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 wood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31초

이식용(移植用)Pot의 제조(製造) 및 그 효과(効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Manufacture of Fiber Pot and its Effect for the Good Transplanting)

  • 김지문;이화형;권기원;송호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9
    • /
    • 1980
  • 본(本) 연구(硏究)는 산지이식(山地移植)에서 Jiffy pot를 fiber pot로 대체가능(對替可能)한가 알아보기 위해 수행(遂行)되었다. fiber pot는 fiber, wood waste particle, particle 량(量)의 10%에 해당하는 bark powder로 만들어졌고 또 latex가 결합제(結合劑)로 첨가(添加)되었다. pot는 식물(植物)이 자라는 동안 pot벽(壁)의 wood fiber 분해(分解)에서 생기는 배양토(培養土)의 N흠핍증(欠乏症)을 막기 위해 충분(充分)한 요소액(尿素液)으로 spray되었다. fiber pot의 이용가능성(利用可能性)은 온실조건(溫室條件)하에 두 수종(樹種)의 service test에서 Jiffy pot와 비교(比較)되었다.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비중(比重), 비인열도(比引裂度), 비파열도(比破裂度)에 있어서 30% wood fiber+10%의 bark powder를 포함(包含)한 70% particle과 3% latex로 된 fiber pot가 Jiffy pot에서와 같은 좋은 결과(結果)를 나타냈다. 흡수력(吸水力)에 있어서는 50% fiber+50% particle과 3%-latex로 된 fiber pot가 가장 좋은 결과(結果)를 나타냈다. 뿌리의 pot벽(壁) 관통(貫通), 취급편의성(取扱便宜性)에 대(對)한 상기(上記) 물리적(物理的),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을 고려(考慮)할 때 30%fiber+70%particle과 3%-latex로 된 fiber pot가 좋을 것으로 보였다. 2. Jiffy pot와 마찬가지로 fiber pot에서도 묘목생장(苗木生長)에는 아무런 해(害)가 없었다. 뿌리의 pot벽(壁) 관통능력(貫通能力)은 Jiffy pot보다 fiber pot가 다소 뒤지나 운반(運搬)에 의(依)한 pot의 손상(損傷)은 Jiffy pot보다 약간 더 경미(輕微)했다.

  • PDF

건설현장 발생재를 활용한 비탈면 녹화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Revegetation Methods Using Fresh Woodchip from Construction Works)

  • 남상준;김경훈;여환주;정지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86-95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recycle revegetation methods for the restoration of the steep slopes by using fresh wood chip from construction sites. In general, the fresh wood chips can be used as soil media for the restoration works, because they can increase infiltration of rainfall and give enough porous to breathe and elongate for the root growth as well as economic value.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effect of fresh wood chips from different mixing with soil, organic material and macromolecular compound which used for slope restoration works conducted by Hyunwoo green(Ltd.). The main results by monitoring for two year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oil media made with low percentage of fresh wood chip covered quickly by herb plants. Especially, the soil mixture Type C (wood chip 20%) showed 80 percent ground coverage within two months after seeding. 2. The soil mixture type E (wood chip 40%) and type F (wood chip 50%) which contains more fresh wood chips than soil type C was under 30 percent ground coverage because wood plants are germinated well. If the restoration works aims at making forest, then the soil type E and F would be recommended than using soil type C. 3. Among the woody plants, Ailanthus alfissima, Pinus rigida, Pinus densiflora, and Albizzia julibrissin showed high percentage of germination rates and vigorous growth. In case of shrubs, Lespedeza cyrtobotria and Indigofera pseudo-tintoria scored high percentage of germination rates. 4. In native plants, Chrysanthemum indicum, Artemisia princeps, Lutos corniculatus and Imperata cylindrica showed high percentage of appearance. In case of introduced herbs, Coreopsis lanceolata, Coreopsis tinctoria and Oenothera oborata grew so vigorously. 5. The soil types which including fresh wood chips over 30-40 percentage showed the most diverse plant composition and the most effective germination rates and growth pattern with woody plants. 6. This works to develop recycle revegetation methods using fresh wood chips need more efforts for monitoring the exact effect of fresh wood chips as the soil media.

Effects of Composts and Soil Amendment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in Relation to Phytophthora Root and Crown Rot of Bell Pepper

  • Kim, Ki-Deok;Nemec, Stan;Musson, Georg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6권5호
    • /
    • pp.283-285
    • /
    • 2000
  • Two field tests were conducted in 1995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posts and soil amendment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relation to Phytophthora root and crown rot of bell pepper. Chitosan, crab shell waste, humate, sewage sludge-yard trimmings, and wood chips were applied to test plots, some of which affected the levels of P, K, Mg, pH, and H.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not related with disease incidence, but percent organic matter, estimated nitrogen release, K, and Mg were correlated with total microbial activity. The elements K and Mg were especially responsible for the increased soil microbial activity that could affect development of root and crown rot of pepper.

