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 cuttings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3초

PLANT BIOCHEMISTRY OF GINSENG SAPONINS(III) Radioactive Studies (2). Sodium Acetate-U-$C^{14}$ Experiment

  • 고려인삼학회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74년도 학술대회지
    • /
    • pp.101-113
    • /
    • 1974
  • The radioactive compound sodium $acetate-U-C^{14}$ (C-14 acetate) was administered to two- and four-year-old July and September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m L.) plants and cuttings. The C-14 acetate uptake was approximately $99\%.$ The autoradiochromatograms suggest that the saponins(panaquilins) isolated by preparative thin-layer chromatography contained impurities, especially those isolated from the leaf and stem extracts. The root and fruit methanol extracts yielded relatively pure saponins. The large amounts of panaquilin B and its proximity to panaquilin C on preparative thin-layer plates resulted in some admixing. The average concentration $(\%$ plant dry weight) of semipurified saponins were high in the leaves $(13.8\%),$ compared to fruits $(9.8\%),\;stems\;(7.9\%)\;and\;roots\;(6.3\%).$ The average percentage of C-14 acetate incorporation into panaquilins was $4.8\%.$ The average percentage of C-14 acetate incorporation into panaquilins B and C was higher $(1.40\%\;and\;1.13\%,$ respectively) than that into panaquilin C, (d), G-1 and G-2 $(0.75\%,\;0.65\%,\;0.13\%\;and\;0.53\%,$ respectively). Panaquilin synthesis may be depending upon the part collection period and age of the plant. The average percentage of C-14 acetate incorporation into panaquilin B is high in roots $(0.58\%)\;and\;stems\;(0.48\%);$ that into panaquilins C and (d) high in leaves $(0.40\%\;and\;0.45\%,$ respectively); and that into panaquilin E high in roots and leaves $(0.55\%\and\;0.50\%,$ respectively). Panaquilin G-2 was synthesized in all parts of plants. The panaquilins appear to be biosynthesized more actively in July than September (exception-panaquilin G-l). Panaquilins B, C and G-1 may be biosynthesized more actively in four-year-old plants and panaquilins (d) and E more actively in two-year-old plants. The results from expectance with cuttings suggest that the panaquilins are synthesized de novo in the above-ground parts of ginseng plants, and that panaquilin G-l may be synthesized de novo in the leaf. It is known from the tissue culture studies that panaquilins are produced by leaf, stem and root callus tissues and callus-root cultures of American and Korean ginseng plants. Panaquilins may actively be synthesized de novo in most any cell or organ of the ginseng plants. It was verified that C-14 acetate was incorporated into the panaxadiol portions of the panaquilins of two-year-old plants (sp. act., 0.56 $m{\mu}Ci/mg$) and four-year-old plants (sp. act., 0.54 $m{\mu}Ci/mg$).

  • PDF

종자파종과 삽목을 활용한 희귀식물 주걱댕강나무의 증식 특성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Rare Plants Diabelia spathulata (Siebold & Zucc.) Landrein Applied by Seeding and Cutting Methods)

