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w plot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4초

벼 웅성불임계통 및 유지친의 재식방법이 교잡 종자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Planting Methods on CMS Seed Production in Rice)

  • 허문회;박순직;김홍열;고희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8-145
    • /
    • 1988
  • 수도에 있어서 일대잡종 품종의 육종적 이용을 전제로 잡종종자생산을 극대화하기 위한 적합한 양친의 배치법을 구명하고자 웅성불임친으로 V20A/Iri 342$^{*8}$ 과, Iri342를 화분친으로 하여 출수기 풍향에 따라 2처리(남↔북, 동↔남), 재식밀도 4 처리(10$\times$15, 15$\times$15, 20$\times$15, 25$\times$15cm), 화분친의 재식열수 4처리(1, 2, 3, 4열) 및 CMS의 재식열수 4처리(1, 2, 3, 4열)를 두고 자연교잡 증대를 위한 인위적 처리를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각 처리별 증식용 종자 생산량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기의 풍향과 수직으로 재식한 구가 다른구에 비하여 재식밀도 및 재식열수에 관계없이 종자 생산량이 많았으며 평균 46.9% 증가하였다. 2. 10$\times$15cm까지는 재식밀도가 높을수록 증수되었다. 최고 수량은 81.2kg/ha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수량의 변이가 구내의 개체간에서도, 동일 처리내의 반복구간에서도 비교적 컸다. 3. 환분친의 연속 재식열수가 많을수록 임실율은 높았으나 10a당 절대 수량은 화분친 1열 재식에서 가장 많았다. 4 CMS의 연속 재식열수가 적을수록 임실율은 높았으나 10a당 절대 수량은 CMS 4열 재식에서 가장 많았다. 5. 따라서 종자 생산량과 화분친의 수량 및 농작업과 관련하여 20$\times$15cm나 25$\times$15cm의 재식밀도로 하여 화분친 1열에 CMS 4열을 출수기 풍향과 수직이 되도록 재식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재식밀도 차이가 단수수(Sorghum vulgare Pers)의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w Width and Plant Spacing Within Row on Yield and its Components in Sweet Sorghum (Sorghum vulgare Pers))

  • 손세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53-160
    • /
    • 1969
  • 본 시험은 단수수(Sweet sorghum, Sorgo)에 대한 휴건4수준(40, 50, 60, 70cm)과 주간 4수준 (15, 20, 30, 40 cm) 등을 상호 조합하여 재식밀도 차이가 수량, 당분축적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바를 알고저 1966년부터 1968년까지 3개년간 실시한 바 1. 단위면적당 재식본수가 증가함에 따라 개체당 생체중, 간중, 수중 및 간식경 등이 적어지는 경향으로서 부상관관계를 볼 수 있으나 초장, 열기, 도복 등에는 별다른 차이를 인정할수 없었다. 따라서 재식밀도 차이가 생육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은 휴건보다도 주간이 더욱 지배적이었다. 2. 재식밀도에 비교적 예민한 작물로서 년차, 휴건, 주간 등 단요인은 각각 1%, 이들은 조합한 2,3요인의 상호작용에도 각각 5~1%의 높은 유의성이 있었다. 3. 간중, 하제당량, 종자중 등의 10a당 수량은 재식본수가 증가함에 따라 같이 증가하나 이와는 반대로 이들의 개체당 수량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당분함량과 품질을 결정하는 Brix도, 당도, 순당율등은 재식본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각 낮아지는 경향이다. 5. 당분함량을 높게 재배하려면 소식하여 간직경을 굵게 하므로서 Brix 도, 당도, 간중당분, 순당율 등이 각각 높아진다. 그러나 단위면적당 당수량을 최고로 높이는 데는 여러 가지 정, 부상관관계에 있는 모든 형질을 합리적으로 조합하여 10a당 16,700~22,200본(휴건 60cm${\times}$주간 15-20cm에 주당 2본)이 적당하리라 본다.

  • PDF

콩 유기재배시 춘파호밀 간작의 효과 (Effect of Intercropping of Spring-Sowing Rye for Organic Soybean Cultivation)

  • 윤덕훈;남기웅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29-538
    • /
    • 2009
  • 호밀을 간작으로 하는 콩 유기재배시 호밀의 파종시기 및 파종방법을 구명하고자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호밀의 파종 계절별 콩 수확 후 근권토양 내 토양 화학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호밀의 춘파시기에 따른 콩 수확 후 토양의 이화학성 변화를 보면 호밀의 파종시기가 늦춰질수록 유기물 함량은 높아졌으나, pH, 유효인산 및 치환성양이온의 값은 낮아졌다. 호밀을 간작으로 하는 콩 유기재배시 호밀의 파종을 3월 20일에 실시하고, 호밀을 2줄 5열로 파종을 하되 콩을 조간 70cm로 점파하였을 때 가장 높은 콩 수량을 보였다.

