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pening stage

검색결과 321건 처리시간 0.022초

Comparison between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environment-friendly agro-produce and processed food

  • Kim, Soo-Mi;Kim, Joo-Hee;Son, Myoung-Jin;Kim, Se-Young;Rico, Catherine;Kang, Mi-Young
    • 한국유기농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기농학회 2009년도 하반기 학술대회
    • /
    • pp.316-316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on garlic cultivation, and the methods for processing garlic at proper ripening stage to increase its antioxidant properties and market valu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garlic and processed black garlic were analyzed in vitro and ex vivo. The ethanol extracts of garlic and black garlic were used in the antioxidant, linoleic acid autooxidation, lipid oxidation and RAW264.7 indicator cell using NO induced activity analyses. Also, toxicity tests by RBL-2H3 and RAW264.7 indicator cell using MTT assay were compared. Obesity inhibition test of garlic and black garlic were also studied.

  • PDF

Aflatoxin 및 Aspergillus flavus의 처리가 벼의 성숙 및 쌀의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oculation of Aflatoxin and Aspergillus flavus on the kernel Development and Nutrient Composition in field-grown rice)

  • 이용욱;김종규;강진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6
    • /
    • 1992
  • Two Rice cultivars , a high yield variety of Cheongcheong and a Korea native kind of Chucheong were grown in paddy. 1$\mu\textrm{g}$ and 10$\mu\textrm{g}$ of aflatoxin B1 and Aspergillus flavus (106 conidia/ml) were inoculated at milk stage. At harvest, kernels from the inoculated plant showed slightly lower ripening rates and 100-grain weight than did those of controls. The nutri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unpolished rice of inoculated group were similar to those of controls and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inoculated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 PDF

맥류의 세대촉진방법에 관한 연구 1. 온실조건하에서 맥류품종의 미숙종자최아, 춘화처리방법 및 재배조건이 생육촉진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Procedure for Accelerating Generation Advancement in Wheat and Barley Breeding 1. Influence of Germination Forcing on Premature Seed, Vernalization Method and Nursing Condition on Generation Advancement of Barley Varieties in Greenhouse)

  • 조장환;하용웅;안완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7-64
    • /
    • 1976
  • Enforcing germination to the premature seed green vernalization under constant vitalux-A illumination and exposing to higher room temperature during ripening stage, were successively applied during wheat and barley raising for the sake of the accelerating generation advancement in greenhouse. By application of this method, the winter habit variety 'Buheung' required only 77 days for 1 generation and could raise 4.5 generations during one year. one year.

  • PDF

Breeding of Korean Raisin Tree (Hovenia dulcis var. koreana Nakai) for High Productivity in Korea

  • Kim, Sea-Hyun;Han, Jingyu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71-376
    • /
    • 2008
  • For the purpose of breeding a high-yield superior variety of Korean raisin tree (Hovenia dulcis var. koreana Nakai), whose value as an edible and medicinal resource is increasing, tree candidates for superior individuals were selected from its 11 habitats in Korea from 1996 to 1998. A clone bank preserve was created in 1998 with 70 clones proliferated by grafting; the fruition traits (e.g., the number of fructified laterals, the average number of bunches per fructified lateral, the average number of bunches per fruiting lateral, the fruitpetiole weight per individual, and the yield per individual) of 47 clones that had bloomed and borne fruit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2002; five upper-ranking clones whose yield per individual exhibited a 261% improvement against the total average were picked in 2005; and three clones, including 'Poong-Sung 1', that showed a difference in their fruit petiole ripening stage, were finally selected in 2007 as high-yield new cultivars of Korean raisin tree.

식물생장조절제 Uniconazole-P에 의한 생육억제와 목초의 종자 생산 (Plant Growth Regulation by Uniconazole-P Application and its Effects on Seed Production in Pasture Plants)

