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obot soccer

Search Result 92,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Multi-Agent Reinforcement Learning Model based on Fuzzy Inference (퍼지 추론 기반의 멀티에이전트 강화학습 모델)

  • Lee, Bong-Keun;Chung, Jae-Du;Ryu, Keun-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0
    • /
    • pp.51-58
    • /
    • 2009
  • Reinforcement learning is a sub area of machine learning concerned with how an agent ought to take actions in an environment so as to maximize some notion of long-term reward. In the case of multi-agent, especially, which state space and action space gets very enormous in compared to single agent, so it needs to take most effective measure available select the action strategy for effective reinforcement learning. This paper proposes a multi-agent reinforcement learning model based on fuzzy inference system in order to improve learning collect speed and select an effective action in multi-agent. This paper verifies an effective action select strategy through evaluation tests based on Robocup Keepaway which is one of useful test-beds for multi-agent. Our proposed model can apply to evaluate efficiency of the various intelligent multi-agents and also can apply to strategy and tactics of robot soccer system.

Reinforcement Learning based Dynamic Positioning of Robot Soccer Agents (강화학습에 기초한 로봇 축구 에이전트의 동적 위치 결정)

  • 권기덕;김인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55-57
    • /
    • 2001
  • 강화학습은 한 에이전트가 자신이 놓여진 환경으로부터의 보상을 최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행동 전략을 학습하는 것이다. 따라서 강화학습은 입력(상태)과 출력(행동)의 쌍으로 명확한 훈련 예들이 제공되는 교사 학습과는 다르다. 특히 Q-학습과 같은 비 모델 기반(model-free)의 강화학습은 사전에 환경에 대한 별다른 모델을 설정하거나 학습할 필요가 없으며 다양한 상태와 행동들을 충분히 자주 경험할 수만 있으면 최적의 행동전략에 도달할 수 있어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응용분야에서 Q-학습과 같은 강화학습이 겪는 최대의 문제는 큰 상태 공간을 갖는 문제의 경우에는 적절한 시간 내에 각 상태와 행동들에 대한 최적의 Q값에 수렴할 수 없어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런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로봇 축구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각 선수 에이전트의 동적 위치 결정을 위해 효과적인 새로운 Q-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원래 문제의 상태공간을 몇 개의 작은 모듈들로 나누고 이들의 개별적인 Q-학습 결과를 단순히 결합하는 종래의 모듈화 Q-학습(Modular Q-Learning)을 개선하여, 보상에 끼친 각 모듈의 기여도에 따라 모듈들의 학습결과를 적응적으로 결합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적응적 중재에 기초한 모듈화 Q-학습법(Adaptive Mediation based Modular Q-Learning, AMMQL)은 종래의 모듈화 Q-학습법의 장점과 마찬가지로 큰 상태공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다 동적인 환경변화에 유연하게 적응하여 새로운 행동 전략을 학습할 수 있다는 장점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AMMQL 학습법은 로봇축구와 같이 끊임없이 실시간적으로 변화가 일어나는 다중 에이전트 환경에서 특히 높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AMMQL 학습방법의 개념을 소개하고, 로봇축구 에이전트의 동적 위치 결정을 위한 학습에 어떻게 이 학습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지 세부 설계를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