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oot bark

검색결과 275건 처리시간 0.029초

느릅나무 근피의 화학조성분 및 항균성 물질(I) : 화학조성분 및 추출성분의 항균성 (Chemical Analysis and Isolation of Antibacterial Compound from Ulmus species(I) : Chemical Analysis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Extractives)

  • 김창순;이중명;최장옥;박성배;엄태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66-73
    • /
    • 2002
  • 느릅나무 근피와 점액질의 화학 조성을 분석하였고, 근피의 MeOH추출물을 각종 유기용제 및 수층으로 분획하고 각 분획물의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원소조성은 수종간의 차이는 없었지만, 목부의 질소 및 리그닌 함량은 사부보다 높았으며 회분 및 추출물양은 목부보다 사부가 높게 나타났다. 근피의 점액질은 냉수에 의해 매우 느리게 용출 되었으며, 높은 산성당 함량을 갖는 pectin 유사 물질이었다. 느릅나무 근피로부터 약 7% 정도의 메탄올 추출물이 얻어졌고 이 중 78%가 수용성 물질이었으며 Staphylococcus aureus와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하여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상백피에 의한 MC/9 비만세포의 활성 억제 조절 연구 (Suppressive effects of Morus alba Linne Root Bark (MRAL) on activation of MC/9 mast cells)

  • 이기전;김복규;길기정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3-42
    • /
    • 2013
  • Objective : Morus alba Linne Root Bark (MRAL) is a medicinal herb in Korean Medicine, known for its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properties. However, its mechanisms of action and the cellular targets have not yet been found and the study was developed to investigate the allergic suppressive effect of MR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llergic suppressive effects of MRAL on activation of MC/9 mast cells. Methods : Cytotoxic activity of MRAL (50, 100, 200, 400 ${\mu}g/mL$) on MC/9 mast cells measured using EZ-Cytox cell viability assay kit (WST reagent). The levels of interleukin-5 (IL-5), IL-13 and IL-4, IL-5, IL-6, IL-13 mRNA expression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nd real-time PCR respectively. The expression of transcription factors such as GATA-1, GATA-2, NFAT, AP-1 and NF-${\kappa}B$ p65 DNA binding activity were measured by western blot and electrophoresis mobility shift assay (EMSA). Results : Our results indicated that MRAL (50 ${\mu}g/mL$, 100 ${\mu}g/mL$) significantly inhibited PMA/Ionomycin-induced production of IL-5 and IL-13 and the expression of IL-4, IL-5, IL-6 and IL-13 mRNA in MC/9 mast cells. Moreover, MRAL (50 ${\mu}g/mL$, 100 ${\mu}g/mL$) inhibited PMA/Ionomycin-induced GATA-1, GATA-2, NFAT-1, NFAT-2, c-Fos protein expression and NF-${\kappa}B$ p65 DNA binding activity in MC/9 mast cells. Conclusions : In conclusion, we suspect the anti-allergenic activities of MRAL, may be related to the regulation of transcription factors GATA-1, GATA-2, NFAT-1, NFAT-2, c-Fos and NF-${\kappa}B$ p65 DNA binding assay causing inhibition of Th2 cytokines IL-5 and IL-13 in mast cells.

Carbon Storage in Aboveground, Root, and Soil of Pinus densiflora Stand in Six Different Sites, Korea

  • Park, Gwan-Soo;Choi, Jaeyong;Lee, Kyung-Hak;Son, Young-Mo;Kim, Rae-Hyun;Lee, Hang-Goo;Lee, Sang-Jin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
    • /
    • 2009
  • Due to the increase of carbon dioxide in the atmosphere and global warming, the importance of forest ecosystems, as a place of carbon accumulation and emission, has received a great amount of recognition latel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help understand and provide the current status of carbon cycle in the pinus densiflora stand, Korea. Th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verage 35-years-old Pinus densifiora rands in Gongju, Youngdong, Chungsan, Muju, Mupung, and Jangsu regions. Total thirty aboveground sample trees were cut, and ten roots were sampled, and soil samples were collected. Average carbon concentrations in foliage, branch, stem bark, stem wood, and root were 55.7%, 56.0%, 56.0%, 57.3%, and 56.5%, respectively. Carbon content was estimated by the model $Wt=aD^b$ where Wt is oven-dry weight in kg and D is DBH in cm. Total carbon content (aboveground and root) was 42.39tonC/ha in the Pinus densiflora stand. The proportion of each tree component to total carbon content was high in order of stemwood, root, branch, stem bark, and foliage. Total net primary production (aboveground and root) was estimated at 6.51tonC/ha/yr in Pinus densiflora stand. The proportion of each tree component to total net primary carbon content was high in order of sternwood, root, branch, foliage and stembark. Soil carbon contents in the study sites was 43.51tonC/ha at 0-50cm soil depth.