  • PDF

Application of numerical simulation for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pile-anchor system failure

  • Saleem, Masood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9권6호
    • /
    • pp.689-707
    • /
    • 2015
  • Progressive increase in population causing land scarcity, which is forcing construction industry to build multistory buildings having underground basements. Normally, basements are constructed for parking facility. This research work evaluates important factors which have caused the collapse of pile-anchor system at under construction five star hotel. 21 m deep excavation is carried out, to have five basements, after installation of 600 mm diameter cast in-situ contiguous concrete piles at plot periphery. To retain piles and backfill, soil anchors are installed as pit excavation is proceeded. Before collapse, anchors are designed by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procedure and four anchor rows are installed with three strands per anchor in first row and four in remaining. However, after collapse, system is modeled and analyzed in plaxis using mohr-coulomb method. It is investigated that in-appropriate evaluation of soil properties, additional surcharge loads, lesser number of strands per anchor, shorter grouted body length and shorter pile embedment depth caused large deformations to occur which governed the collapse of east side pile wall. To resume work, old anchors are assumed to be standing at one factor of safety and then system is analyzed using finite element approach. Finally, it is concluded to use four strands per anchor in first new row and five strands in remaining three with increase in grouted and un-grouted body lengths.

1920년대 이후 돈화문로 일대 도시한옥주거지의 형성과정과 특성 - 봉익동, 권농동, 익선동, 낙원동을 중심으로 - (The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n Hanok Residential Areas around Donhwamun-ro)

  • 이경욱;김영수;송인호
    • 건축역사연구
    • /
    • 제31권1호
    • /
    • pp.61-76
    • /
    • 2022
  • Bongik-dong, Kwonnong-dong, Ikseon-dong and Nakwon-dong are areas around Donhwamun-ro in Seoul. These residential areas began to be developed collectively from the 1920s and the construction period was the fastest among hanok residences collectively formed in urban center. At that time, houses were developed with high density. In the 1920s, many medium-sized plots of less than 3,300m2 were distributed around Donhwamun-ro. Private developers such as Jeong Se-kwon(Konyangsa), Shin Tae-jong, and Yoon Heung-rim, who were active at the time, purchased medium-sized plots. Developers sold out the land directly or after constructing Hanok on the divided plot and then selling them. This method of developing hanok residences by private developers in the 1920s have influenced on hanok residences which began to be developed after the 1930s. Currently, many urban Hanoks still remain in areas around Donhwamun-ro. The initial aspects of the hanok development in the 1920s could be grasped through blocks, plot division, alleys, row house Hanok etc around Donhwamun-ro.

열간 교호 적심이 콩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lternative Row Pinching on Growth and Yield in Soybean)

  • 김익제;손석용;남상영;유인모;김태중;이철희;김태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457-462
    • /
    • 2004
  • 콩 재배에서 가장 큰 문제의 하나인 도복의 경감을 위한 재배법 개선 방안과 초관 높이 차이에 의한 광합성능력의 향상을 모색하고자 열간 교호 적심이 콩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관 높이 차이는 무적심 1열+적심 1열에서 가장 컸으며, 도복은 무적심 1열+적심 1열에서 도복경감 효과가 가장 컸다. 2. 제 9본엽의 광합성능력은 무적심 1열+적심 1열의 무적심 열이 가장 높았다. 3. 엽면적지수는 8월 17일 이후에 무적심 열에 비하여 적심 열이 높았고, 9월 5일에는 무적심 1열+적심 1열의 엽면적지수가 가장 높았다. 4. 수량은 무적심 1열+적심 1열에서 주경 상반부의 입수증가와 입중 증대로 전체 무적심에 비하여 $14\%$, 전체 적심에 비하여 $2\%$ 증수되었다.

Burley종의 재식거잡가 광환경, 수량 및 품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 Spacing on Light Environment, Yield and Quality of Burley Tobacco)

