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ing media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8초

기내배양에 의한 Philodendron cannifolium의 대량번식 (In vitro micropropagation of Philodendron cannifolium)

  • 한봉희;박병모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5권3호
    • /
    • pp.203-208
    • /
    • 2008
  • Philodendron cannifolium을 기내배양하여 일시에 균일한 식물체를 대량생산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Philodendron의 경정에서 부정 다아체 형성은 BA $2.0{\sim}5.0$ mg/L 첨가배지와 TDZ $0.05{\sim}1.0$ mg/L 첨가배지에서 양호하였다. 그러나 TDZ이 첨가된 배지에서 생육한 식물체는 모두 엽록소가 결핍되었다. 신초경정에서 형성된 부정 다아체를 $5{\sim}7$ mm 정도로 종으로 절단하여 배양한 결과 BA $1.0{\sim}3.0$ mg/L가 첨가된 배지에서 신초수가 30개 이상으로 신초의 증식이 양호하였다. 그러나 BA가 고농도(10.0 mg/L)로 첨가된 배지 및 TDZ이 첨가된 배지는 기부의 callus가 이상 비대하였다. 증식된 신초의 색도 cream색으로 엽록소가 부족하였다. 증식된 신초의 생육 및 발근은 IBA $0.5{\sim}2.0$ mg/L가 첨가된 MS 배지에서 양호하였다. 발근된 신초의 순화는 vermiculite와 perlite 및 vermiculite의 1:1 혼합용토가 적합하였다. MS배지에 활성탄 10 g/L와 sucrose 30 g/L가 첨가된 액체배지 15 mL를 첨가하여 신초를 생육시킨 다음, IBA $500{\sim}2,000$ ppm이 첨가된 용액에서 10 초간 침지하여 perlite와 vermiculite가 1:1로 혼합된 용토에 재식하였을 때, 신초의 생육 및 발근이 양호하였다.

몇 발근환경인자(發根環境因子)가 주목삽수(揷穗) 발근(發根)에 미치는 효과(効果) (Effects of Some Environmental Factors on Japanese Yew (Taxus cuspidata Sieb. et Zucc.))

  • 김창호;남정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0권1호
    • /
    • pp.1-6
    • /
    • 1985
  • 주목(朱木)(Taxus cuspidata Sieb. et Zucc)의 휴안지삽수(休眼枝揷穗)를 1982년(年) 4월(月) 20일(日)에 온실내(温室內)와 포지조건(圃地條件)에서 삽목(揷木), 당년(當年) 10월(月) 31일(日)에 발근개체(發根個體)를 가지고 평균발근율(平均發根率)을 계산(計算)하여 통계분석(統計分析)하였다. 본(本) 실험(實驗)의 목적(目的)은 원예적(園藝的)으로 가치(價値)를 평가(評價)받고 있음에 착안하여 가장 합리적(合理的)인 삽목조건(揷木條件)을 찾아내는 데 있다.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온실내삽목(温室內揷木)은 포지삽목(圃地揷木)에 비해 평균발근율(平均發根率)이 높았다. 이것은 처리별(處理別)의 차이(差異)에 불구하고 같은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2) IBA처리구(處理區)는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해 더 높은 평균발근율(平均發根率)을 보였다. 온실내삽목(温室內揷木)의 경우 IBA처리구(處理區)는 평균발근율(平均發根率) 86%, 무처리구(無處理區) 23%, 포지삽목(圃地揷木)인 경우 IBA처리구(處理區) 53%, 무처리구(無處理區) 11%이다. 이것은 모두 삽수장(揷穗長) 20cm, 그리고 사토배지(砂土培地)에 삽목(揷木)되었을 경우이다. 3) 삽목배지(揷木培地)로서 사토(砂土), 양토(壤土), 갈색토(褐色土) 중(中) 온실내삽목(温室內揷木)이나 포지삽목(圃地揷木) 공히 사토구(砂土區)가 가장 높은 발근율(發根率)을 보였다. 4) 삽수장(揷穗長)이 발근(發根)에 마치는 영향을 분석(分析)한 바 15~20cm가 발근(發根)에 적당하고 25cm 이상은 발근율(發根率)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고찰(顧察)에 의한 발근양식(發根樣式)은 삽수하단절단면(揷穗下端切斷面)에 켈루스세포괴(細胞塊)가 생기고 그 안에 근기(根基)가 만들어져 근계형성(根系形成)에 관여하는 경우와 삽수(揷穗)의 경부(莖部)에 측근(側根)모양으로 나타나는 불정근(不定根)의 경우이다.