  • 장정걸;이명훈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90-401
    • /
    • 2023
  • 희귀식물인 주걱댕강나무를 보전하기 위해 종자파종과 삽목을 중심으로 증식 특성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종자파종의 발아율은 노천매장 저장에서 3.56%, 모래 배양토에서 2.44%이나, 이는 극히 낮은 발아율로 증식을 위해 종자의 활력검정, 휴면성 타파 등과 같은 종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숙지삽은 모래(2)+펄라이트(1) 조합에서 36.1%의 발근율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삽수의 발근촉진제 처리는 IBA 1000 ppm에서 발근율이 37.8%로 가장 높았고, 신초의 길이, 뿌리 수, 뿌리 길이는 발근촉진제 처리와 함께 농도가 높아질수록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녹지삽은 모래에서 80% 발근율로 가장 높지만 캘러스 형성이 93.3%임에도 불구하고 발근율이 80%로 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녹지삽을 수행할 경우 삽수의 직경은 3~5 mm 정도를 권장하며, 삽수의 길이는 7~8 cm가 적정하여 직경이 굵으면서도 길이는 플라스틱 육묘용 상자 높이 보다 낮게 삽수를 조제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근삽의 경우 모든 배양토에서 83.3~96.7%로 삽목 방법 중 가장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그 중 모래보다는 혼합용토가 효율적임을 확인하였으며, 모든 삽수에서 발아율이 90%를 상회할 정도로 높았다. 삽수의 직경은 7~8 mm에서 100%, 삽수의 길이는 10~11 cm와 같이 길어질수록 발근율과 지하부, 지상부 모두에서 생육이 왕성하였다. 분주의 경우 직경이 커질수록 생장이 왕성하나 분주목의 크기나 생육상태에 관계없이 100% 활착률을 보였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주걱댕강나무는 종자파종보다 삽목이 효율적이며, 그 중 근삽과 분주의 활착률이 더욱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종자번식에 대해서는 종자의 형태생리적 휴면, 휴면타파 등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STUDIES ON THE PHYSIOLOGY OF DEVELOPMENT IN CROPS. 4. STUDIES ON PHYTOPERIODICAL CONTROL FOR TUBER FORMATION IN SWEET POTATO

  • Kim, Yong-Choll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권1호
    • /
    • pp.35-42
    • /
    • 1959
  • 1. 발아시부터 단일, 암기저온 조건하에서는 괴근은 전연 형성되지 않고, 장일조건에서만 괴근이 형성됨. 따라서 장일조건이 고구마괴근 형성에 대한 유도조건 내지 촉진조건임을 알 수 있다. 2. 본실험은 시종 약전광(300W 전구 사용)으로 재배하였기 때문에 동화작용이나 생장이 특히 미약한 상태에서도 괴근이 유도되었다. 따라서 괴근형성에는 동화물질이나 생장보다도 장일조건이 직접적결요인을 이루는 1종자극을 성립하는 것으로 보인다. 3. 장기조건과 단일조건하의 근계가 서로 특이한 상태를 나타냈고 그것은 단일과 장일조건이 이룬 자극과 관계하는 것으로 보인다. 4. 고구마괴근이 장일조건에 유되되는 사실의 생태학적 의의를 고찰함.

  • PDF

삽목번식 시 가습과 차광 처리에 따른 '매향' 딸기의 생육 (Humidification and Shading Affect Growth and Development of Cutting Propagated 'Maehyang' Strawberry (Fragaria × ananassa Duch.) at Propagation Stage)

  • 강동일;정해경;박유경;위호;호강도;정병룡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29-437
    • /
    • 2019
  • 본 연구는 '매향' 딸기 런너의 삽목번식시 차광 및 가습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런너 삽수를 2017년 11월 23일에 삽목한 후 대조구(무가습+무차광, C), 무가습+흰색 한랭사 차광 55%(W55), 무가습+검은색 차광막 55%(B55), 무가습+멀칭비닐 차광 100%(B100), 가습+무차광(CH), 가습+흰색 한랭사 차광 55%(W55H), 가습+검은색 차광막 55%(B55H) 및 가습+멀칭비닐 차광 100%(B100H)를 처리하였다. 대조구(무가습+무차광, Control), 무가습+멀칭비닐 100% 차광(Shading), 가습+무차광(Fogging)의 처리를 두고 육묘하였다. 지상부의 생육은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전반적인 지하부의 생육에 있어 가습 처리가 무가습 처리에 비해 우수하였다. 삽목 26일 후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의 경우 가습+무차광 처리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삽목 26일 후 근장의 경우 가습+흰색 한랭사 차광 55% 처리구 및 가습+검은색 차광막 55%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딸기 '매향'의 삽목 번식시 가습 및 차광 유무에 따라 삽목묘의 형태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삽목번식 방법을 수행하는 다른 작물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of Iris dichotoma Pall. in endangered species

