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isk assessment model

Search Result 1,066,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A Techno-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n LVDC Distribution System for Rural Electrification in South Korea

  • Afamefuna, David;Chung, Il-Yop;Hur, Don;Kim, Ju-Yong;Cho, Jintae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9 no.5
    • /
    • pp.1501-1510
    • /
    • 2014
  • Low voltage direct current (LVDC) distribution system is a suitable techno-economic candidate which can create an innovative solution for distribution network development with respect to rural electrification.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use of LVDC distribution system to replace some of KEPCO's existing traditional medium voltage alternating current (MVAC) distribution network for rural electrification in South Korea. Considering the technical and economic risks and benefits involved in such project, a comparative techno-economic analysis on the LVDC and the MVAC distribution networks is conducted using economic assessment method such as the net present value (NPV) on a discounted cash flow (DCF) basis as well as the sensitivity analysis technique. Each would play a role in an economic performance indicator and a measure of uncertainty and risk involved in the project. In this work, a simulation model and a computational tool are concurrently developed and employed to aid the techno-economic analysis, evaluation, and estimation of the various systems efficiency and/or performance.

Construction of Flood Risk Assessment Model on Changkyeong palace in Seoul, Korea (서울 창경궁 지역의 홍수 위험도 평가 모형 구축)

  • Kim, Ji-Sung;Lee, Hyo-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02-702
    • /
    • 2012
  • 이상기후로 인하여 최근 급증하는 자연재해에 대한 대비가 요구되며, 2010년 광화문 침수 및 2011년 서울 강남지역의 침수 등과 같이 이에 대한 대비가 시급한 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기존의 치수대비 개념으로 접근하여 인명 및 재산 등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건축문화재에 대한 대비는 충분하게 고려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문화재의 홍수 위험도 평가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서울의 대표적인 건축문화재인 창경궁의 홍수 위험도 평가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모형 구축을 위해 현장 실측 유량 자료와 서울 기상청(종로구 송월동)의 강우자료(2011년 6월-8월의 8개 사상) 활용을 통해 홍수 위험도 평가 모형(HEC-HMS)의 매개변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구축된 창경궁 지역의 평가 모형 검증을 위해 2011년 7월 26-28일까지 모의한 홍수량을 지형정보시스템(GIS)에 적용하여 침수 지도를 작성하였으며, 작성된 침수 지도를 현장에서 조사한 침수 흔적과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침수 면적이 약 10%의 오차를 보였으며, 수행한 모의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구축한 홍수 위험도 평가 모형이 대상유역에 적합하며, 향후 홍수 위험도 평가를 위해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Developing Building Fire Risk Assessment Model and Its Application in Nonlife Insurer's (손해보험회사의 건물의 화재위험도 평가 모형개발과 적용기법에 관한 연구)

  • Kim, Yong-Dal;Yoon, Myong-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52-62
    • /
    • 2010
  • 우리나라 손해보험 업계의 경영실적을 보면 2003년부터 2007까지 5년간 연평균 1조 1,130억원의 당기순이익이 발생하였으나 이는 투자이익에 기인한 것이고 손해보험사업 본업인 보험영업 손익에 있어서는 연평균 5,218억원의 손실을 기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손실이 발생한 원인은 손해율 증감에 따른 보험요율의 조정미흡, 손해율상승 및 사업비 증가 등의 요인이 있으나 근본적인 요인은 해외 출수재의 불균등과 과다한 해외출재로 인한 수지차의 역조현상에 기인하고 있다. 특히 화재위험을 담보하고 있는 보험상품인 화재보험과 재산종합보험의 출재보험료는 약3,670억원으로써 전체 해외출재보험료에서 가장 높은 30.8%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방재기술(Loss Control)의 활용미흡과 방재기술에 근간을 두고 있지 못한 보험인수 정책 즉 언더라이팅(Underwriting)기법의 낙후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통적인 보험 상품인 화재보험에서 보험인수시 물건의 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는 화재위험도 평가기법이 필요하고 이를 근간으로 위험을 인수하고 보유의 규모를 결정할 수 있는 체계의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정물건의 화재보험 인수과정에서 건물에 내재된 잠재 화재위험의 고저 또는 양 불량을 판정할 수 있는 화재위험도 평가 모형을 개발한 후 이 평가 모형에서 산출된 화재위험도보유계수를 활용하여 보유금액을 결정할 수 있는 보험인수 모형을 도출 하였다.