  • 이주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91-302
    • /
    • 1998
  • 식물생장 조절제 Uniconazole-P의 처리가 초지조건에서 목초의 생육억제와 종자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초종은 화본과 목초 2초종(orchardgrass와 timothy)과 두과목초 2초종(red clover와 alfalfa)을 공시하였고, Uniconazole-P의 처리농도는 대조구, 20ppm구, 40ppm구의 3처리로 하여, 화본과 목초는 유수분화기에, 두과목초는 개화시기(開花始期)에서 엽면산포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Uniconazole-P의 처리효과는 처리농도, 초종 및 생육단계에 따라서 차이가 인정되었다. 2. Uniconazole-P의 처리는 출수초기의 화본과 목초에서 초장과 간장이 단축되었고, 수중과 엽록소 함량을 증가시켰다. 3. Uniconazole-P의 처리는 종자 결실기의 orchardgrass에서 수수, 1경중, 수중, 1수중 및 종자중을 증가시켰고, timothy에서는 초장의 단축과 수수, 1수중, 수중, 종자중 및 수확지수를 증가시켰다. 4. Uniconazole-P의 처리는 개화초기의 red clover와 alfalfa 2초종 모두 초장과 총절간장을 단축시켰지만, 총분지장과 엽록소 함량을 증가시켰다. 특히 red clover에서는 화수와 화중의 증가가 현저하였다. 5. Uniconazole-P의 처리는 종자 결실기의 red clover에서 초장을 단축시켰고, 화중과 종자중을 증가시켰으며, alfalfa에서는 초장을 단축시키고 화중, 종자중 및 수확지수를 증가시켰다. 6. Uniconazole-P의 처리에 의한 화본과 목초의 종자 생산과정은 1) 출수초기에서 초장과 간장의 단축, 2) 출수초기와 종자 결실기에서 수수와 l수중의 증가, 3) 종자 결실기에서 단위면적당 수중과 종자중의 증가 및 수확지수의 증가로 설명할 수 있다. 7. Uniconazole-P의 처리에 의한 두과목초의 종자 생산과정은 1) 개화초기에서 초장과 총절간장의 단축과 분지수와 총분지장의 증가, 2) 개화초기와 종자 결실기에서 화수와 화중의 증가, 3) 종자 결실 기에서 종자중과 수확지수의 증가로 설명할 수 있다.

  • PDF

국내산 무화과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Korean Fig (Ficus carica L.)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 정미란;차정단;이영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4-93
    • /
    • 2005
  • 천연생리활성 물질로서의 국내산 무화과의 특성을 검색하고자 성숙시기별로 미숙과 I, 미숙과 II, 완숙과를 메탄올로 추출하고, 메탄을 추출물을 극성에 따라 계통분획하여, 각각의 분획물에 대해 미생물의 성장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식중독균 8종에 대한 생육정도를 측정한 결과, 모든 대상균주에 대부분에 대해 무화과 메탄올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들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성장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무화과 메탄올 추출물은 완숙과보다는 미숙과 I 및 미숙과 II에서 활성이 우수하여, L. monocytogenes을 비롯한 모든 사용균주에 대해 10 mg/mL에서부터 강한 억제활성을 보였다. 무화과 용매계통분획물에 의한 항균활성은 성숙정도와 대상균주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0.1$\~$5.0mg/mL농도범위에서 극성이 낮은 헥산과 클로로포름 분획이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반면, 극성이 비교적 높은 부탄을 분획은 그보다 낮은 활성을 보였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물 분획에서는 항균활성을 거의 보이지 않았다. 추출 용매에 대한 항균력은 계통분획물들이 메탄을 추출물보다는 낮은 농도에서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나, 메탄을 추출물이 좀더 광범위한 균주들에 대해 억제활성이 있었으며, 계통분획물들은 분획에 따라 성숙시기에 따라 활성이 있는 균주가 특이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헥산분획물에서는 메탄올 추출물과는 달리 L. monocytogenes, E. coli O157:H7, Y. enterocolitica와 V. parahaemolyticus에 대해완숙과가 미숙과 I 또는 II보다 항균활성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클로로포름 분획에서는 모든 성숙단계에서 E. coli O157:H7과 V. parahaemolyticus에 대해 저해활성이 매우 우수하였다. 또한 부탄올분획물에서는 메탄올추출물과 같이 미숙과 I, II에서 완숙과보다 더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이는 균주들이 많았다. 본 실험에서 무화과 추출물 또는 계통분획물들은 식중독균에 대해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전반적으로 판단하여 볼 때 성숙직전의 미숙과 II에서 항균활성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 및 노지 재배한 오디의 숙기별 이화학적 품질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ulberries by Greenhouse and Open Field Cultivation in Maturation Degrees)

