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sk prevention system

검색결과 643건 처리시간 0.024초

AI와 AR기반의 스마트 해상교통안전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mart Maritime Traffic Safety Monitoring System Based on AI & AR)

  • 김원욱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42-648
    • /
    • 2019
  • 선박은 충돌방지를 위해 해상충돌예방규칙에 의해 운항한다. 하지만 다수의 선박이 동시에 운항하는 특수상황 시에는 해상충돌예방규칙을 적용하기 곤란하며 이때는 운항자의 개인능력에 의한다. 이러한 경우 해상교통관제를 통한 교통상황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전 세계적으로 VTS(Vessel Traffic Services)를 통해 해상교통이 관리되고 있으며 운용 방법은 관제요원이 VTS 시스템을 이용하여 위험상황을 판단하고 통신시설을 이용하여 선박들에게 안전운항을 권고한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방법에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법을 추가하여 운항자의 관점에서 위험상황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고찰한다. 또한, 관제 효율성 증대를 위해 AR(Augmented Reality)기법을 추가한 해상교통안전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시스템은 위험상황 및 위험 우선순위 예측이 정량적으로 가능하여 복잡한 교통상황시 실제 운항자가 충돌회피하는 방법과 동일한 순차적 위험상황 해소가 가능하다. 특히, 위험상황을 관제요원의 관점뿐만 아니라 각 선박의 운항자의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어 기존의 방법보다 실제적이다. 또한, 분석결과를 통해 정량적인 위험수역 파악이 가능하여 충돌회피를 위한 권고항로 지원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이 시스템은 해상교통상황이 복잡한 해역에서의 선박간 충돌방지에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해양분야 제4차 산업혁명에 주요한 분야를 차지하는 자율운항선박에 충돌방지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해상 부이 보호 및 선박 사고 예방을 위한 트레일 카메라-AIS 연계형 능동감시 및 접근경보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Active Monitoring and Approach Alarm System for Marine Buoy Protection and Ship Accident Prevention based on Trail Cameras and AIS)

  • 황훈규;김배성;김헌우;강용수;김대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1021-1029
    • /
    • 2018
  • 해상 부이는 항로 및 위험물 표지, 기상 및 해양 환경 모니터링, 군사 전략 요소 등 다양한 목적으로 운용되는 설비이다. 이러한 해상 부이가 선박 충돌 등으로 인해 손상되면 해양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복구 및 교체 작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표류 시 2차 사고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해상 부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트레일 카메라 및 AIS를 활용한 능동감시 및 접근경보 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이러한 시스템의 개발을 위하여 기존 국내외 연구 및 유사 시스템 개발 사례를 분석한 후, 개선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시스템을 설계한다. 설계 시 주안점을 둔 내용으로는 AIS와 트레일 카메라 연계형 능동 감시, 선박 접근에 대한 단계별 경보, 육상과 부이의 거리에 따른 선택적 통신매체 적용, 영상 처리를 통한 선박 식별 및 경보 제공, 열화상 카메라의 적용 등 크게 다섯 가지가 있다. 또한, 설계된 내용을 바탕으로 시스템을 개발하고, 실험실 혹은 필드 수준의 테스트를 통해 개발한 시스템의 유용성을 검증한다.

딥러닝 기반의 보행자 탐지 및 경보 시스템 연구 (A Study on Deep Learning-based Pedestrian Detection and Alarm System)

  • 김정환;신용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8-70
    • /
    • 2019
  • 보행자 교통사고의 경우 사고 발생 시 사망사고로 연결되는 위험성이 있다. 국내 지능형 교통시스템(ITS)은 질 좋은 교통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교통정보 수집에만 이용되고 있어, 위험상황 발생 시 지능적인 위험 요소 분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인 CNN 기반의 보행자 탐지 분류 모델의 경우 제한적인 환경에서 설치 운영되는 것을 가정하여 임베디드 시스템 기반으로 구현되었다. 기존 YOLO의 인공신경망 모델을 개선하여 My-Tiny-Model3라는 새로운 모델을 생성하였고, 20,000번의 반복 학습 기준으로 평균 정확도 86.29%와 21.1 fps의 실시간 탐지 속도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이러한 탐지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ITS 체계와 연계 가능한 시스템 구현 및 프로토콜 연동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ITS 체계와 연동하는 보행자 사고 방지 시스템을 구현한다면, 새로운 인프라 구축비용을 절감하고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률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기존의 시스템 감시인력 소요에 따른 비용 또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소형 선박을 위한 음성합성 기반 자동 안전항해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Automatic Safety Navigation Support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Medium and Small Ships based on Speech Synthesis)

