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fampicin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4초

리팜피신캅셀의 생체내 이용율 (Relative Bioavailability of Commercially Available Rifampicin Capsules)

  • 신광범;조용백;송영준;곽효성;이민화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19권2호
    • /
    • pp.93-98
    • /
    • 1989
  • The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issolution, diffusion a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using Sartorius dissolution and absorption simulator and in vivo bioavailability of commercially available rifampicin capsules. Both brands C and F showed similar dissolution patterns and absorption properties through artificial gastric barrier in Sartorius simulator. Diffusion rate constants through the membrane of brands C and F were $3.04\;{\times}40^{-3}$ and $2.88\;{\times}\;10^{-3}cm/min$, respectively. Rifampicin capsules were administered orally to six fasted healthy volunteers according to cross-over design.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between brands C and F, maximum plasma drug concentration$(C_{max})$, the time to reach $C_{max}$, absorption rate constant and area under the curve $(AUC_{0-24hr})$, elimination rate constant, and amount of drug excreted in urine were 6.11 and $7.27\;{\mu}g/ml$, 2.71 and 1.52 hr, 0.6371 and $1.6456 hr^{-1}$, 57.84 and $57.28\;{\mu}g\;{\cdot}\;hr/ml$, 0.1891 and $0.1734 hr^{-l}$, 119.98 and 119.93 mg,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experimental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bioavailability of brand C rifampicin capsules was almost the same as that of brand F rifampicin capsules.

  • PDF

리팜피신과 오플록사신에 내성인 Bacillus coagulans OFR17 균주 (Bacillus coagulans OFR17 Strain Resistant to Rifampicin and Ofloxacin)

  • 김은아;오태권;최금화;이진희;백문창;김병각;최응칠
    • 약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50-455
    • /
    • 1997
  • The preparation of Bacillus coagulans is used as a therapeutics for human intestinal disorders. However, the bacterium in the preparation is very susceptible to rifampic in and fluoroquinolones. When the preparation is taken with rifampicin or fluoroquinolones, its therapeutic effect can not be expected. So B. coagulans RFR17 resistant to rifampicin was obtained by treating the parent B. coagulans with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B. coagulans OFR17 was produced by serial passage of B. coagulans RFR17 on agar with 2-fold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of ofloxacin or ciprofloxacin. B. coagulans OFR17 was resistant to fluoroquinolones up to 16~64 fold higher than that for the original strain. B. coagulans OFR17 also exhibited identical characteristics with the parent strain when they were tested for lactic acid production and growth inhibition of E. coli MB4-01 and Shigella sonnei MB4-10411. From in vitro test, it was also identified that rifampicin and ofloxacin are not inactivated by certain factors of B. coagulans OFR17. Conclusively, B. coagulans OFR17 can be regarded as a promising strain which can be developed as the preparation for the treatment of the intestinal disorders of the tuberculosis patients under rifampicin and ofloxacin therapy.

  • PDF

BCG 접종에 따른 화농성 림프절염의 rifampicin 국소투여 효과 (The effect of local rifampicin instillation on the treatment of suppurative BCG lymphadenitis)

  • 김민선;조대선;강미경;김상재;김정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호
    • /
    • pp.40-45
    • /
    • 2006
  • 목 적 : BCG는 생균 백신이므로 국소궤양이나 림프절염은 물론 BCG균에 의한 전신감염도 보고되고 있다. 특히 BCG 접종 후 발생한 화농성 림프절염은 치료 방법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다. 저자들은 BCG 접종 후 발생한 화농성 림프절염의 양상과 그 치료 방법의 하나로 세침흡인 후 rifampicin 국소투여의 치료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2년 3월부터 2004년 6월까지 2년 3개월간 전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BCG 접종 후 화농성 림프절염이 발생한 32례의 환아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과 세침흡인 후 rifampicin 국소투여를 시행하고, 그 효과를 관찰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는 32례였으며 남아가 19례(59.4%), 여아가 13례(40.6%)였다. 1례(재태연령 30주)를 제외하고 모두 정상 만삭아로 출생하였다. 접종받은 BCG 백신은 모두 French 균주 제품(대한결핵협회)이었고, BCG 접종장소는 보건소가 13례(40.6%)로 가장 많았고 그 외 개인의원이 4례, 종합병원이 2례, 대학 병원이 2례였다. 접종시기는 30례(93.8%)가 생후 4주 이내였으며, 모두 피내접종으로 접종부위는 오른쪽 엉덩이에 접종한 1례를 제외하고는 모두 좌측 삼각근(96.9%)에 접종하였다. 화농성 림프절염의 발생시기는 BCG 접종 후 1개월에서 10개월까지 다양하였으며 대부분 1-6개월 사이에 발생하였다(27례, 78.1%). 총 32례 중 28례(87.5%)에서 한 개의 림프절이 침범되었는데 발생한 위치로는 좌측 액와 림프절이 24례(75.0%)로 가장 많았고, 그 외 좌측 견갑부가 3례, 좌측 쇄골 상와 부위가 3례, 좌측 액와와 좌측 쇄골 상와 부위가 함께 발생한 1례, 우측 서혜부가 1례 있었다. 우측 서혜부에 발생한 경우는 우측 둔부에 접종을 받은 경우였다. 32례 중 4례(12.5%)에서 두개의 림프절이 침범되었는데 3례는 좌측 액와에서 발생하였고, 1례는 좌측 액와와 좌측 쇄골 상와 부위에서 동시에 발생하였다. 치료는 20 gauge의 주사기로 흡인한 후 rifampicin 용액(결핵연구원 : rifampicin 1 mg/mL)을 종창 내에 주입하였고. 치료 후 2-4주 간격으로 재치료의 필요성 및 치료효과를 관찰하였다. 치료결과 17례(53.1%)는 1회 투여로 완치되었으며, 13례(40.6%)는 2회, 2례(6.3%)는 3회 투여 후 별다른 부작용이나 후유증 없이 완치되었다. 결 론 : BCG 접종 후 발생한 화농성 림프절염은 병변이 진행되어 누공이 형성된 후에도 입원이나 전신마취 및 수술이 필요없이 세침흡인과 rifampicin 국소투여가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생각된다.