  • PDF

Big data-based real-time drug side-effect risk assessment model (빅데이터 기반 실시간 의약품 부작용 위험도 평가 모델)

  • Lee, Chae-Eun;Bae, Eun-Ji;Yoon, Sook-Young;Lim, Su-Yeon;Kim, Yong-Min;Kim, Woong-Sup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754-757
    • /
    • 2019
  • 대한민국 인구의 고령화는 점점 더 심화되며 노인 환자의 수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노인환자들은 의약품 부작용 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노인에게 부적절한 약물과 처방 이후의 부작용 발생 현황에 대한 통계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의약품 부작용관련 문헌 정보와 실제 병원의 전자 의무 기록을 이용해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Python 을 사용해 부작용 탐지 알고리즘을 설계했다. 노인 환자가 특정 약품을 투약한 이후에 그 약품에 부작용에 해당하는 진단을 받는다면 부작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사용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웹을 구축했다. d3.js 를 통해 직관적으로 부작용 확률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했고 새로운 진단 또는 처방을 입력하여 실시간으로 확률에 반영하였다.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부작용 이슈에 신속하게 예방 및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pplication of Two-Dimensional Flow Analysis Model for Flood Risk Assessment in Flood Plain (둔치에서의 홍수위험도 평가를 위한 2차원 흐름해석모형의 적용)

  • Ku, Young Hun;Song, Chang Geun;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0-40
    • /
    • 2015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의 발생빈도와 홍수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여름철 집중호우 및 태풍에 의해 하천의 둔치가 침수됨으로써 다양한 침수피해를 야기한다. 대하천 사업 이후 하천의 둔치를 활용한 체육시설, 자전거도로 및 생태공원과 같은 친수시설들이 조성되었으며 태풍으로 인한 하천의 홍수위 상승은 이러한 친수시설에 대한 직접적인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침수피해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둔치를 포함한 복단면에서의 흐름해석을 통한 수리학적 영향을 분석해야하며, 둔치에서의 흐름양상은 주수로에 비해 수심이 얕고 흐름에 대한 저항이 크기 때문에 2차원 수리해석이 바람직한 것으로 제안되고 있다. 2차원 수리해석에 있어 하천의 홍수위 상승과 하강으로 인해 발생하는 둔치구간에서의 마름과 젖음 현상은 수치해의 발산을 야기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마름/젖음 해석 기법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일반적으로 마름/젖음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마름/젖음에 상관없이 모든 부분에서 방정식을 푸는 박막기법과 해석영역으로부터 마름 부분을 제거하는 이동경계법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기간에 수위가 급변하는 태풍사상에 대한 둔치에서의 홍수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마름/젖음 해석이 가능한 2차원 유한차분모형인 Nays2D 모형을 이용하여 마름/젖음에 대한 과거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적용된 모형의 결과를 비교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고, 검증된 모형을 강정-고령보에서부터 달성보 사이 구간에 적용하여 수리학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모형의 결과를 이용하여 홍수위험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둔치구간에서의 홍수위험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 PDF

Detection of Emetic Bacillus cereus from Ready-to-eat Foods in Markets and its Production of Cereulide under Simulated Conditions

  • Kim, Heesun;Chang, Hyeja
    • Journal of the FoodService Safety
    • /
    • v.1 no.1
    • /
    • pp.9-18
    • /
    • 2020
  • B. cereus-produced cereulide as an emetic toxin is commonly isolated in starch-based cooked foods. This study examined the prevalence of B. cereus from ready-to-eat foods in market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and deter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B. cereus and the quantity of cereulide in the sample after different storage times and temperatures. The prevalence of general B. cereus in 43 starch foods was 32.6%, and the level of B. cereus ranged from 0.5 to 1.95 log cfu/g, meeting the Korea Food Code Specifications of 3 log CFU/g of B. cereus. No samples revealed emetic B. cereus. Fried rice samples were inoculated with a cereulide-producing reference strain, B. cereus NCCP 14796, to determine the level of B. cereus and the quantity of cereulide in the samples after storage for 0, 4, 6, 8, 20, 24, 30, 48, 72, and 96 h at 7, 25, 35, and 57℃. The average levels of B. cereus at 7, 25, 35, and 57℃ were 4.38, 7.31, 7.88, and 3.82 log cfu/g, and the levels of cereulide were 150.41, 1680.70, 2652.65, and 77.83 ㎍/mL, respectively,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cubation time (P<0.05) and temperature (P<0.001).