  • 이지영;황인국;박보람;한혜민;유선미;한귀정;박종태;김하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0호
    • /
    • pp.1476-148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고품질 오디 생산과 기능성 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시설 및 노지 재배한 오디의 숙기별 pH, 적정산도, 유리당, 유기산,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안토시아닌, 항산화 활성 및 항산화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pH와 적정산도는 시설의 경우 각각 3.52~4.91 및 0.47~2.63% 범위였고, 노지의 경우 각각 3.52~4.70 및 0.43~2.19% 범위로 숙도 단계에 따라 유의적인(P<0.05) 차이를 보였다. 숙도별로 pH는 점차 높아졌고, 적정산도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재배 방법별로는 후기 단계로 갈수록 시설 재배가 유의적으로(P<0.01) pH와 적정산도 모두 높아졌다. 주요 유리당으로는 fructose와 glucose가 검출되었고 함량은 각각 0.44~4.85% 및 0.43~4.79% 범위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숙도에 따라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다. 재배 방법별로는 유의적으로(P<0.01) 시설 재배의 유리당 함량이 높았다. 주요 유기산으로는 citric acid, D-malic acid, succinic acid, acetic acid가 검출되었고, 각각의 함량은 0.47~2.50 g/100 g, 0.22~0.53 g/100 g, 0.23~0.49 g/100 g, 0.29~1.04 g/100 g의 범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숙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는데, 주로 citric acid의 급격한 감소의 영향으로 보인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노지 재배 오디는 171.74~482.98 mg/100 g, 시설 재배 오디는 126.21~471.41 mg/100 g의 범위 수준을 나타내었고, 숙도에 따라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다.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마지막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에서 유의적인(P<0.05) 차이로 노지 재배 오디의 함량이 시설 재배 오디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62.72~174.60 mg/100 g, 94.34~197.53 mg/100 g의 범위 수준을 나타내었다. 숙도가 진행됨에 따라 노지 및 시설 재배의 경우 모두 함량은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다가 증가하였다. 노지 재배 오디의 함량이 시설 재배에 비하여 모든 숙도 단계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총 안토니시아닌 함량은 각각 0.00~337.43 mg/100 g, 0.00~349.85 mg/100 g의 범위로 나타났고, 숙도별로 유의적인(P<0.05) 차이를 보였다. DPPH 항산화 활성은 각각 62.15~337.76 mg AA eq./g, 81.57~313.23 mg AA eq./g 범위를 나타내었다. 숙도가 진행됨에 따라 항산화력은 증가하였고, 숙도 말기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ABTS 항산화력은 각각 61.10~663.03 mg AA eq./100 g, 77.02~784.43 mg AA eq./100 g 범위를 나타내었다. 숙도가 진행됨에 따라 총 항산화력은 증가하였고 숙도 말기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 보아 오디의 경우는 충분히 숙성된 후 수확하여 이용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품질 상 차이가 없고 장마철 수확기인 오디의 특성상 수확량이 많고 오염의 가능성이 적은 시설재배가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등숙기간중 온도와 벼 이삭 지경간 곡립의 형태 형성차이 (Effect of Temperatures during Ripening Period on Morpological Characteristics of Rachis-Grain in Rice)

  • 이정일;신진철;김제규;김이훈;조동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62-669
    • /
    • 1995
  • 벼 등숙기 온도 차이가 쌀의 등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993년 작물시험장 인공기상실에서 숙기가 다른 3개 품종(오대벼, 화성벼, 동진벼)과 등숙온도(22/16$^{\circ}C$, 26/18$^{\circ}C$, 22/22$^{\circ}C$, 30/22$^{\circ}C$, 자연상태 등숙)를 달리하여 천립중, 수량, 비중별 입중 및 입수 분포비율, 현미의 외관형태 등의 등숙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등숙온도에 따른 천립중은 고온(30/22$^{\circ}C$)보다는 저온(22/16$^{\circ}C$)에서, 적온의 경우에는 항온(22/22$^{\circ}C$) 보다 변온(26/18$^{\circ}C$)에서 무거웠고, 지경별로는 1차 지경이 2차 지경에서 보다 무거웠다. 따라서, 천립중 및 현미 수량으로 본 벼 등숙적온은 평균온도로 22 였고, 변온등숙(26/18$^{\circ}C$)이 항온등숙(22/22$^{\circ}C$) 보다 등숙에 유리하였다. 2. 비중 1.20이상 되는 입중분포는 오대벼의 경우 22/16 에서 약 62%, 22/22 에서 49%, 26/18 에서 약 8% 정도로 주간 등숙온도가 22 보다 높을수록 그 비율이 급격히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화성벼와 동진벼는 비중 1.20이상의 입중분포비율이 22/22$^{\circ}C$> 26/18$^{\circ}C$> 22/16$^{\circ}C$> 30/22$^{\circ}C$의 순으로 높았으며, 1차 지경보다 2차 지경에서 충실립 분보비율이 낮았다. 3. 공시품종 모두 22/16$^{\circ}C$~22/22$^{\circ}C$의 저온 및 적온등숙시에는 비중 1.15이상에 분포하는 입수비율의 차이가 없었으나, 30/22$^{\circ}C$의 고온등숙에서는 충실립 분포비율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4. 부피로 본 곡립의 크기는 공시품종 모두 항온(22/22$^{\circ}C$)에서 등숙된 곡립이 변온(26/18$^{\circ}C$)에서 등숙된 곡립보다 작았으며, 저온에서 등숙된 것일수록 큰 경향이었다.