Effect of Pyridoxine on Rifampicin Toxicity

  • Yun, Yeo-Pyo;Kim, Koan-Hoi;Kim, Hack-Seang;Chung, Jin-H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4권1호
    • /
    • pp.73-77
    • /
    • 1991
  • The effects of pyridoxine (PN) on rifampicin (RMF) toxicity were investigated by both in vivo and in vitro methods. RMF (30 mg/kg)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and PN(150 mg/kg) was administered orally to rats for 10 consecutive days. After treatment, clinical chemistry and hematologic profiles were measured. RMF and PN plus RMF did not show any adverse effects at this in vivo experimental condition. Thymidine incorporations of mice bone marrow cells were examined in vitro. RMF showed a decrease in thymidine uptake in a dose-dependent manner, but PN showed a reversal of the thymidine uptake suppression caused by RMF (p<0.01). On the other hand, PN showed a decrease in thymidine uptake at a high concentration level.

  • PDF

리팜피신 제제의 생물학적 동등성시험(제2보) (Bioequivalence Test of Rifampicin Preparations(II))

  • 장일효;범진필;최준식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4권2호
    • /
    • pp.49-55
    • /
    • 1994
  • Bioequivalence test of commercially available rifampicin capsules was performed. Sixteen volunteer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nd the reference and test drug were given orally (450 mg) by cross-over design. Statistical evaluation of AUC, $C_{max}\;and\;T_{max}$ involved an analysis of variance (ANOVA). The differences of mean value in AUC, $C_{max}\;and\;T_{max}$ between the reference and test drug were within 20% with reference drug. ANOV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between group’, ‘drug’ and ‘period’, but not for ‘between subjects’. The power of test $(1-{\beta})\;of\;AUC\;and\;$C_{max}$ was larger than 0.8 and the confidence of bioavailability was $within\;{\pm}20%$.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two preparations were bioequivalent for AUC and $C_{max}$, but was not for $T_{max}$.

  • PDF

리팜피신 마이크로펠렛의 제조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and In-Vitro Evaluation of Gelatin Micropellets Containing Rifampicin)

  • 김기만;김현수;김승인;김영일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18권1호
    • /
    • pp.23-30
    • /
    • 1988
  • The sustained-release micropellets containing rifampicin were prepared by spray congealing micropelleting technique using gelatin as the embedding matrix, and hardened by treating with the formalin-isopropanol mixture. Dissolution of rifampicin from micropellets was significantly retarded, and greatly dependent on formalin concentration, hardening time and pH of the dissolution medium. It was found that this prolongation was more distinguished in pH 1.2 dissolution medium rather than pH 7.4, which might be attributed to the swelling characteristics of gelatin used in the dissolution medium. In-vitro dissolution kinetics indicated that the drug release followed the first-order process.

  • PDF

항 결핵제, 리팜피신에 내성인 유산균의 개발 (Development of Lactobacillus casei Resistant to Rifampicin, an Antituberculosis Agent)

  • 이승희;최응칠;김병각
    • 약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394-401
    • /
    • 1988
  • Lactobacillus casei was treated with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NTG) to obtain resistant mutants to rifampicin. Freshly grown cells of the strain suspended in tris-maleic acid buffer were exposed to NTG of $50{\mu}g/ml$ for 30min. Five colonies of the NTG-induced mutants showed distinct resistance to rifampicin. They also exhibited identical characteristics with the original Lactobacillus casei when they were tested for growth, titrable acidity and sugar fermentation. It is suggested that they can be utilized as efficieient starter cultures for fermented milk.

