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mash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31초

Properties of Oriental Melon Wine Developed by Utilizing Rice Wine Fermentation Method

  • Kim, Tae-Young;Kim, Sang-Bum;Kim, Jin-Sook;Lee, Sang-Ho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4호
    • /
    • pp.125-130
    • /
    • 2006
  • In order to utilize non-commercial melon as alcoholic beverage material, in this study the optimum fermentation method and manufacture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and thereafter the properties of final product were determined. As for melon wine made with only melon juice, sensorial properties, particularly flavor, were not acceptable as alcoholic beverage. To improve the lack of melon wine, we made mash with cooked rice and Nuruk, and then added melon juice during fermentation. Acceptable sensorial properties were obtained in melon wine when 30% extract juice of oriental melon was added after 4 day of fermentation. The alcoholic beverage added melon juice showed much higher yellowness value than that without melon juice indicating that a clear yellow color similar to melon was actually observed in final product. Adding melon juice led little changes in amount and composition of free sugars, organic acids and amino acids and could improve sensorial properties.

쌀가루 혼합맥주의 양조특성 및 조건 설정연구 (Brewing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 Setting of Beer Using Rice Flour)

  • 이상현;정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206-214
    • /
    • 2018
  • 본 연구는 2017년 8월부터 2018년 5월까지 수행되었으며 쌀맥주에 적합한 쌀의 첨가비율과 담금공정 및 맥주 타입을 선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쌀 첨가 비율 및 맥주 타입을 달리하여 맥주를 제조하고 품질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쌀과 맥아의 비율을 0:100(S0), 20:80(S1), 40:60(S2), 60:40(S3), 80:20(S4)로 구분하여 액화, 당화 등 담금 공정상의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담금 시 승온방식과 자비방식에 대한 특성 비교와, 맥주 타입별(라거, 에일, 밀맥주)로 효모(하면 및 상면효모)를 달리 사용하여 특성을 연구하였다. 담금 시 특성을 파악한 결과, 쌀 첨가비율을 달리하여도 정상적인 담금시간을 보였으며 요오드 테스트도 정상으로 확인되었고, 1차 맥즙의 당도가 $21.0{\sim}21.6^{\circ}Brix$로 정상적인 당화가 이루어졌다. 담금방식은 3단 자비 방식에서 맥즙의 농도, 색도 및 향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맥주의 발효기간 중 당도, pH, 효모 수는 쌀과 맥아의 비율이나 효모 종류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발효도는 정상적인 범주에 든 것으로 나타났다. 고급알코올과 에스터 역시 쌀과 맥아의 비율과는 큰 상관이 없으며 밀맥주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쌀 비율이 높을수록 색도(EBC)는 현저히 감소하였고, 고미가(BU)도 감소하였으며 기호도가 낮아졌다. 특히 쌀비율이 맥아비율보다 높을 때 기호도는 많이 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쌀비율을 맥아비율보다 적게 하고 자비방식을 이용하여 맥즙의 향미를 증진시키고, 추후 맥주 타입별로 특수맥아의 활용과 다양한 홉을 사용하여 향미를 보완한다면 고품질의 경쟁력 있는 쌀맥주를 제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벼 도정 부산물을 이용한 탁주 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Korean Takju using the By-Product of Rice Milling)

  • 정은주;백남수;김영만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9-205
    • /
    • 2004
  • 파쇄미, 색채불량미와 일반미에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혼합 밀 누룩으로 Aspergillus oryzae와 Aspergillus niger mut. kawachii를 접종하여 만든 개량누룩으로 탁주를 2단 담금한 후 발효과정 중의 품질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3.5 정도로서 잡균에 의한 오염이 방지되면서 곰팡이가 생성한 당화 효소에 의해 2일에 당화되었고, 환원당이 알코올 발효되면서 ethanol 18%로 정상적으로 알코올 발효가 진행되었다. 유기산 함량은 일반미에서 citric acid가 매우 높게 나왔다. 탁주 술덧에 함유하는 미량의 알코올로서 n-propanol, 2-methyl-1-propanol, 1-butanol, 3-methyl-1-butanol이 검출되었다. 일반미에서만 1-butanol이 정량되지 않았다. 술덧의 유리당은 파쇄미, 색채불량미에 비해 일반미에서 sucrose함량이 현저히 낮게 나왔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일반미 술덧이 단맛을 나타내는 serine, glycine, alanine과 쓴맛을 나타내는 leucine, isoleucine, phenylalanine의 함량이 낮게 나왔으며, 색채불량미와 파쇄미술덧은 이와 반대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색차기에 의한 색의 구분에서 뚜렷한 차이가 없었고, 발효후 5단계 평점법에 의해 맛, 향, 색등을 관능검사한 결과 모두 4.3 이상의 $\ulcorner$좋다$\lrcorner$로 평가되어 전통탁주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도정도에 따른 쌀의 침지 특성 및 쌀입국의 발효 특성 (Characterstics of Steeping of Rice and Fermentation of Rice Koji Depending on the Milling Degrees)

