 결과 금(Au) 성분이 주요하게 검출된 현판은 양각 24점과 음각 5점이며, 양각 15점은 황동(Cu, Zn) 성분이 주요하게 검출되었다. 황동 성분이 검출된 현판 중 일부는 금색 안료가 아닌 청록색 안료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황동 안료는 문헌에 기록이 없고 현재 단청 안료로 사용하고 있지 않아 황동 안료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재현실험을 실시하였다. 재현실험은 재료의 한계로 황동안료의 적용 유무와 사용 방법을 확인하기 어려웠으나 앞으로 황동 안료의 사용 시기와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조선후기 이익공식 관영건축에서 화반의 의장성 강화 -정자각과 산릉도감의궤를 중심으로- (A Study on Strengthening Hwaban Design in the Two-ikgong Style Government Buildings in the Late Joseon Period -Focused on the T-shaped Wooden Shrines and Salleung-dogamuigwes-)

  • 이상명
    • 건축역사연구
    • /
    • 제26권2호
    • /
    • pp.15-29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strengthening Hwaban(flower-shaped support) design in the Two-lkgong style government building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rough the T-shaped wooden shrines, the architectures of royal palace and royal ancestral shrin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through the study. First, Janghwaban(the long plate carved with flower-shaped support) was installed in Injeongjeon(1805) for the first time. It took 40 years to introduce Janghwaban to the government building of Two-lkgong style compared with Injeongjeon. Second, the quantity of Hwaban had been increased from 1 to 5 for 300 years in the government building of Two-lkgong style. This had been steadily increased with the aim of strengthening design. Third, there was a limit to the increase in the quantity of Hwaban. The first reason was to control the rhythm between the Hwaban and the Pobyeok(the wall between Hwabans). The second reason was that if the Pobyeok was too narrow, it was difficult to plaster. The latter was solved by introducing the Janghwaban. Fourth, in attempting to stylize differently from Jusimpo(simple bracket system), the quantity of Hwaban increase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government building of the Two-lkgong style. Since the re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Palace, Hwaban combined style with Ungong served as the norm of the royal palace architecture in the last Joseon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