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hull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23초

폐섬유자원의 발효공학적 이용에 관한 연구 (제오보) 분리균 Cellulomonas속 균주의 이용성 (Studies on the Fermentative Utilization of Cellulosic Wastes. (Part V) Utilization of Cellulomonas sp.)

  • 심기환;성낙기;윤한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4-28
    • /
    • 1977
  • 비교적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있지 않는 섬유성물질의 이용성을 높이고 섬유소 자화세균에 의한 섬유소 단세포단백을 생산할 목적으로 전보에서 분리, 동정한 Collulomonas flavigena GFB 24-1의 몇 가지 균학적 성질을 통한 이용성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섬유질 자화세균 생육배지에서 배양한 결과 pH 7.0에서 50시간 배양하였을 때 균체증식이 가장 좋았고, 배양시 유리되는 단백질은 배양중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2. Cellulolytic activity는 pH 5~7에서 40~50시간, 배양하였을 때 가장 좋았다. 4. 생육배지에서 배양시 기질의 농도의 증가에 따라 6%까지는 균체증식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8%까지는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9~10%농도에서는 감소하였다. 5. NaOH 처리한 볏짚은 기질로 하여 진탕 flask에서 배양한 결과 48기산 배양하였을 때 균체증식이 10.6mg/ml로써 가장좋았다.

  • PDF

Evaluation of Optimum Moisture Content for Composting of Beef Manure and Bedding Material Mixtures Using Oxygen Uptake Measurement

  • Kim, Eunjong;Lee, Dong-Hyun;Won, Seunggun;Ahn, Heekwo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5호
    • /
    • pp.753-758
    • /
    • 2016
  • Moisture content influences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icrobes and physical structure of solid matrices during composting of animal manure. If moisture content is maintained at a proper level, aerobic microorganisms show more active oxygen consumption during composting due to increased microbial activity. In this study, optimum moisture levels for composting of two bedding materials (sawdust, rice hull) and two different mixtures of bedding and beef manure (BS, Beef cattle manure+sawdust; BR, Beef cattle manure+rice hull) were determined based on oxygen uptake rate measured by a pressure sensor method. A broad range of oxygen uptake rates (0.3 to 33.3 mg $O_2/g$ VS d) were monitored as a function of moisture level and composting feedstock type. The maximum oxygen consumption of each material was observed near the saturated condition, which ranged from 75% to 98% of water holding capacity.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of BS and BR were 70% and 57% on a wet basis, respectively. Although BS's optimum moisture content was near saturated state, its free air space kept a favorable level (above 30%) for aerobic composting due to the sawdust's coarse particle size and bulking effect.

Rapid identification of Burkholderia glumae from diseased seeds

  • Noh, Tae-Hwan;Song, Wan-Yeob;Kang, Mi-Hyung;Hyung Moo kim;Lee, Du-Ku;Park, Jong-Cheol;Shim, Hyeong-Kwon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36.1-136
    • /
    • 2003
  • Bacterial grain rot by Burkholderia gluae cause severe damage in seedling and grain of rice after heading season. This seed-borne pathogen play a role as first infection agent that could be cause disease following cropping season. Until now the direct isolation of the bacteria has some trouble by interference of other bacteria existed inside seed. This study established convenient identification method as simple isolation with KB medium from seed showing symptom and using PCR identification. By this isolation method, B. glumae was isolated from 40 to 50% in brown rice and inner hull, however, there were saprophytic bacteria and fungi outer hull. In PCR identification with Ogf4 and Ogr3 primer to these 25 isolates, the amplified products were presented in all of the collections but not in 10 saprophytic germs. The isolation rate was constant to 3 months stored seeds. This result provide a rapid and convenient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 glumae.

  • PDF

메틸렌블루 제거 시 활성탄과 바이오차(대두줄기와 쌀겨)의 흡착성능 비교 (Adsorption of Methylene Blue by Soybean Stover and Rice Hull Derived Biochars Compared to that by Activated Carbon)

  • 이기봉;김현주;박수경;옥용식;안종화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91-296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tential use of soybean stover (SS) (0.1-0.5 g/100 mL)and rice hull (RH) (1.5-3.5 g/100 mL) derived biochars for removing methylene blue (100 mg/L) from wastewater compared to activated carbon (AC) (0.1-0.5 g/100 mL). The adsorption equilibrium data were best represented by Langmuir adsorption isotherm. The calculated maximum adsorption capacity was 71.42 mg/g for AC, 30.30 mg/g for SS, and 4.76 mg/g for RH. The adsorption kinetics was found to follow the pseudo-second order kinetics model. The rate constant was 0.0020-0.0065 g/mg.min for AC, 0.0069-0.5787 g/mg.min for SS, and 0.1370-0.3060 for RH. AC and SS biochars showed considerable potential for adsorption.