  • 이석준;공태인;정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384-5393
    • /
    • 2015
  • 본 논문의 목적은 청주의 원료인 쌀의 도정도가 고두밥 및 쌀입국 발효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쌀도정에 따른 수분흡수량 및 입국특성 등을 분석하였고 연구기간은 8개월 소요되었다. 도정을 많이 할수록 도정미의 단백질 성분구성은 지속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지질 및 회분 성분은 20% 도정시까지는 급격히 감소하다 그 이상 도정시는 서서히 감소하였다. 도정미의 침지시 도정도가 높을수록 수분흡수 속도가 빨랐으며 최대 수분흡수율도 높았고, 침지 초기에는 수온이 높을 때 수분흡수가 빨랐으나 일정시간 경과후에는 수온이 낮을 때 수분흡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최대흡수율도 높아졌다. 입국 발효 술덧의 알코올 함량은 도정도10% 입국시료가 16.3-16.9%(v/v)으로 다른 도정도 입국시료의 17.1-17.5%(v/v)인 것에 비해 낮은 알코올함량을 보였고 침지시간은 영향이 없었다. pH는 도정도 10% 입국이 다소 높았으며 그 외엔 유사하였다. 총산함량은 도정도 10%가 0.71-0.76%로 다른 도정도보다 낮은 결과를 보였고 도정도 30%인 시료가 0.93-0.9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쌀의 도정도는 쌀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고두밥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 첨가가 막걸리의 품질과 생리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ar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Makgeoly)

  • 이대형;김재호;이종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06-611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high value pear Makgeoly that possessed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ears and rice. To accomplish this,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pears on the alcohol fermentation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y were investigated. The total acidity contents were unchanged for 9 days of fermentation after the addition of pear to the mash, however, it decreased by approximately 0.13% after 9 days. Additionally, the ethanol contents increased to 16.0% after 5 days of fermentation, after which they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The residual reducing sugar and free sugar content were decreased after 7 days and 5 days of fermentation, respectively. The total acceptability was the best in the Makgeoly that contained grated pear after 10 days of fermentation. Additionally,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80% in all pear Makgeoly, but the fibrinolytic activity, SOD-like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weakened. Based on these results, Makgeoly that was brewed by the addition of 20% grated pear into the fermented broth from fermentation at $20^{\circ}$ for 10 days has the potential to become a new functional Korean traditional Makgeoly with high acceptability and antihypertensive properties.

Riboflavine 생산성국균(生産性麴菌)에 의(依)한 Riboflavin 강화(强化)된장의 제조시험(製造試驗) (A study on manufacturing of Riboflavine fortified soybean mash with an exceedingly Riboflavine productive koji mold mutant)

  • 박태준;조덕현;김호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권
    • /
    • pp.17-21
    • /
    • 1961
  • The manufacture of riboflavine fortified Dwen-Jang has been tried with an exceedingly riboflavine productive Aspergillus oryzae #612 mutant which has been developed by the authors. Both the rice and barley koji of this mutant and Aspergillus sojae have been prepared. Their riboflavine production, saccharifying and protease activities have begin compared The riboflavine fortified Dwen-Jang has been manufactured using the barley koji of riboflavine productive mutant. Their riboflavine content and qualities have been studied comparing with an ordinary Dwen-Jang which has been prepared with the barley kojo of A. sojae strain.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obtained. (1) The baley koji was superior in riboflavine production and protease activity, inferior in saccharifying ability than rice koji both with A. oryzae #612 and A. sojae. (2) In barley koji, the mutant, A. oryzae #612, produces 1.5 times riboflavine than A. sojae and shows stronger saccharifying and protease activities than the latter. (3) The riboflavine fortified Dwen-Jaug manufactured contained $5.2{\gamma}/g$ of riboflavine, about 1.5 times that of A. sojae. The higher contents of free sugar and free amjno nitrogen have been observed than the ordinary Dwen-Jang manufactured with A. sojae.

  • PDF

전통 구기자 탁주의 제조 및 품질 특성 (Manufactur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Gugija(Lycii fructus) Tagju)

  • 송정화;이지수;이은나;이승환;김재호;이종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6-91
    • /
    • 2009
  • To develop a new traditional Gugija tagju, various koji were prepared using several starch sources along with Aspergillus awamori var. kawachi, and then their effects on the quality of the tagju were investigated. Ethanol contents(11.1${\sim}$13.8%)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ugija tagju made from the various types of koji, whereas the tagju made using non-glutinous rice koji had the best total acceptability. The addition of 1% Gugija extracts into the mash increased its total acceptability and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converting inhibitory activity, and the optimal fermentation period for brewing the Gugija tagju was 10 days.