  • Bae, Kee-Hwa;Yoo, Kyoung-Hwa;Lee, Hak-Bong;Yoon, Eui-Soo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182-188
    • /
    • 2012
  • Iris dichotoma Pall. is an important endangered plant belonging to the family Iridaceae. A method was developed for the rapid micropropagation of I. dichotoma through plant regeneration from leaf, rhizome, and root explant-derived calli. Leaf, rhizome, and root segments were cultured o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 (2,4-D; $0-3.0mg{\cdot}L^{-1}$) for callus induction. Callus production was highest at $1.0mg{\cdot}L^{-1}$ 2,4-D, where 73.8% and 45.5% of cultured rhizome and root cuttings, respectively, produced calli. The viable calli were maintained at an induced concentration of 2,4-D ($3.0mg{\cdot}L^{-1}$). They were then transferred to MS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2,4-D ($0-3.0mg{\cdot}L^{-1}$) in combination with 6-benzyladenine (BA: 0, 1.0 and $3.0mg{\cdot}L^{-1}$) for adventitious shoot regeneration. The addition of a low concentration of 2,4-D into BA-containing medium significantly increased the frequency of shoot regeneration in leaf, rhizome, and root-derived calli. The highest number of adventitious shoots (26.4 per callus) formed at $0.5mg{\cdot}L^{-1}$ 2,4-D and 1.0 mg/l BA. For rooting of the shoots, half- strength MS medium supplemen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indole 3-butyric acid (IBA) $0-3.0mg{\cdot}L^{-1}$ was tested. The optimal results were observed using half-strength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0mg{\cdot}L^{-1}$ IBA, on which 98% of the regenerated shoots developed roots with an average of 3.5 roots per shoot within 45 days. The plantlets raised in vitro were acclimatized and transferred to soil with 95% success. This in vitro propagation protocol will be useful for conservation and mass propagation of this endangered plant.

주목삽수(揷穗)의 모수령(母樹齡) 및 아조형태(芽條形態)가 발근(發根)과 묘형(苗型)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Ortet Age and Types of Cuttings on Rooting, Cyclophysis and Topophysis of Rooted Cuttings in Taxus cuspidata S. et Z)