  • PDF

한국에서 분리된 리팜핀 내성 균주에서의 리파부틴 감수성 정도 및 관련 rpoB 유전자 돌연변이의 특성에 관한 연구 (The Proportion of Rifabutin-susceptible Strains among Rifampicin-resistant Isolates and Its Specific rpoB Mutations)

  • 류우진;박영길;김희진;장철훈;배길한;김성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3호
    • /
    • pp.257-265
    • /
    • 2005
  • 연구 배경 : 리팜핀 내성 균주에서 리파부틴 약제의 교차 내성정도와 리팜핀 내성-리파부틴 감수성 결핵균의 rpoB 유전자 돌연변이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감수성검사에서 리팜핀에 내성인 균주를 선정하여 리파부틴 농도 $0-80{\mu}g/ml$ 농도로 재접종하여 감수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리팜핀-내성균주 모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리파부틴 감수성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역교잡 방법으로 리파부틴 감수성균을 구별하였다. 연구 결과 : 우리나라에서 분리된 리팜핀 내성인 201균주 중에서 41균주(20.4%)는 리파부틴에 감수성을 보였다. 리파부틴 감수성을 보이는 rpoB 유전자 돌연변이는 Leu511Pro, Ser512Arg, Gln513Glu, Asp516Ala, Asp516Gly, Asp516Val, Asp516Tyr, Ser522Leu, His526Asn, His526Leu, His526Cys, Arg529Pro, Leu533Pro 등 이었다. 역교잡 방법을 이용하였을 경우 rpoB 돌연변이를 가진 균주 중에서 리파부틴 감수성균의 민감도는 92.5%이었고, 특이도는 96.1%이었다. 결 론 : 리팜핀 내성균이라도 약 20.4% (95% 신뢰구간: 14.8% to 26.0%)가 리파부틴 약제에 감수성이므로, 우리나라의 다제내성 결핵환자의 치료에서도 리파부틴이 중요한 약제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향후 다제내성 결핵 환자에서의 리파부틴의 치료 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가 필요하다.

Rifampicin에 의한 위막성 대장염 1예 (A Case of Rifampicin Induced Pseudomembranous Colitis)

  • 윤종욱;황정혜;함형석;이한철;노길환;강수정;서지영;김호중;정만표;권오정;이종헌;손희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6호
    • /
    • pp.774-779
    • /
    • 2000
  • 저자들은 항결핵제중 rifampicin 사용 후 발생한 위막성 대장염 1예를 경험 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며 전신상태가 좋지 않거나 간질환이 있는 고령의 환자에서 항결핵제 사용 중 심한 설사가 있을 때 이의 가능성을 생각해야 되며 필요한 경우 조기에 진단적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 PDF

Isoniazid, Rifampicin, Ethambutol, Pyrazinamide의 병용투여가 Theophylline의 약물동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bination Therapy of Isoniazid, Rifampicin, Ethambutol, and Pyrazinamide on Theophylline Pharmacokinetics)

  • 안효초;양재헌;김광훈;안혁수;장재호;이흥범;이용철;이양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5호
    • /
    • pp.992-1000
    • /
    • 1997
  • 연구배경 : Theophylline은 간세포내 cytochrome P-450 계열의 효소에 의해 거의 90% 정도 대사되는데, isoniazid, rifampicin 등 항결핵제틀은 미소체 효소계(microsomal enzyme system)에 영향을 미치어 theophylline과의 병용투여시 theophylline 대사에 변화를 일으킬수 있다. 방 법 : INH, RFP, EMB 및 PZA의 병합 요법이 theophylline의 약물동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Bayesian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Theophylline을 투여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3군으로 나누어, Group I를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Group II는 INH, RFP, EMB 및 PZA를 병용 투여하였고, Group III는 INH, RFP 및 EMB을 병용 투여하였다. 모든 대상환자는 비흡연자로 간기능 및 신기능 검사상 정상 범위였으며 theophylline의 약물동태에 영향을 줄 수 있을 만한 약제를 복용한 환자는 제외하였다. 결 과 : 정상 대조군과 실험군들을 비교시, theophylline 소실률은 Group II와 Group III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01), theophylline 반감기 역시 Group II와 Group III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01). 그러나 Group II와 Group III간의 theophylline 소실률 및 반감기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INH, RFP 및 EMB 등의 항결핵제와 theophylline 병용 투여시 theophylline 용량의 재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