  • PDF

오미자 대량증식을 위한 삽목번식 효율증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uttings for Mass Propagation Affecting the Impact of Increasing Reproductive Efficiency of Schisandra chinensis)

  • 김종엽;김창수;유동현;김동원;최동칠;김정만;오남기;박춘근;안영섭;이강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31-236
    • /
    • 2014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optimum cutting time, plant growth regulator, and bed-soil for rooting by greenwood cutting of Schisandra chinensis. Approximately 7 cm long-shoots of greenwood cuttings were transplanted by various cutting times, plant growth regulators, and bed-soils in the plastic-film house. The rooting rate of greenwood cutting was 12.5% in the April 5th, 73.5% in the May 8th, and 75.5% in the August 5th. The number and length of primary root in greenwood cutting were more in the early May than those in the early August. For mass propagation of Schisandra chinensis. using greenwood cutting, shoots were treated with plant growth regulators on May to increase rooting rate. Rooting rate was 100% with IAA $50mg/{\ell}$, 92.9% with NAA $100mg/{\ell}$, and NAA $1,000mg/{\ell}$, for 60 min. To select effective media for rooting, various medias for bed-soil were treated by single and mixture form for 100 days after cutting. Rooting rate was 91.8% in the single treatment of peat moss or decomposition of granite soil, and this result was better than those in other treatment. The treatment by 1 : 1 mixture of peat moss and horticulture bed soil was rooting with 94.0% best rooting rate.

한반도 희귀식물인 백서향의 녹지삽목을 통한 증식 (Propagation of a Rare Variety Daphne kiusiana Miq. In Korea Through Softwood Cuttings)

  • 노나영;송은영;김성철;고호철;이석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46-250
    • /
    • 2010
  • 본 실험은 희귀 자생식물인 백서향의 삽목 증식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백서향은 남부지방 해변의 산기슭에 나는 상록관목으로 이른 봄에 향기가 아주 뛰어난 식물이다. 자웅이주식물로 국내에는 대부분 수나무가 많아 채종이 어려워 종자번식이 힘든 상황이므로 삽목 방법을 통해 증식을 시도하였다. 백서향의 삽목에 적합한 토양을 찾기 위해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와 버미큘라이트 혼용(1 : 1), 모래로 4 처리를 수행한 결과, 발근율은 각각 86.7%, 95%, 75%, 95%로 나타났다. 온도를 달리히여 3처리로 삽목을 하였더니 발근율과 뿌리길이의 생육을 살펴볼 때 $27^{\circ}C$에서 생육이 우수하였다. 시기별로 6월 19일, 7월 19일, 8월 19일에 삽목한 결과 생존율, 발근율은 통계적으로 오차 범위 내에서 공통적으로 우수하였고, 그 중 7월 삽목의 뿌리생장이 가장 우수하였다. 백서향의 삽목증식은 펄라이트와 버미큘라이트를 혼용하여 7월에 삽수를 채취하고 생육기간 중 온도를 $27^{\circ}C$로 관리히는 것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용토와 생장조절제 처리가 노빌계 덴드로비움의 삽목번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tting Media and Growth Regulators on the Cutting of Dendrobium nobile)

  • 김한균;남유경;이종석
    • 화훼연구
    • /
    • 제18권1호
    • /
    • pp.23-28
    • /
    • 2010
  • 본 실험은 Dendrobium nobile계 신품종인 'Candy'와 'Fizz', 'Princess'를 대상으로 줄기 삽목번식법을 확립하고자 수행하였다. 매질실험에서 삽목 60일 후 측아발생률은 'Fizz'가 perlite+vermiculite 혼용구에서 83.3%로 가장 높았고, 발근률은 'Candy'와 'Fizz'에서는 발근이 되지 않았으나 'Prince'의 경우 삽목 60일 후 perlite+vermiculite 혼용구에서 10%의 발근률을 나타냈다. 오옥신 종류 및 농도별 실험에서 측아발생률은 'Candy'를 제외하고는 삽목 60일 이후부터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었으나 'Fizz'는 IBA 200ppm 처리의 86.7%를 제외하고는 대조구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착엽수는 대조구에 비해 'Candy'와 'Fizz'의 경우 IBA 200ppm에서 높은 발생률을 나타냈다. 발근률은 'Prince'에서는 IBA 200과 NAA 50ppm에서 대조구보다 2배의 높은 발근률을 나타냈다. BA와 kinetin의 농도별 실험에서 'Candy'는 삽목 60일 후 BA 50ppm에서 20%의 측아발생률을 나타냈다. 'Fizz' 품종은 전체적으로 측아발생률이 30일 이후부터 증가하여 60일 이후에는 대조구의 77%에 비해 BA 200ppm에서 100%이었다. 그러나 kinetin의 경우 농도에 관계없이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착엽수도 Fizz와 Prince에서 측아발생률과 유사한 경향으로서 BA 200ppm에서 효과가 뚜렷하였으나 모든 품종에서 발근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분화용 Anthurium andreanum ′Atlanta′의 기내번식 (In Vitro Propagation of Anthurium andreanum ′Atlanta′ Developed for Pot Culture)