Analysis methodology of local damage to dry storage facility structure subjected to aircraft engine crash

  • Almomani, Belal;Kim, Tae-Yong;Chang, Yoon-Su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54 no.4
    • /
    • pp.1394-1405
    • /
    • 2022
  • The importance of ensuring the inherent safety and security has been more emphasized in recent years to demonstrate the integrity of nuclear facilities under external human-induced events (e.g. aircraft crashes). This work suggests a simulation methodology to effectively evaluate the impact of a commercial aircraft engine onto a dry storage facility. A full-scale engine model was developed and verified by Riera force-time history analysis. A reinforced concrete (RC) structure of a dry storage facility was also developed and material behavior of concrete was incorporated using three constitutive models namely: Continuous Surface Cap, Winfrith, and Karagozian & Case for comparison. Strain-based erosion limits for concrete were suitably defined and the local responses were then compared and analyzed with empirical formulas according to variations in impact velocity. The proposed methodology reasonably predicted such local damage modes of RC structure from the engine missile, and the analysis results agreed well with the calculations of empirical formulas.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reviewing the dry storage facility design and in the 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considering diverse impact scenarios.

A Study on the Safety Enhancement of Hydrogen Tube Trailer (수소운송설비 안전성 강화 방안 고찰)

  • Woo-Il, Park;Yeong-Hun, Kim;In-Woo, Lee;Seung-Kyu, K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6 no.6
    • /
    • pp.59-64
    • /
    • 2022
  • Currently, 787 hydrogen tube trailer are in operation as of the end of October 2022, and a maximum of 340 kg is transported in a Type 1 seamless container at a pressure of up to 200 bar. The current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facility management are in good condition, but the system and facility structure improvement are needed to strengthen safety. Accordingly, this paper simulated and analyzed an accident case that occurred on the Daejeon-Dangjin highway on December 28, 2021 during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supply and operation of hydrogen tube trailer according to the hydrogen energy activation policy.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on how to improve the safety of hydrogen tube trailer.

Flow Assessment and Prediction in the Asa River Watershed using differen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on Small Dataset

  • Kareem Kola Yusuff;Adigun Adebayo Ismail;Park Kidoo;Jung Yo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95-95
    • /
    • 2023
  • Common hydrological problems of developing countries include poor data management, insufficient measuring devices and ungauged watersheds, leading to small or unreliable data availability. This has greatly affected the adop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for flood risk mitigation and damage control in several developing countries. While climate datasets have recorded resounding applications, but they exhibit more uncertainties than ground-based measurements. To encourage AI adoption in developing countries with small ground-based dataset, we propose data augmentation for regression tasks and compare performance evaluation of different AI models with and without data augmentation. More focus is placed on simple models that offer lesser computational cost and higher accuracy than deeper models that train longer and consume computer resources, which may be insufficient in developing countries. To implement this approach, we modelled and predicted streamflow data of the Asa River Watershed located in Ilorin, Kwara State Nigeria. Results revealed that adequate hyperparameter tuning and proper model selection improve streamflow prediction on small water dataset. This approach can be implemented in data-scarce regions to ensure timely flood intervention and early warning systems are adopted in developing countries.

  • PDF

Assessment of Near-Term Climate Prediction of DePreSys4 in East Asia (DePreSys4의 동아시아 근미래 기후예측 성능 평가)

  • Jung Choi;Seul-Hee Im;Seok-Woo Son;Kyung-On Boo;Johan Lee
    • Atmosphere
    • /
    • v.33 no.4
    • /
    • pp.355-365
    • /
    • 2023
  • To proactively manage climate risk, near-term climate predictions on annual to decadal time scales are of great interest to various communities. This study evaluates the near-term climate prediction skills in East Asia with DePreSys4 retrospective decadal predictions. The model is initialized every November from 1960 to 2020, consisting of 61 initializations with ten ensemble members. The prediction skill is quantitatively evaluated using the deterministic and probabilistic metrics, particularly for annual mean near-surface temperature, land precipitation, and sea level pressure. The near-term climate predictions for May~September and November~March averages over the five years are also assessed. DePreSys4 successfully predicts the annual mean and the five-year mean near-surface temperatures in East Asia, as the long-term trend sourced from external radiative forcing is well reproduced. However, land precipitation prediction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very limited sporadic regions. The sea level pressure predictions also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skills only over the ocean due to the failure of predicting a long-term trend over the 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