  • 구관효;이강영;윤기식;권영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4호
    • /
    • pp.359-366
    • /
    • 1990
  • 주목의 삽목증식(揷木增殖)에서 모수령(母樹齡) 및 삽수(揷穗) 채취(採取) 부위(部位) 아조(芽條) 형태(形態) 그리고 발근촉진제(發根促進劑) 처리(處理)에 따른 삽목묘(揷木苗)의 발근량(發根量)과 생장특성(生長特性)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Vermiculite와 마사(磨砂)를 1:1 (v/v)로 혼합(混合)하여 Plastic 용기(容器)($60cm{\times}55cm{\times}20cm$)에 채우고 삽수(揷穗) 100개(個)를 삽목(揷木)했으며 삽목(揷木) 당년(當年) 11월중(月中)에 발근율(發根率), 일차근수(一次根數), 뿌리 길이 아조장(芽條長)(Shoot length), 근원직경(根元直徑), 주축아조(主軸芽條)가 수평면(水平面)과 만드는 각도(角度)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삽수모수령(揷穗母樹齡)이 5, 10, 20년생(年生)으로 증가(增加)할수록 발근율(發根率)은 85.7%, 81.7%, 62.4%로 일차근수(一次根數)는 5.3개(個), 3.7개(個), 2.9개(個) 순(順)으로 감소(減少)하였으며 1%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2. 삽수채취부위(揷穗採取部位)의 아조(芽條) 형태(形態)에 따른 발근율(發根率)은 측아조(側芽條)가 정아조(頂芽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높은 유의성(有意性)이 있었다. 3. 발근(發根)은 IBA 처리구(處理區)가 평균발근율(發根發根率) 78.6%, 일차근수(一次根數) 4.7개(個)로서 무처리구(無處理區)의 74.6%와 3.3개(個)보다 증가(增加)하여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가 있었다. 4. 모수령(母樹齡)에 따른 사향성생장(斜向性生長)을 나타내는 삽목묘(揷木苗)의 주축아조(主軸芽條)가 만드는 각도(角度)는 모수령(母樹齡)이 5, 10, 20년생(年生)으로 증가(增加)하면 각각(各各) $75.9^{\circ}$, $68.5^{\circ}$, $59.6^{\circ}$로 감소(減少)하여 모수령(母樹齡)이 증가(增加)할 수록 심(甚)한 cyclophysis 현상(現象)을 나타내어 모수령간(母樹齡間)에 큰 차이(差異)를 보였다. 5. 삽수(揷穗) 채취부위(採取部位)의 아조(芽條) 형태(形態)에 따른 topophysis 현상(現象)을 나타내는 삽목(揷木)햄의 주축아조(主軸芽條)가 만드는 각도(角度)는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으며 정아조(頂芽條)의 평규각도(平均角度)가 $77.0^{\circ}$로서 상(上), 하(下) 부측아조(部側芽條)의 $65.1^{\circ}$, $61.7^{\circ}$ 보다 높게 나타나서 정아조(頂芽條)가 측아조(側芽條)보다 수직성(垂直性) 생장(生長)을 보였다. 6. 증식(增殖)된 삽목묘(揷木苗)의 주축아조장(主軸芽條長)도 정아조(頂芽條)가 측아조(側芽條)보다 길었으며 모수령(母樹齡)과 삽수(揷穗) 채취부위(採取部位)의 아조(芽條) 형태간(形態間) 아조장(芽條長)은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가 있었다. 7. 삽목(揷木)의 주축아조(主軸芽條)가 향(向)하는 각도(角度)와 발근율(發根率), 일차근수(一次根數), 뿌리길이, 근원직경간(根元直徑間)에 유의적(有意的)인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으나 아조장(芽條長)과는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지 않아 아조(芽條)의 초기생장(初期生長)이 topophysis 현상(現象)에 영향(影響)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향료자원 조성을 위한 순비기나무의 증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pagation of Vitex rotundifolia for Establishment of Natural Aromatic Resources)

  • 김계환;박종민
    • 임산에너지
    • /
    • 제23권1호
    • /
    • pp.26-37
    • /
    • 2004
  • 순비기나무를 향료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 가운데, 종자와 삽목을 이용한 증식방법에 대해 시험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종자번식에서 상온저장한 종실의 발아율이 67%로 가장 좋았다. 종실 1개당 발생한 묘목의 수는 1개 발아한 종실이 40.3%로 가장 많았고, 종실당 평균 묘목 수는 1.4개였다. 삽목번식의 경우 숙지삽목과 녹지삽목에서 모두 콤포스트+모래삽상토, IBA 2500ppm에서 삽수의 발근율이 96.7%로 가장 좋았다. 전반적으로 순비기나무의 삽목번식 조건으로는 2500ppm 이상의 고농도에서 짧은 시간동안 침지한 것이 200ppm 이하의 저농도에서 장시간 침지한 것보다 좋으며, 삽상토양으로는 모래와 콤포스트를 혼합한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녹지삽목이 숙지삽목보다 10% 정도 발근이 양호하였다.

  • PDF

쥐똥나무를 이용한 생물공학적 비탈면 녹화공법의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Slope Revegetation Technology of Biological Engineering Using the Ligustrum obtusifolium)