  • PDF

벼 생육시기별 염수처리 농도와 기간에 따른 생육 및 수량 (Growth and Yield of Rice as Affected by Saline Water Treatment at Different Growth Stages)

  • 이충근;윤영환;신진철;이변우;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02-408
    • /
    • 2002
  • 본 연구는 염수 농도, 처리기간 및 처리시기가 벼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처리시기는 분얼기, 감수분열초기, 출수기였으며, 염수처리 농도는 고농도(3.0%), 중농도(1.5%) 및 저농도(0.5%)로 하여, 고농도와 중농도는 4일간, 저농도는 30일간 처리하였다. 공시품종은 장안벼로 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던 다음과 같다. 1. 잎 피해율은 처리시기에 관계없이 고농도 단기처리에서 가장 심하였으며, 1999년에는 분얼기, 출수기, 감수분열초기 순으로 및 피해율이 높았으나, 2000년도에는 출수기, 감수분열초기 , 분얼기 순이었다. 2. 출수기는 분얼기 염수처리에서 1-5일 지연되었다. 간장 및 수장의 단축은 감수분열초기에 염수를 처리하였을 때 가장 심하였다. 3. 감수분열초기 염수처리에서 수량감소가 가장 켰고, 다음이 출수기, 분얼기 순이었으며, 이삭수를 제외한 수량 및 수량 구성요소에서 무처리>중농도 단기처리>저농도 장기처리>고농도 단기처리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수량구성요소중 등숙률과 천립중이 염수처리에 의한 감소가 가장 현저하였다. 4. 감수분열초기 염수처리에서 다른 생육시기에 비해 많은 지발이삭의 발생으로 이삭수가 많았으며, 지발이삭에 의한 수량 보상력은 2.1-12.0%이었다. 5. 립중, 등숙속도 및 등숙기간에 대하여 분얼기 처리에서는 처리농도 및 처리기간별로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감수분열초기 처리에서는 저농도 장기처리 및 고농도 단기처리에서, 출수기 처리에서는 고농도 단기처리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콩의 생육단계별 야간조명에 따른 생육 및 수량 반응 (Growth and Yield Responses of Soybean under Night Illumination at Different Growth Stages)

  • 김충국;서종호;조현숙;김시주;허일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478-482
    • /
    • 2001
  • 콩의 생육단계별 야간조명 처리가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을 분석하여 생육단계별 피해정도를 알아보고자 유한신육형인 신팔달콩 2호와 검정콩 1호, 무한신육형인 무한콩을 공시하여 유묘기, 화아분화 전기, 화아분화 후기, 개화기, 협 신장기 및 종실비대기의 6 시기의 야간에 각각 15일간씩 20~30 Lux(0.05~0.08W m$^{-2}$ , 0.24~0.36 $\mu$㏖ S$^{-1}$ m$^{-2}$ )의 조도에서 시험을 수행한 결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기는 야간조명처리시 대조구에 비하여 2~8일 지연되었으며, 생육단계별로는 화아분화 전기에 야간조명시 7~9일이 지연되어 개화지연정도가 가장 컸다. 2. 경장은 대조구에 비하여 협신장기 이후 처리를 제외한 모든 처리에서 증가되었으며, 절수는 신팔달콩 2호 및 검정콩 1는 화아분화 추기 이전에 야간조명 처리시 증가되었으나, 무한콩은 화아분화 후기 이후 처리시 증가되었다. 3. 유한형 품종의 협수는 유묘기의 처리를 제외한 모든 처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4. 수량은 모든 생육단계의 야간조명 처리에서 감소되었으며, 감소 정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화아분화 전기는 7~11%, 화아분화 후기에는 6~8%, 유묘기에는 5~8%, 개화기에는 3~8%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