  • 황훈규;김배성;우윤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595-602
    • /
    • 2021
  • 우리나라의 경우, 중소형선박에 의한 해양사고의 발생 비중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으며, 통계에 따르면 각종 안전지원 장비의 탑재 의무화에도 불구하고 크게 감소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형선박에 비해 상대적으로 탑재 장비가 적은 중소형 선박을 위한 음성합성 기반 자동 안전항해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시스템의 주목적은 주변 선박들에게 VHF 무전기를 통해 합성된 음성 안전 메시지를 자동으로 제공하여 해양사고를 예방하는 것이다. 안전항해 지원 서비스는 GPS 및 AIS를 연계하여 음성 안전 지원 메시지를 합성하고, VHF를 통하여 자동으로 방송해주는 형태로 동작된다. 따라서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이터 처리 모듈, 단계별 위험도 분석 모듈, 음성합성 안전 메시지 생성 모듈, VHF 방송장비 제어 모듈 등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한 시스템을 활용하여 실험실 수준의 테스트와 해상 실증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서비스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An On-site and Off-site Collaborative Safety Monitoring Framework using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for Nearmiss Incidents

  • Thai-Hoa LE;Jacob J. LI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909-916
    • /
    • 2024
  • The emergence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reality data,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 has significantly enhanced the collaboration between stakeholders in construction management. The utilization of VR/AR devices holds considerable potential for monitoring safety in complex and constrained working environments on the construction site. On the other hand, near-miss incidents remain an important early sign of struck-by accidents. However, research on early warning and prevention methods for this risk is still limited. This paper, therefore, presents a framework for on-site and off-site collaborative safety monitoring framework using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for near-miss incidents. In the proposed framework, three phases to develop a VR/AR-based safety monitoring system include (1) construction safety simulation environment, (2) localization-based interaction system, and (3) safety monitoring system. The system can undertake the processing of data and enables communication among disparate VR/AR devices. VR clients are observational tools and offer guidance, while the AR client stays onsite for construction tasks. All clients connect to a processing computer, which also works as a host. The system embedded in the AR device can trigger an alarm or receive signals from the VR client when a near-miss issue happens. Additionally, all device clients possess the capability to share data acquired from onsite monitoring cameras, thereby fostering effective discussions and decision-making. The efficacy of this cross-platform system has been validat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an outdoor coordination case study.

공항 보안검색에 있어서의 위험관리와 대응과제 (Risk Management and Strategies in Airport Security Check)