  • 김혜주;강효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47-53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the slope revegetation technology of biological engineering using the Ligustrum obtusifolium, which is one of the pioneer plant species. Ahead of the experimental construction, we evaluated the L. obtusifolium's value of biological engineering for the slope stabilization by testing the growth rate after the cuttings were buried for 8 weeks('98. 7. ~ '98. 9.). In this test, it was found that the L. obtusifolium, one of the species deep rooted with developed underground parts, is very effective for the slope stabilization and that the rooting powder(Hormex Powder) gave the better effects on root germination. In April of 1999, the experimental construction of biological engineering technology using recycled L. obtusifolium live cuttings(applied growth-stimulating compound) and green bags was conducted at sandy cut-slope in GLEN ROSS G.C.(Yongin). The slope was tolerant of soil erosion despite of heavy rainfall in the rainy season and many plant species invading for five months('99. 4. ~ '99. 9.). The vegetation research was performed through examining the frequency of each block using the transect method. 21 kinds of plant speices appeared in total area($25.5m^2$) and the dominant species are Digitaria sanguinalis, Setaria viridis, Cyperus amuricus, Persicaria blumei,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With regard to life forms, therophytes were shown with a dominant distribution of 66.7% of total species and neophytes relatively with a low distribution of 19.0%. Furthermore, it can be estimated that there is no ecological stabilization of this slope with the result of the ruderal species' occupation of 71.4%. It is too early to argue about ecological mechanical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is technology, but,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slope revegetation technology of biological engineering using L. obtusifolium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sandy slope(not rock or weathered rock slope) and that the early rapid stabilization and favorable succession could be done with the improvement of soil condition.

  • PDF

옻나무 근삽시 BA 처리방법과 삽식법의 효과 (Effects of BA Treatment and Cut Planting in Root Cuttings of Lacquer Tree (Rhus verniciflua Stokes))

  • 두홍수;권태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3-49
    • /
    • 2002
  • 옻나무의 묘목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근삽에 있어서 BA의 처리방법과 삽식법을 공시하였다. 삽식 당일에 삽수를 1,000 mg/L BA 용액에 1분간 침지처리가 적하법보다 초기에 신초의 발생율은 낮았으나 5주 이후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여 10주 후에 는 약 85%로 가장 높았으며, 적하법에서는 BA의 처리 간격이 신초의 발생에 큰 영향이 없었다. 2일 간격으로 100 ${\mu}\ell$의 BA를 적하한 삽수에서 수장이 가장 컸으며 엽수도 많았고, 다음으로 침지처리가 묘소질에 효과적이었다. 분지의 발생은 침지처리구 보다는 적하처리구의 유묘가 삽수와 가까운 지점에서 발생하였다. 평삽이 사삽과 직삽에 비하여 신초의 발생이 약 1주일 빨랐고 신초의 발생도 3주 이후부터 6주까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삽식 10주 후의 신초발생율은 약 96%로 가장 높았다. 평삽구의 묘가 약 40cm로써 가장 컸으며 평삽구의 묘가 약 40cm로써 가장 컸으며 제 1분지의 발생부위도 낮은 경향이었다. 평삽의 경우 각각 다른 부분에서 발생하는 2~3개의 신초를 각각 분리하여 하나의 묘목으로 생육시킴으로써 묘목의 대량증식에 효과적이었다.

붕소와 IBA의 농도, 침지시간 및 혼용처리가 때죽나무(Styrax japonicus) 반숙지 삽수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centration, Dipping Time and Combined Treatment of Boron and IBA on Rooting of Semi-hardwood Cuttings of Styrax japonica)

  • 박노복;권영휴
    • 화훼연구
    • /
    • 제16권1호
    • /
    • pp.71-75
    • /
    • 2008
  • 때죽나무의 발근 향상을 위한 IBA와 붕소의 적정농도, 침지시간, 그리고 붕소와 IBA의 혼용처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때죽나무 반숙지삽수의 발근율과 발근수는 IBA $7,000mg{\cdot}L^{-1}$ 순간침지, IBA $100mg{\cdot}L^{-1}$+boron $20mg{\cdot}L^{-1}$과 IBA $100mg{\cdot}L^{-1}$+boron $60mg{\cdot}L^{-1}$ 혼용처리에서 향상되었으며 발근율, 발근수 그리고 생체중은 IBA단일처리보다 붕소와 IBA의 혼용처리에서 높았다. IBA 단일처리에서 적정 농도는 $100mg{\cdot}L^{-1}$$200mg{\cdot}L^{-1}$ 사이였으며, 적정 침지시간은 3시간 이었다. 이에 저농도의 IBA와 붕소의 혼용처리는 IBA $7,000mg{\cdot}L^{-1}$의 고농도처리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