  • PDF

백합나무의 상대생장식 및 현존량 확장계수 (Allometric Equations and Biomass Expansion of Yellow Poplar(Liriodendron tulipifera) in Southern Korea)

  • 강민선;장경수;손영모;김래현;박인협;이계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4호
    • /
    • pp.463-471
    • /
    • 2016
  • 백합나무(Liriodendron tulipifera L.)의 자원량 파악 및 바이오매스 통계자료 구축을 위해 줄기밀도, 바이오매스 확장계수, 뿌리함량비를 구하였으며, 흉고직경과 수고를 이용한 상대생장식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과 경급을 고려하여 총 40본의 표본목을 벌채하였고 21본은 뿌리까지 굴취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백합나무의 줄기밀도는 $0.43g{\cdot}cm^{-3}$,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는 1.2, 뿌리함량비는 0.2이며, 각각의 불확실성은 3.9%, 4.6%, 24.1% 이었다. 백합나무 지상부 상대생장식은 $W=0.060D^{2.524}$이었고, 전체 바이오매스 및 지하부 상대생장식은 각각 $W=0.063D^{2.578}$, $W=0.010D^{2.591}$이었다.

가래나무 뿌리껍질의 휘발성 화합물 (Volatile Compounds from Root Shell of Juglans mandshurica)

  • 권동주;김진규;배영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3호
    • /
    • pp.199-203
    • /
    • 2008
  • 가래나무 뿌리껍질에서 단리한 4종의 휘발성 성분을 GC-MS를 이용하여 화학구조를 규명하였다. 각 성분들의 fragment pattern은 NIST와 Wiely 6 스펙트럼과 비교하여 aliphatic alcohol인 3-ethyl-2-methyl-1-pentene-3-ol과 naphthoquinone 유도체인 1,4-naphthoquinone, 5-hydroxy-1,4-naphthoquinone (juglone) 및 5-hydroxy-2-methyl-1,4-naphthoquinone (plumbagin)임을 확인하였다. 정량분석 결과 1,4-naphthoquinone $54.4{\mu}g/g$, 5-hydroxy-1,4-naphthoquinone $21.3{\mu}g/g$, 5-hydroxy-2-methyl-1,4-naphthoquinone $17.1{\mu}g/g$의 함량을 나타냈으며, 1,4-naphthoquinone과 5-hydroxy-1,4-naphthoquinone은 가래나무 뿌리껍질의 주요 휘발성 성분이었다.

Determination of Air-dry Density of Wood with Polychromatic X-ray and Digital Detector

  • Kim, Chul-Ki;Kim, Kwang-Mo;Lee, Sang-Joon;Lee, Jun-Jae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6호
    • /
    • pp.836-845
    • /
    • 2017
  • Gravimetric method is usually used to evaluate air-dry density, which is governing physical or mechanical properties of wood. Although it had high evaluation accuracy, the method is time consuming process.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air-dry density of wood with high accuracy by using polychromatic X-ray and digital detector as alternative of gravimetric method. To quantify polychromatic X-ray projection for evaluating air-dry density, Lambert-Beer's law with the integral value of probability function was used. The integral value was used as weighting factor in the law, and it was determined by conducting simple test at various penetration depths and tube voltage. Mass attenuation coefficient (MAC) of wood also calculated by investigating polychromatic X-ray projection according to species, penetration depth and tube voltage. The species had not an effect on change of MAC. Finally, an air-dry density of wood was estimated by applying the integral value, MAC and Lambert-Beer's law to polychromatic X-ray projection. As an example, the relation of the integral value (${\alpha}$) according to penetration depth (t, cm) at tube voltage of 35 kV was ${\alpha}=-0.00091t{\times}0.0184$ while the regression of the MAC (${\mu}$, $cm^2/g$) was ${\mu}=0.5414{\exp}(-0.0734t)$. When calculation of root mean squared error (RMSE) was performed to check the estimation accuracy, RMSE at 35, 45 and 55 kV was 0.010, 0.013 and $0.009g/cm^3$, respectively. However, partial RMSE in relation to air-dry density was varied according to tube voltage. The partial RMSE below air-dry density of $0.41g/cm^3$ was $0.008g/cm^3$ when tube voltage of 35 kV was used. Meanwhile, the partial RMSE above air-dry density of $0.41g/cm^3$ decreased as tube voltage increased. It was conclude that the accuracy of estimation with polychromatic X-ray and digital detector was quite high if the integral value and MAC of wood were determined precisely or a condition of examination was chosen properly. It was seemed that the estimation of air-dry density by using polychromatic X-ray system can supplant the gravimetric method.