동아홍삼식초에 관한 연구 - 1 (Studies on Wax Gourd - Ginseng Vinegar)

  • 안용근;김승겸;신철승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2-58
    • /
    • 2001
  • 현미 7.5%, 엿기름 1.5%, 홍삼 3%, 에탄올 6%를 재료로 동아를 7.5% 가한 것과 가하지 않은 것을 Acetobacter aceti 3281를 가해 $25^{\circ}C$에서 150일간 초산발효시켰다. 그 결과, 동아를 가하지 않은 식초는 총 당3.3%, 환원당 1.5%, 단백질 11.5/280nm. 아미노산 2.7 $\mu$M/ml, 에탄올 0.5%, pH 3.0, 산도 4.59%, 유기산 함량5.2%를 나타냈다. 동아를 7.5%더 가해 만든 식초는 총당 2.3%, 환원당 1.1%. 단백질 10.8/280nm, 아미노산 2.1 $\mu$M/ml, 에탄올 1.2%, pH 3.1, 산도 4.61%, 유기산 함량 4.9%를 나타냈다. 5점만점 기호도 테스트에서 홍삼 식초는 3.86, 홍삼-동아 식초는 3.66을 나타냈다.

  • PDF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e)을 이용한 전통 민속주의 제조 및 생리기능성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by using Chamomile (Matricaria chamomile))

  • 이대형;김재호;김나미;이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9-113
    • /
    • 2002
  •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e)을 이용한 새로운 전통민속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알콜 발효 조건을 검토하였고 캐모마일을 각각 1%, 5%, 10%, 20% 첨가하여 발효주를 제조한 다음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기호도가 제일 높은 발효주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발효주의 생리 기능성으로 Angiotensin-converting enzyme(ACE)저해활성과 혈전용해 활성 및 전자공여능 등을 조사하였다. 20%의 캐모마일을 함유한 덧밥에 누룩을 15% 첨가하고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하여 제조한 주모를 첨가한 후 $25^{\circ}C$에서 10일간 발효시켰을 때 에탄올이 가장 많이 생성되었다. 캐모마일을 1%, 5%, 10%, 20%씩 각각 첨가하여 제조한 발효주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캐모마일을 5% 첨가하여 제조한 C-5 캐모마일 발효주가 기호도가 제일 높았고 색상도 미황색으로 우수하였다. 또한, C-5 캐모마일 발효주는 혈전용해활성과 tyrosinase 저해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활성 등이 일반 발효곡주보다 우수하였다.

전통주의 제조방법별 발효 특성 및 숙성후 품질변화 비교 (Comparison of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s Prepared by Different Brewing Methods and Their Quality Changes after Aging)

  • 김인호;박완수;구영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97-506
    • /
    • 1996
  •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quality changes of the typical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s (Kwahaju, Sokokju, Baikhaju, Samhaeju and Hosanchun) were investigated during fermentation and after aging, respectively. They were prepared by their own brewing methods with respect to the same contents of rice and Nuruk (Korean-style bran koji). The consumed total sugar content of the alcoholic beverages (Sokokju, Baikhaju, Samhaeju and Hosanchun) which were brewed with the multiple input steps of seed mash and raw material (ABMI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lcoholic beverage (Kwahaju) which was brewed with the single input step (ABSIS). The pH values of all the beverages were similar and were ranged from 3.2 to 3.6. The acidity of ABMIS were lower than that of ABSIS, but alcohol concentration of ABMIS were higher. The fermentation period of the alcoholic beverages with triple input steps was the longest among them. The inner temperature and microbial growth in all the beverages increased at each of input steps of the raw materials. Fusel oil content of ABMIS was lower than that of ABSIS. Major components of the fusel oil were iso-amyl alcohol, iso-butanol, n-propanol, ethyl acetate and acetaldehyde, and its minor components were methanol and n-butanol. The results on quality changes of the alcoholic beverages after aging showed increase of alcohol in ABMIS, but decrease of sugar and acidity. Fusel oil contents of Kwahaju and Samhaeju decreased to be ranged from 3.1% to 13.9% after aging, but those of Sokokju, Baikhaju and Hosanchun increased to be ranged from 10.9% to 23.0%. Sensory evaluation of ABMIS showed better scores than that of ABSIS. It was suggested that the brewing method with multiple input steps of seed mash and raw material was one of the methods to increase fermentation efficiency for brewing the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