Effects of Different Root Restriction Media on Root Activity and Seedling Quality and Early Growth Parameters of Runner Plantlets of Strawberry After Transplanting

  • Park, Gab Soo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37-343
    • /
    • 2016
  •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various root restriction media on seedling quality and early growth of strawberry after transplanting. The root activity of the seedlings, measured 20 days after fixation, was considerably higher (0.096, 0.090, and $0.063mg{\cdot}g^{-1}{\cdot}h^{-1}$ at 420, 450, and 480 nm, respectively) in expanded rice hull (ERH) treatment than in the sandy loam and loamy sand treatments. The volumetric water content (VWC) of the root media tested across 3 irrigation regimes (15 d, 30 d, 45 d) in the nursery field was highest in sandy loam (65.0-66.8%), followed by 59.4-61.3% in loamy sand and 38.6-45.3% in ERH. When growth parameters of runner plantlets were compared, ERH treatment was found to result in the highest crown thickness and fresh weights of root and above-ground parts. This had a favorable influence on above-ground tissue growth after transplanting to plastic house soil. As mentioned above, ERH treatment resulted in the highest seedling quality and early growth after transplan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serve as useful on-site data for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strawberry seedlings.

셀룰로오스 에탄올 생산공정에서 리그닌의 제거특성 (Characteristics of Lignin Removal in Cellulosic Ethanol Production Process)

  • 이유나;이승범;이재동
    • 공업화학
    • /
    • 제22권1호
    • /
    • pp.77-8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볏짚, 톱밥, 밤껍질, 땅콩껍질 등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전처리과정으로 산처리과정을 진행한 후 리그닌 함량변화를 측정하고, 이에 따른 셀룰로오스 에탄올로의 전환특성을 해석하였다.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리그닌 함량을 측정한 결과 밤껍질 < 볏짚 < 톱밥 < 땅콩껍질 순으로 리그닌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으며, 셀룰로오스 에탄올로의 전환특성은 땅콩껍질 < 톱밥 < 볏짚 < 밤껍질 순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산처리과정으로 리그닌의 제거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처리과정에서 황산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리그닌 함량이 감소하여 셀룰로오스 에탄올의 수율은 증가하였으며, 최적 황산의 농도는 20 wt%로 선정하였다.

실내배양에서 생계분, 톱밥 및 왕겨 첨가가 토양미생물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owl Dropping, Saw Dust and Rice Hull on Soil Microflora in vitro)

  • 양창술;공혜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3-59
    • /
    • 1996
  • 토양중에서 서식하는 미생물(微生物) flora의 구성과 미생물의 활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토양 및 유기물 자재를 달리 처리하여 $28{\pm}2^{\circ}C$에서 항온시키면서 84일에 걸쳐 경시적으로 각종 미생물(微生物)의 활성과 미생물상(微生物相)의 구성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사상균 전세균, 그램음성세균 그리고 방선균의 활성도는 배양 21일째에, 그리고 포자형성세균은 배양 42일째에 가장 높은 수를 나타내었다. 사상균과 그램음성세균의 수는 계분+톱밥 처리구(F+S), 포자형성세균수와 방선균은 토양+계분+톱밥처리구(S+F+S), 그리고 전세균수는 토양+화학비료 처리구(S+C.F.)에서 가장 높았다. 그러나 계분+왕겨(F+R)만의 처리구에서는 사상균을 제외한 모든 토양미생물수가 매우 낮은 결과를 보였다. 토양세균군의 조성 비율중에서 순수분리과정동안 배양되지 않고 죽은 사균(死菌)은 토양+계분+왕겨 (S+F+R)처리구와 계분+왕겨(F+R)처리구에서 각각 70%, 40%로 다른 처리구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방선균은 토양+계분(S+F)처리구, 그리고 토양+계분+톱밥 (S+F+S)처리구에서 Streptomyces속(屬), Saccharomonospora속(屬), Nocardia속(屬), Micromonospora속(屬) 그리고 Actinomadura속(屬)으로 분리 동정되었다.