  • 한봉희;구대회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179-184
    • /
    • 2003
  • In order to establish micropropagation system Anthurium andreanum 'Atlanta', dwarf type, shoots of A. andreanum were cultured on medium supplemented with cytokinin. Callus was formed from the base of shoots. high frequency callus induction was obtained on medium with 10.0mg/L BA or 10.0mg/L TDZ(thidiazuron) at more than 71.8%. The shoots were cultured on media with various combinations and concentrations of TDZ, BA and 2.4-D to enhance callus induction. Callus was induced at more than 72.6% and grew vigorously on media containing 10.0mg/L BA and 0.0∼0.5mg/L 2.4-D, or 1.0mg/L TDZ. Stimulation effects of cytokinin by 2.4-D did not occur in combined treatments of cytokinin and 2.4-D. Callus was cut into sections(7${\times}$10mm), and then cultured on media with BA alone or BA and 2.4-D to regenerate shoots and to stimulate the callus growth. Shoot regeneration and callus growth were effective on media with 10.0mg/L BA alone, or 10.0mg/L BA and 0.1mg/L 2.4-D. In combined treatments of BA and 2.4-D, stmulation effects of cytocinin by 2.4-D also did not occur. Callus growth was decreased, accordiong to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2.4-D. In cimbined treatments of TDZ and 2.4-D in shoot regeneration and callus proliferation, stimulated effects of cytokinin by 2.4-D did not occur entirely. Media with 0.5∼1.0mg/L TDZ ingibited the regeneration and rooting of shoots, and callus growth from callus sections. Addition of 2.4-D on medium with TDZ ingibited the regeneration and rooting of shoots, and callus growth. Rooted plantdts were acclimatized in greenhouse. The plantlets were survived more than 98% in soil of vermiculite alone or mixed perlite 1 and vermiculite 1.

생물반응기 생산 현삼 신초의 순화에 미치는 배지의 영향 (Effects of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Media on the Acclimation of the Shoots of Scrophularia buergeriana Miquel Produced in Bioreactor)

  • 한석훈;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2-67
    • /
    • 2001
  • 본 실험의 목적은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현삼 종묘의 기내증식과 기내순화에 관여하는 적정 배지조건을 검토하여 추후 종묘의 건전한 생육과 안정적 생산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물반응기에서 4주간 배양한 신초의 발근과 생장은 1X MS 액체배지에서 양호하였으나 6주간 배양한 신초는 1/10 MS 배지에서 좋았다 2. MS 고체배지에서의 잎 전개율은 생물반응기에서 6주간 배양한 신초가 4주간 배양한 신초보다 높았다. 3. 잎이 전개된 신초의 수와 신초당 잎의 수는 1X MS 고체배지에서 많았으나 유리화도 1/2X MS 고체 배지에서 보다 많이 발생하였다. 4. 전반적으로 보아 신초의 지상부 생육은 MS 기본배지에서 양호하였으나 지하부 생육은 암모니아 태 질소를 1/4로 줄인 배지에서 좋았다. 5. 암모니아태 질소를 1/4로 줄이고 아가농도를 1.2%로 조정한 배지에서 신초의 생육이 좋았으나 유리화가 많이 발생하였다. 6. 신초의 생육과 순화는 1X MS배지에 1.6% 아가농도가 좋았으나 1/2X MS에 1.2%의 아가를 첨가한 경우보다 유리화가 많이 나타났기 때문에 신초의 순화는 1/2 MS 기본배지에 아가농도를 1.2%로 한 배지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공중취목 피복재료가 소사나무 분재소재의 발근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otball Media and Covering Materials for Air-layering on Rooting and Growth of Miniature Tree Material of Carpinus coreana)