꾸지뽕나무 메탄올 추출물의 세포독성 (Cytotoxic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 최소라;유동현;장익;안민실;송은주;서상영;최민경;김영선;김명곤;최동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53-158
    • /
    • 2012
  • In order to develop as a natural source of anticancer materials of Cudrania tricuspidata, the cytotoxicity of methanol extracts by harvesting parts and times against 8 cell lines including 293 (normal kidney cells) and A-431 (epidermoid carcinoma cells) were investigated using MTT assay. All harvesting parts had hardly cytotoxicity against 293. And methanol extracts of stem bark and root bark showed very high cytotoxicities against 7 cancer cell lines. The cytotoxicity was the highest against HeLa (cervix adenocarcinoma cells) and followed by MCF-7 (breast adenocarcinoma cells), AGS (stomach adenocarcinoma cells), HT-29 (colon adenocarcinoma cells), HepG2 (hepatoblastoma cells), A549 (lung carcinoma cells) and A-431. By the way, leaf extract had a cytotoxicity against only AGS and ripe fruit extract had no cytotoxicity. Among harvesting times, the cytotoxicity of root bark were high from April to September but that of stem bark showed a little difference. These results showed that anticancer activities of Cudrania tricuspidata extracts were eventful changes by harvesting parts and times.

[${\gamma}-Mangostin$ and Rubraxanthone, Two Potential Lead Compounds for Anti-cancer Activity against CEM-SS Cell Line

  • Ee, G.C.L.;Izzaddin, S.A.;Rahmani, M.;Sukari, M.A.;Lee, H.L.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2권3호
    • /
    • pp.138-143
    • /
    • 2006
  • Our continuing interest on Garcinia and Mesua species has led us to carry out a detail study on the chemistry of the root bark of Garcinia mangostana (Guttiferae) since this part of the plant has not been investigated before, and the strm bark of Mesua corneri (Guttiferae) an uninvestigated species. This study has yielded six xanthones, ${\alpha}-mangostin$ (1), ${\beta}-mangostin$ (2), ${\gamma}-mangostin$ (3), garcinone-D (4), mangostanol (5) and gartanin (6) from Garcinia mangostana and two xanthones rubraxanthone (7) and inophyllin B (8) from Mesua corneri. Structural elucidations were achieved using $^1H,\;^{13}C$ NMR and MS data. The crude hexane and chloroform extracts of the root bark of Garcinia mangostana and the hexane extract of the stem bark of Mesua corneri were found to be active against CEM-SS cell lines with $IC_{50}$ values less than $30\;{mu}g/ml$. Moreover, ${\gamma}-mangostin$ gave a very low $LC_{50}$ value of $4.7\;{mu}g/ml$ while rubraxanthone gave an $LC_{50}$ value of $5.0\;{mu}g/ml$ indicating these two compounds to be potential lead compounds for anti-cancer activity against the CEM-SS cell line. This paper reports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se compounds as well as bioassay data for the crude extracts, ${\gamma}-mangostin$ and rubraxanthone.

주목 세포배양에 의한 Taxoll 생산 1.주목 부위 및 서식 고도별 Taxol 함량 및 세포주 유도에 관한 연구 (Taxol Production in Taxus sap. Cell Cultures 1. Studies on Taxol Content in Yew Trees and Cultured Plant Cells)

  • 강인선;전정욱
    • KSBB Journal
    • /
    • 제9권3호
    • /
    • pp.299-305
    • /
    • 1994
  • 15년생 주목의 부위별 단위 질량당 taxal 함량은 줄기수피, 뿌리수피, 잎 그리고 종자의 순으로 높았 고, 종자에서는 종피 (seed caa t), 배 (embrya) 그리 고 배유(endasperm)의 순으로 taxal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다. 15년생 주목 1그루로부터 이론적으로 얻을 수 있는 taxal의 양은 1.68g이었는데 잎, 줄기 수피, 뿌리수피, 종자로부터 각각 48.0, 23.8, 27.9 빛 0.4%씩 얻을 수 있었다. 주목의 taxal 함량은 서식 고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해발 1000m 이상 의 높은 고도에서 서식하는 주목의 taxal 함량이 낮은 고도(600-800m)에서 서식하는 주목보다 높았다. 주목 세포배양 결과 callus 및 현탁배양 세포에 셔 taxal이 검출되었으며 함량은 서l포의 상태 및 주 목의 종류에 따라 서로 차이가 있었다. 이라한 결과로 주목 세포배양에 의한 taxal 생산의 가능성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PDF

Root bark extract of Cudrania tricuspidata reduces LPS-induced inflammation in macrophages of atherogenic mice

  • Lee, Mi-R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115-123
    • /
    • 2020
  • 동맥경화증은 동맥 내피세포의 손상으로 인해 내막층에 지질이 축적되어 발생 되는 염증성 질환으로 동맥 내막에 침윤되는 백혈구와 백혈구에서 분비되는 전염증성 싸이토카인에 의해 죽종형성이 시작된다. 꾸지뽕은 뽕나무과의 작은 나무로 그 추출물은 항염증, 항산화, 항암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동맥경화증에서 효능은 명확하게 연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동맥경화증의 초기 진행에서 꾸지뽕의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고자 꾸지뽕 뿌리의 추출물을 수득하였고, 동맥경화증의 동물 모델인 ApoE 결손 생쥐에서 복강대식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복강대식세포에 LPS로 염증반응을 유발하고 꾸지뽕 뿌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100㎍/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 생존율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아 이 농도를 추가 실험을 위한 유효 농도로 설정하였다. 또한, LPS에 의해 증가한 염증 싸이토카인(MCP-1, IL-1β, IFN-γ, TNF-α, IL-6)의 발현이 꾸지뽕 뿌리 추출물에 의해 감소하였다. 따라서, 꾸지뽕 뿌리 추출물은 동맥경화의 잠재적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대식세포에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어 동맥경화증의 치료제 개발에 이용 가능할 것이다.