  • 김재운
    • 시큐리티연구
    • /
    • 제34호
    • /
    • pp.89-113
    • /
    • 2013
  • 국제화된 현대사회에서 공항을 이용한 비행기 여행은 우리의 생활에 친숙하지만 언제 테러리스트들의 목표물이 되어 우리의 안전을 위협할지 모른다. 9.11테러사건으로 대변되는 항공 테러리즘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상상을 초월한 공포를 안겨주고 있다. 1931년 페루에서 세계 최초의 항공기 납치사건이 발생한 이래 세계 각국의 보안당국은 항공 테러리즘을 차단하기 위해 다양한 예방조치를 취해왔다. 항공 테러를 예방할 수 있는 가장 현실성 있는 조치는 항공기 탑승객들의 신체와 화물을 검색하여 폭발물 등 위해물품이 있는 지를 적발함으로써 테러리스트의 접근을 통제하는 보안검색활동일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보안검색활동은 9.11체제 이후 테러의 위험에 따른 공공성을 더욱 강화한 선진 각국의 보안검색활동과 달리 공항운영의 효율성을 기하기 위해 민간경비 중심의 보안검색활동으로 전환하였다. 즉 2001년 3월 인천공항이 개항된 이후 경찰중심의 보안검색 체제가 공항운영자인 공항공사가 보안검색 업무를 지도 감독하며, 현실적인 보안검색활동은 민간경비요원이 담당하게 하도록 변경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검색체제는 민간경비요원의 직무만족도 저하와 감독체계의 혼선으로 말미암아 갈수록 조직화되고 지능화되고 있는 테러리스트들의 테러활동을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민간기업의 경영관리전략 중의 하나인 위험관리 기법을 보안검색활동에 도입하여 정기적으로 항공테러의 위험요소를 확인 분석하고, 우선순위 설정, 위험감소활동, 보안성 평가의 각 과정을 거침으로써 테러활동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테러의 위협이 심각한 경우 경찰관을 검색대에 배치하는 등 테러위협의 정도에 따라 보안검색의 수준을 적절히 변경하는 등의 노력도 필요하다. 한편 현장의 보안검색활동과 감독기능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서 항공보안검색을 전담할 국가경찰기구를 설립하여 항공보안업무의 체계화와 전문화를 도모한다면 항공테러라는 거대위험의 두려움을 감소시켜 비행기 여행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linicopathologic Profile of Breast Cancer Patients in Pakistan: Ten Years Data of a Local Cancer Hospital

  • Khokher, Samina;Qureshi, Muhammad Usman;Riaz, Masooma;Akhtar, Naseem;Saleem, Afaf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2호
    • /
    • pp.693-698
    • /
    • 2012
  • Breast cancer is the most frequent cancer of women worldwide, with considerable geographic and racial/ethnic variation. Data are generally derived from population based cancer registries in the developed countries but hospital data are the most reliable source in the developing countries. Ten years data from 1st Jan 2000 to 31st Dec 2009 of a cancer hospital in Pakistan were h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 profile of local breast cancer patients. Among 28,740 cancer patients, 6,718 were registered as breast cancer. The female to male ratio was 100:2. Breast cancer accounted for 23% of all and 41% of female cancers. Some 46% were residents of Lahore, with a mean age of $47{\pm}12$ years. Less than 1% were at Stage 0 and 10%, 32%, 35% and 23% were at Stage I, II, III and IV respectively. Histopathology was unknown in 4% while 91%, 2% and 1% had invasive ductal carcinoma (IDC), invasive lobular carcinoma (ILC) and mucinous carcinoma respectively. Rare carcinomas accounted for the rest. Tumor grade 1, 2 and 3 was 11%, 55% and 34% among the known. Profile of breast cancer patients in Pakistan follows a pattern similar to that of other developing countries with earlier peak age and advanced disease stage at presentation. The male breast cancer accounts for higher proportion in the local population. Local women have higher frequency of IDC and lower frequency of ILC and DCIS, owing probably to a different risk profile. Use of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and establishment of population based cancer registry is required to have accurate and detailed local data. Promotion of breast health awareness and better health care system is required to decrease the burden of advanced disease.