  • 배성국;임해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12-217
    • /
    • 1981
  • 담배 품종은 Burley 2001를 공시하여 휴간을 90, 105, 120cm로 하고 주간을 각각 30, 35, 40cm로하여 재식밀도 및 재식거리 Burley종의 수량 및 품종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알맞는 재식거리를 구하고자 시험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1. 간경 및 최대도 등 1주당 생장량은 소식할수록 컸고, 같은 재식밀도에서는 주간을 넓힌 처리에서 더 컸다. 2. 후기생육은 밀직할수록, 같은 재식밀도에서는 휴간을 넓힐수록 완만하였다. 또한 주당 엽면적, 단위 엽면적중은 소식할수록 증가하는 반면 엽면적수는 밀식할수록 증가하였다. 같은 재식밀도에서는 단면적, 단위 엽면적중, 엽면적지수 모두 주간을 넓힌 처리에서 증가하였다. 3. 수광율은 소식할수록 중.본엽에서 더 많아 품종과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착엽각도도 켰다. 동일 재식밀도에서는 주간을 좁히고 휴간을 넓힌 처리에서 주당 생장량이 적으므로 수광율은 증가했으나 착엽각은 좁아서 1주면적당 일사량 이용은 주간을 넓힌 처리보다 더 적을 것으로 본다. 4. 밀식할수록 수량은 증가했으나 품질과 내용성분은 저하였고, 이에 대금은 90$\times$ 40 > 105$\times$ 40cm로 2,700주/10a에서 많았고, 같은 재식밀도에서는 수량, 품종 대금 모두 휴간을 좁히고 주간을 넓힌 처리에서 증가했으나 처리간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 결과에서 재식밀도는 2,400~2,700주/10a로 토양비옥도에 따라 가감해야 할 것이고 재식거리는 작업의 성력화를 위해 휴간을 다소 넓힌 105$\times$ 35, 105$\times$40cm로 재식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 PDF

제주도 휴양펜션시설의 건축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Jeju Province Recreational Pension)

  • 김봉애;정별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21-2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desirable recreational pension facilities system in compliance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and to help establish policies regarding recreational pension facilities. This research is carried out by an on site inspection and the survey of the management of the recreation facilities. Jeju recreational pensions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 The site area is $1305{\sim}7850\;m^2$, the number of guest rooms are $8{\sim}10$, and the area of the guest rooms are $33{\sim}99\;m^2$. In addition, most of them are built with R.C. structure and the exteriors are made of artificial stones. As for plot plan, it has 5 types of prototype : type of outbuilding, arranging in a row, corridor, hall, and the composition of the other types. Although Jeju recreational pension were institutionalized to satisfy the functions as tourism recreations, they don't refle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Jeju province.

Effect of Azospirillum brasilense and Methylobacterium oryzae Inoculation on Growth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 Chung, Jong-Bae;Sa, Tong-Mi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9-65
    • /
    • 2012
  • Plant growth-promoting effects of rhizobacterial inoculation obtained in pot experiments cannot always be dependably reproduced in field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oculation with Azospirillum brasilense and Methylobacterium oryzae, which have displayed growth promoting effects in several pot experiments, on growth and fruit yield of red pepper under field condition in a plastic-film house. Four rows spaced 90 cm apart were prepared after application of compost ($10Mg\;ha^{-1}$), and red pepper seedlings (Capsicum annum L., Nocgwang) were transplanted in each row with 40-cm space.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consisted of A. brasilense CW903 inoculation, M. oryzae CBMB20 inoculation, and uninoculated control. Twelve plots, 10 plants per plot, were allotted to the three treatments with four replicate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At the time of transplanting, 50 mL of each inoculum ($1{\times}10^8cells\;mL^{-1}$) was introduced into root zone soil of each plant, and re-inoculated at 7 and 14 days after transplant. Plant growth and fruit yield were measured during the experiment. Both A. brasilense CW903 and M. oryzae CBMB20 could not promote growth of red pepper plants. All growth parameters measure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There were large variations in fruit yield recorded on plot basis,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reatments. The failure to demonstrate the expected plant growth promoting effect of the inoculants is possibly due to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weather and soil characteristics, reducing the possibility to express the potential of the inoculated bacterial strains.

제주도 휴양펜션시설의 건축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Jeju Recreational Pension)

  • 정별아;김봉애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5-14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Jeju recreational pension. This research is carried out by on site inspection and the survey on management of the recreation facilities. A target of research is sixteen facilities of recreation pension in Jeju-do. Recreational pension was created by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of special law in 2000. Jeju Recreational pension has characteristics as follows : The land area of that is $1300m^{2}{\sim}6300m^{2}$, the number of guest rooms are 10, and the area of guest rooms are $29m^{2}{\sim}100m^{2}$. Especially most of them are in Namjeju-gun. Also, they mostly have R.C. structure, and materials of exterior are artificiality stone. The color of an outer walls are mostly white and light-beige and that of the roofs are mainly dark-brown. On plot plan, it has 4type of prototype; type of outbuilding, arranging in a row, corridor, hall and composition of three types with public area. The outside facilities are equipped by handy golf courses and outdoor barbecue cooking sites. Unfortunately, most of pensions don'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e factors in Jeju.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