  • PDF

곰취의 양액재배 기술 개발 I. 배지종류 , 배지량 , 재식밀도에 따른 곰취의 생육 및 수량 (Studies on the Nutri-Culture of Major Wild Vegetable Ligularia fischeri Turcz I. Growth and Yield of Ligularia fischeri Turcz. by Media, Amount of Media and Planting Density in Nutri-Culture)

  • 홍정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01-410
    • /
    • 1997
  • 본 연구는 최근 건강 및 저공해 식품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주요 산채류인 곰취의 품질 및 수량 제고와 연중 생산을 위한 양액재배 기술을 개발하고자 이에 알맞는 배지종류, 배지량, 재식밀도 둥을 구명 하는 일련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곰취의 양액재배시 펄라이트, 모래, 팽연화(膨軟化)왕겨 등 공시한 3종의 배지 중 팽연화(膨軟化) 왕겨가 가장 생육이 양호하고 수량도 높아 적정배지로 인정 되었는데 이에 대한 특성은 기존 배지인 펄라이트에 비해 진비중(眞比重), 공극율(孔隙率)의 차이가 없으면서 액상(液相) 비율(比率)이 44.3%로 높은 등 물리성이 양호하였으며 생왕겨에 비해서는 수분흡수율이 1.5배나 높아 왕겨를 배지로 사용할 경우 문제점이었던 수분 흡수 능력도 양호하였다. 곰취의 생육단계별 체내 질소함량은 생육초기인 정식후 20일경에는 1.42%로 공시 배지중 가장 낮았으나 생육후기로 갈수록 점차 높아져 정식후 60일경에는 생육초기에 비해 2.4배나 증가되었고 3종의 배지 중 가장 높았다. 곰취의 엽진(葉辰), 엽폭(葉幅), 엽수(葉數) 등 생육은 팽연화 왕겨 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다음으로 펄라이트, 모래 순이었다. 수량은 하계 및 동계재배 공히 팽연화(膨軟化) 왕겨에서 초기 수량은 다소 낮았으나 후기로 갈수록 높아져 기존배지인 펄라이트에 비해 각각 $15\sim29%$ 증수되는 경향이었다. 2. 배지량에 따른 생육 및 수량은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경제성 및 재배의 안정성을 고려할 경우 105 $\iota/m^3$가 적정한 것으로 인정되었다. 3. 재식밀도별 수량은 밀식일수록 증수되는 경향으로 50주/$m^3$에서 가장 높아 적정재식 밀도로 판단되었는데 더 이상의 밀식은 정식작업이 불가능하였다.절편과 약에 있어서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에 대한 반응에 차이(差異)가 다소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약유래 식물체의 염색체(染色體)조사결과 대부분이 2n=34이었으며, 소수(小數) (5.4%)가 4배체이었다.(畦幅) 50cm, 주간(株間) l0cm로 재배(栽培)하는 것이 효과적(效果的)이었다.糞肥料施用)은 15%,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는 26%, 3요소 시용(施用)은 17%가 각각(各各) 증수(增收)되었으나, 특히 퇴비시용(堆肥施用)에서 31% 증수(增收)되었고, 근피중(根皮重)은 무비구(無肥區) 151kg에 비(比)하여 퇴비(堆肥), 계분(鷄糞) 비료(肥料) 시용(施用)은 $42{\sim}49%$ 증수(增收)되어 모단(牡丹) 재배시(栽培時) 화학비료(化學肥料) 시용(施用)보다는 퇴비(堆肥) 등(等)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 시용(施用)이 효고적(效果的)이었다.DS-PAGE법(法)으로 단백질(蛋白質) 양상을 등숙시기별(等熟時期別)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두 계통간(系統間) 질적(質的)인 차이(差異)는 보이지 않았으나 시기별(時期別)로는 양적차이(量的差異)를 나타냈다.間)에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다.($P{\leq}0.01%$). 5. NEL 및 starch value 환경온도(環境溫度)가 상승(上昇)됨에 따라 감소(減少)된다. 4 엽기(葉期) sorghum식물(植物)의 환경온도(環境溫度)를 달리 하였을 때 NEL가치(價値)는 각각(各各) 4.87MJ($30/25^{\circ}C$), 5.46MJ($25/20^{\circ}C$) 및 5.81MJ/kg($18/8^{\circ}C$)로 변(變)하여 고온(高溫)에서 net energy lactation 축적(蓄積)이 크게 감소(減少)되었다.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