당느릅나무로부터 Sesquiterpene o-Naphthoquinone류 화합물, Mansonone E, F 및 H의 분리와 구조결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esquiterpene o-Naphthoquinones, Mansonones E, F and H, from the Root Bark of Ulmus davidiana Planch)

  • 김종평;김원곤;;박종희;정진;유익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1호
    • /
    • pp.89-94
    • /
    • 1996
  • 한방에서 종기, 치질, 위암 및 염증의 치료목적으로 사용되어온 당느릅나무 (Ulmus davidiana Planch) 근피의 메탄을 추출물로부터 sesquiterpene o-naphthoquinone류 화합물 세가지를 분리 정제하였다. 이들의 구조를 UV-vis, IR, EIMS, HR-EIMS 및 여러 가지 NMR 스펙트럼, 특히 새로운 기법인 pulse field gradient (PFG)-HMQC 및 HMBC 스펙트럼의 분석에 의하여 결정하였다. 그 결과 이들은 2,3-dihydro-3,6,9-trimethylnaphtho(1,8-b,c)pyran-7,8-dione, 3,6,9-trimethylnaphtho(1,8-b,c)pyran-7,8-dione 및 2,3-dihydro-4-hydroxy-3,6,9-trimethylnaphtho(1,8-b,c)pyran-7,8-dione으로 동정 되었으며, 각각 mansonone E, F 및 H로 밝혀졌다. 이 화합물들은 당느릅나무에서는 처음 분리되었으며, 특히 mansonone H는 아프리카 열대식물인 Mansonia altissima Chev 및 Helicters angustifolia에서 분리된 후 자연계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문헌에 잘못 보고된 mansonone E 와 F의 C-3a, C-6a 및 C-9b의 세 사급탄소의 chemical shift를 최신 PFG-NMR기법에 의하여 동정하여 교정하였다.

  • PDF

LG-HMC의 미세먼지 유발 염증의 완화와 생체이물대사완화 효과 (Effect of LG Herbal Medicine Complex (LG-HMC) on Diesel Particulate Matter (DPM) Induced Skin Inflammation and Xenobiotic Response Activity In Vitro)

  • 신재영;김윤선;안영제;강내규;이상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81-88
    • /
    • 2020
  • Diesel particulate matter (DPM)은 피부각질세포에서 염증을 일으킨다. 또 aryl hydrocarbon receptor (AhR)을 통한 xenobiotic response element (XRE) promoter activity에 영향을 주어 cytochromeP (CYP) family의 발현을 촉진시킨다. 이 연구에서는 LG-HMC의 미세먼지 유발 피부 염증완화 및 XRE 발현 조절기능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HaCaT에서 DPM이 XRE promoter를 과활성화 시켜주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LG-HMC가 완화 시켜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원료 중, 상백피추출물, 황금추출물이 XRE promoter의 과활성화 억제에 관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 HaCaT에서 DPM에 의해 발현이 증가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대해 LG-HMC 및 상백피추출물, 황금추출물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줄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상백피추출물과 황금추출물이 DPPH 라디컬을 효과적으로 줄여줌으로써 미세먼지에 의한 라디컬 손상도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소재임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LG-HMC가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염증완화와 피부방어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고, LG-HMC를 구성하는 상백피추출물과 황금추출물이 미세먼지에 의한 손상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백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 of the Mulberry (Morus alba L.) Root Bark Extracts)

  • 지선옥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5-151
    • /
    • 2009
  • 본 연구는 상백피 추출물의 화장품 약리활성인 항산화 활성과 미백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열수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을 사용하여 전자공여능, ABTS,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nitric oxide radical 소거능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상백피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측정결과 $1,000\;{\mu}g/ml$에서 열수추출물은 65.8%, 에탄올추출물은 87%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보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1,000\;{\mu}g/ml$에서 열수추출물은 89.3%, 에탄올추출물은 77.1%로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Xanthine oxide 저해활성은 $1,000\;{\mu}g/ml$에서 열수추출물은 100%, 에탄올추출물은 96.2%를 보여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NO 소거능은 $500\;{\mu}g/ml$에서 열수추출물은 43.5%, 에탄올추출물은 53%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같은 농도에서 대조구인 BHA의 43.8%와 유사하였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1,000\;{\mu}g/ml$에서 열수추출물은 79.6%, 에탄올추출물은 93.5%로 나타나 대조구인 비타민 C와 유사한 활성을 보여 미백효과가 우수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활성정도가 시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ABTS 저해활성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실험에서 에탄올추출물이 열수추출물에 비해 다소 높은 활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