음나무 추출물의 세포 내 산화 스트레스와 항산화 활성 (Oxidative Stress in the Cel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alopanax Pictus Extracts)

  • 김세현;박영기;장용석;한진규;정헌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126-134
    • /
    • 2007
  • 음나무의 새로운 용도 개발을 위하여 다양한 항산화 측정법을 이용하여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즉, 음나무 수피 및 근피의 온수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세포 내 활성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세포수준에서의 산화 스트레스 억제효과를 측정하였으며, DPPH법 및 NBT법을 이용하여 각 추출물의 화학적인 측면에서의 항산화력을 측정하여 이들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NR assay와 MTT assay에 의해 측정한 세포독성 실험결과, 음나무 근피의 메탄올 추출물의 세포독성이 가장 강했으며, 50%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는 NR50과 MTT50은 각각 0.0018%와 0.0029%였다. 산화 스트레스 억제효과는 근피의 불용성 온수 추출물이 15분 처리에서 57.9%로 가장 우수하였다. DPPH법과 NBT법을 이용한 음나무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측정결과, 각각 수피의 메탄올 추출물이 96% (0.1% 농도)이고, 수피의 불용성 온수 추출물이 95% (0.5% 농도)를 나타내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왕버들과 굴참나무의 뿌리, 줄기 및 가지에 있어서 이기목부(二期木部)의 해부학적(解剖學的) 비교(比較) (An Anatomical Comparison of the Secondary Xylem in the Branch, Stem and Root of Salix glandulosa and Quercus variavilis)

  • 류하용;소웅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3호
    • /
    • pp.283-293
    • /
    • 1988
  • 산공재(散孔材)인 왕버들(Salix glandulosa Seemenn)과 환공재(環孔材)인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BI.)의 뿌리, 줄기 및 가지에 있어서 2기(二期) 목부조직(木部組織)을 해부학적(解剖學的)으로 비교관찰(比較觀察)하였다. 굴참나무의 뿌리의 도관분포(導管分布)는 줄기와 달리 산공형(散孔型)이다. 뿌리의 연륜(年輪) 경계(境界)는 양(兩) 수종(樹種)에서 대체(大體)로 불분명(不分明)하다. 도관요소(導管要素) 및 대섬유(大纖維)는 뿌리에서 제일 길고, 가지에서 가장 짧다. 또한 도관(導管)의 직경(直徑)은 뿌리, 줄기, 가지의 순(順)으로 좁아진다. 횡단면상(橫斷面上)에서 도관(導管)의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분포수(分布數)는 가지에서 제일 많고 뿌리에서 가장 적다. 도관요소(導管要素)의 천공(穿孔)은 두 수종(樹種) 모두 단천공(單穿孔)이고, 천공판(穿孔板)의 경사각(傾斜角)은 뿌리, 줄기, 가지의 순(順)으로 작아진다. 접선단면상(接線斷面上)에서 방사조직(放射組織)은 뿌리가 줄기나 가지에 비(比)해 높은 반면(反面),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분포수(分布數)는 뿌리에서 줄기나 가지에 비(比)해 적다.

  • PDF

리기다소나무 입목(立木)의 수분분포(水分分布)에 관(關)하여 (The moisture distribution in standing Pitch Pine trees)

  • 이필우;한관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5-49
    • /
    • 1968
  • 이 시험(試驗)은 리기다소나무의 재(材) 부분별(部分別) 함유(含有) 수분량(水分量)을 조사(調査)하기 위(爲)하여 실시(實施)된 시험(試驗)인데 조사(調査)된 재부분(材部分)은 간재(幹材)에서 심재(心材)와 변재(邊材) 그리고 기재(技材), 말목재(末木材), 근재등(根材等)이다. 이 시험(試驗)에서 사용(使用)한 시험목(試驗木)과 측정(測定)된 재부분별(材部分別) 평균함수율치(平均含水率値)는 table(l), (2)와 같고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리기다소나무 동계벌목재(冬季伐木材)의 각(各) 재부중(材部中)에서 함수율(含水率)이 가장 높은 부분(部分)은 말목재(末木材)이었고 가장 낮은 부분(部分)은 심재(心材)이었다. (2) 재부분별(材部分別) 함수율(含水率)을 비교(比較)하여 보면 근재(根材)와 기재간(技材間) 그리고 근재(根材)와 변재간(邊材間)에는 차이(差異)가 없었고 말목재(末木材)와 기타재부간(其他材部間) 그리고 심재(心材)와 기타재부간(其他材部間)에는 차이(差異)가 있었다. (3) 개체간(個體間)의 재부분별(材部分別) 연균(年均) 함수율간(含水率間)에는 일반적(一般的)으로 큰 변이(變異)가 없으나 기재(技材)에서는 매우 큰 변이(變異)를 나타낸다.

  • PDF

느릅나무 근피의 화학조성분 및 항균성 물질(I) : 화학조성분 및 추출성분의 항균성 (Chemical Analysis and Isolation of Antibacterial Compound from Ulmus species(I) : Chemical Analysis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Extractives)

  • 김창순;이중명;최장옥;박성배;엄태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66-73
    • /
    • 2002
  • 느릅나무 근피와 점액질의 화학 조성을 분석하였고, 근피의 MeOH추출물을 각종 유기용제 및 수층으로 분획하고 각 분획물의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원소조성은 수종간의 차이는 없었지만, 목부의 질소 및 리그닌 함량은 사부보다 높았으며 회분 및 추출물양은 목부보다 사부가 높게 나타났다. 근피의 점액질은 냉수에 의해 매우 느리게 용출 되었으며, 높은 산성당 함량을 갖는 pectin 유사 물질이었다. 느릅나무 근피로부터 약 7% 정도의 메탄올 추출물이 얻어졌고 이 중 78%가 수용성 물질이었으며 Staphylococcus aureus와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하여 항균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