Comparison of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llowed by Adjuvant Chemotherapy Versus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Alone in Locoregion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a Meta-analysis of 793 Patients from 5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Liang, Zhong-Guo;Zhu, Xiao-Dong;Zhou, Zhi-Rui;Qu, Song;Du, You-Qin;Jiang, Yan-M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1호
    • /
    • pp.5747-5752
    • /
    • 2012
  • Purpose: The main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toxicity of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llowed by adjuvant chemotherapy compar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alone in the treatment of locoregion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Methods: The search strategy included Pubmed, Embase, the Cochrane Library, China National Knowledge Internet Web, Chinese Biomedical Database and Wanfang Database. We also searched reference lists of articles and the volumes of abstracts of scientific meeting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that compared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llowed by adjuvant chemotherapy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alone in locoregion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were included. Meta-analysis was performed with RevMan 5.1.0. The Grading of Recommendations Assessm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 system (GRADE) was used to rate the level of evidence. Results: Five studies were included. Risk ratios of 1.02 (95%CI 0.89-1.15), 0.93 (95%CI 0.72-1.21), 1.07 (95%CI 0.87-1.32), 0.95 (95%CI 0.80-1.13) were observed for 3 years overall survival, 5 years failure-free survival, 5 years locoregional failure-free survival and 5 years distant metastasis failure-free survival. There were no treatment-related deaths in both groups of five studies. Hematologic and gastrointestinal toxicity were the most significant for patients during adjuvant chemotherapy. The level of evidence was low. Conclusion: Compar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alone, concurrent chemotherapy followed by adjuvant chemotherapy did not improve prognosis. More toxicity was found during adjuvant chemotherapy.

ABO Blood Groups are Not Associated with Treatment Response and Prognosis in Patients with Local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Unal, Dilek;Eroglu, Celalettin;Kurtul, Neslihan;Oguz, Arzu;Tasdemir, Arzu;Kaplan, Bunyam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6호
    • /
    • pp.3945-3948
    • /
    • 2013
  • Background: Lung cancer is the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late diagnosis being the main obstacle to improving the outcomes with stage at diagnosis as an important prognostic factor. Relationships between ABO blood groups and risk of benign or malignant diseases have been observed and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y might affect prognosis and response to chemo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local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Materials and Methods: Eighty-one patients with non-metastatic local advanced NSCLC were included in the study. ABO blood groups were A in 45 (55.6%), B in 7 (8.6%), AB in 8 (9.9%), and O in 21 (25.9%) patients. The patients were also divided two groups according to blood group A (45 patients) and non-A (B, AB and O; 36 patients). Response to chemoradiotherapy was complete remission in 10 (12.3%), disease regression in 42 (51.9%), stable disease in 12 (14.8%), and disease progression in 17 (21.0%) patient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BO blood group categories or between patients with A blood group and those with non-A blood group in terms of responses to chemoradiotherapy (p>0.05).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overall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Conclusion: The ABO blood group system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prognosis and response to chemo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non-metastatic NSCLC.

Acute Toxicity in Nasopharyngeal Carcinoma Patients Treated with IMRT/VMAT

  • Ozdemir, Sevim;Akin, Mustafa;Coban, Yasin;Yildirim, Cumhur;Uzel, Ome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5호
    • /
    • pp.1897-1900
    • /
    • 2015
  • Purpose: To evaluate acute toxicity in nasopharyngeal cancer (NPC) patients treated with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IMRT)/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VMAT) with or without cisplatin-based chem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5 newly diagnosed, histologically proven non-metastatic NPC patients treated with IMRT between May 2010 and December 2012,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37 planned with Eclipse and 8 with Prowess Panther treatment planning system. The doses to the planning target volumes of primary tumor and involved lymph nodes, high risk region, and uninvolved regional nodal areas were 70 Gy, 60 Gy, and 54 Gy respectively and delivered simultaneously over 33 fractions to 39 patients. Another 6 patients irradiated with sequential boost technique. Some 84.4% of patients received chemotherapy. Acute toxicities were graded according to the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scoring criteria and 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s (CTCAE) for chemotherapy side effects. Results: Median age was 43 years (14-79) and all patients were WHO type II. Grade 1 mucositis and dysphagia were observed in 17 (37.8%), and 10 (22.2%) patients,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acute grade 2 mucositis and dysphagia was 55.6% and 68.9%, respectively. The most common chemoradiotherapy related acute toxicities were nausea, leucopenia and thrombocytopenia. Grade 3 toxicity was detected in 13 (28.8%) cases. No grade 4 toxicity was occurred. Mean weight loss was 9%. None of the patients required the insertion of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for nutritional support. Radiation therapy was completed without interruption in all patients. Conclusions: IMRT is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and well tolerated by patients in the treatment of nasopharyngeal carcinoma. No unexpected side effects were ob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