  • 최병철;홍성각;김종진
    • 임산에너지
    • /
    • 제21권1호
    • /
    • pp.32-40
    • /
    • 2002
  • 본 연구는 공중취목시 환상박피 부위를 감싸는 재료(rootball medium) 및 rootball medium을 다시 둘러싸는 피붕재료가 영향하는 분재 소재의 발근 및 생장 반응을 탐구하고자 소사나무를 대상으로 비닐은실에서 수행되었다. 환상박피 상부 1cm 부위의 직경생장은 피봉재료로 황마테이프를 사용하였을 때 증가하였으며, 당년도 발생한 잎, 가지의 건중량은 rootball 재료로 peatmoss 와 perlite의 혼합 배양토(2:1, v/v)와 피봉재료로 황마테이프를 같이 사용하였을 때가 많았다. 길이 10cm 이하의 가지 발생 수와 그 가지에서 발생된 잎의 수는 rootball 재료로 배양토보다 수태를 사용하였을 때 많았다. 환상박피 부위의 발근 소요일은 황마테이프 사용에 의하여 단축되었고, 또한 황마테이프 사용은 박피 부위에서 세근 발생을 촉진시켰으며 발생 전체 뿌리 건중량을 증가시켰다. 반면에 수태사용은 배양토 사용시 보다 장근 발생수를 증가시켰다.

  • PDF

재활용 CGE의 다양한 혼합비율에 따른 분화 칼란코에 ‘Gold Strike’ 삽수의 발근과 생육 (Rooting and Growth of Kalanchoe 'Gold Strike' Cuttings in Various Mixtures of CGF)

  • 이미영;정병룡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08-114
    • /
    • 2002
  • CGF(cellular glass foam)는 폐기된 유리물질을 재가공하여 입자화한 것으로 통기성과 배수성이 뛰어난 펄라이트와 이화학적 성질이 유사하여 칼란코에 영양번식용 배지로의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CGF와 펄라이트를 각각 입상암면과 피트모스를 다양한 부피비로 혼합하여 Kalanchoe blossfeldiana ‘Gold Strike’의 생육을 비교하였다. 배지의 입자크기는 CGF 2.0~4.0mm, 펄라이트 1.2~4.0mm를 사용하였다. 평균온도 18.2$^{\circ}C$와 상대습도 66.7% 조건의 미스트상에서 전조처리(명기 14h.d$^{-1}$, 암기 10h.d$^{-1}$)하여 재배하였다. 초장, 근장, 경경. 엽수, 엽면적, 발근율,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 총 엽록소 농도, 그리고 배지의 이화학성을 조사하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100%의 발근율을 보였다. CGF와 펄라이트가 혼합된 배지의 이화학적 특성은 처리간 유의차가 적었다. 또한 CGF의 혼합배지에서 칼란코에의 생육은 펄라이트의 혼합 배지와 비교해 유사하거나 오히려 우수한 생육을 보였다 따라서 칼란코에의 영양번식용 배지로서 CGF의 사용 가능성이 입증되었으나 추후 CGf를 이용하기 위해 보다 폭넓은 실증실험과 분석이 필요하며, 높은 pH를 보정할 수 있는 적정 양액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In vitro Conservation of Coleus forskohlii- an Endangered Medicinal Plant

  • Rajasekharan P.E.;Ambika S.R.;Ganeshan S.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7권2호
    • /
    • pp.135-141
    • /
    • 2005
  • Protocols for in vitro conservation was developed for Coleus forskohlii. Plants maintained both in field served as explant source. Shoot tips and single node cuttings were used to optimize protocols for in vitro multiplication. MS basal medium supplemented with $0.54\;{\mu}M$ naphthalene acetic acid (NAA) and $8.87\;{\mu}M$ benzy-ladenine (BA) induced multiple shoots in shoot tips and nodes. Shoot multiplication was amplified with a gradual decrease of BA concentration, leading to its final omission after 4 months. Concomitant rooting on multiplication media enabled successful establishment extra vitrum. For in vitro conservation studie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2-3 week maintained in vitro plants under standard and reduced culture conditions (SCC, RCC). In vitro plants could be successfully conserved in full strength MS medium (FMS) under SCC for 6 months without subculture with full potential to regenerate, producing viable shoots and nodes. The root production remained unaffected due to conservation, showing high rooting activity in mannitol and low temperature treatments. Preset low temperature (15 and $10^{\circ}C$) and reduction in media constituents does not appear to favour conservation, although the former accomplished conservation levels equal to (FMS) under S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