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disease

검색결과 767건 처리시간 0.03초

Internet-based Information System for Agricultural Weather and Disease and Insect fast management for rice growers in Gyeonggi-do, Korea

  • S.D. Hong;W.S. Kang;S.I. Cho;Kim, J.Y.;Park, K.Y;Y.K. Han;Park, E.W.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08.2-109
    • /
    • 2003
  • The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has developed a web-site (www.epilove.com) in collaboration with EPINET to provide information on agricultural weather and rice disease and insect pest management in Gyeonggi-do. Weather information includes near real-time weather data monitored by automated weather stations (AWS) installed at rice paddy fields of 11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ATC) in Gyeonggi-do, and weekly weather forecast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Map images of hourly air temperature and rainfall are also generated at 309m x 309m resolution using hourly data obtained from AWS installed at 191 locations by KMA. Based on near real-time weather data from 11 ATC, hourly infection risks of rice blast, sheath blight, and bacterial grain rot for individual districts are estimated by disease forecasting models, BLAST, SHBLIGHT, and GRAINROT. Users can diagnose various diseases and insects of rice and find their information in detail by browsing thumbnail images of them. A database on agrochemicals is linked to the system for disease and insect diagnosis to help users search for appropriate agrochemicals to control diseases and insect pests.

  • PDF

규산 및 삼요소 시비수준이 도체내 성분함량과 도열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ilicate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Fertilizers on the Chemical Components of Rice Plants and on the Incidence of Blast Disease of Rice Caused by Pyricularia oryzae Cavara)

  • 백수봉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97-109
    • /
    • 1975
  • 수도 도열병의 종합적 방제체계 확립의 일환으로서 합리적인 비료 시용에 의한 효과적 방제 가능성을 알고다 규산, 질소, 인산 및 가리 등 여러 비료를 시용하여 이들이 도체내 성분함량과 도열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나아가 수도품종 및 균주간의 상호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1971년과 1973년에 수도묘에 도열병균을 인공접종 및 자연발병시켜 실험을 실시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규산을 시용하면 수도 엽신내 규산함량은 크게 증가하고 전당함량과 가리함량도 증가하나 전질소 및 인산함량은 감소되었다. 2) 규산의 시용으로 도체내 C/N 율과 $SiO_2/N$율 및 $K_2O/N$율은 향상되었으며 이들과 도열병 발병지수와는 고도의 부의 상관이 있었다. 3) 규산시용으로 도열병 발병지수는 저하되었다. 4) 도체내 규산함량은 질소질비료를 과용하면 감소되고 전질소함량은 증가되며 전당함량은 감소하여 도열병 저항성을 크게 저하시켰다. 5) 규산함량은 인산질비료를 많이 시용하거나 도체내 인산함량이 증가하면 감소되어 도열병에 대한 저항성을 저하시켰다. 6) 가리질비료를 다시용하면 규산함량은 증가되었고 전질소함량은 감소되었으며 $K_2O/N$율은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가리함량이 비교적 낮은 상태에서는 도열병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었으나 비교적 높은 수준에서는 도열병에 대한 저항성과 유의적인 상관이 보이지 않았다. 7) 도열병 발병지수는 공시된 균주범위내에서 진흥이 적었고 풍옥이 가장 컸으며 풍광 팔달은 비슷한 정도였다. 도열병균의 병원성은 $P_1,\;P_2,\;and\;P_3$의 순으로 강하였으나 풍옥에 있어서는 일정한 경향을 찾아볼 수 없었다. 엽위별로는 5-6엽기의 묘에서 상위 제2엽이 발병이 많았고 제1엽과 제3엽은 비슷한 정도였다.품종이기 때문인 것 같다. (4) 벼의 수량은 무처리 5,814kg/ha에 비하여 Carbofuran 6,649kg, Cytrolane 6,340kg, BPMC 6,315kg, Chlorphenamidine 6,265kg, Cartap 6,164kg, Diazinon 5,944kg, Diazinon 입제 수면시용 6,102kg로서 Carbofuran 처리구에서 벼의 수량이 가장 높았다. (5) Carbofuran 처리구에서 높은 수량을 보인 것은 Carbofuran 처리구에서 멸구, 매미충류의 밀도가 낮았고 오갈병의 발병율이 낮은데서 온 결과인 것 같다.화안정성은 없었다. 포말성은 87.5$\pm$$2.5\%$였고 용해도는 산성영역 (pH 2와 4)에서 약 83$\~$$84\%$로 높았으나 pH 6이상에서는 44$\~$$50\%$로 낮았다. 보였다.이 한국어와는 다른 것이라거나, 한국어 음성학을 공부하지 않고 한국어를 연구할 수 있다는 뜻은 아닙니다. 의학에도 분야마다 전문의가 있듯이, 언어학도 이제 복잡하고 광범한 학문이 되었으므로 분야별로 전문가가 나오게 된 것뿐입니다. 따라서 "나는 통사론에 관심이 있으므로 소리말에는 관심이 없다"고 말하는 언어학자가 있다면, 이 것은 크게 잘못된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나는 소리에만 관심이 있으므로 통사론에는 관심이 없다"고 말하는 음성학자가 있다면, 이 또한 안되는 일입니다. 문의 구성과 어휘 요소와 아무 관련이 없는 말소리의 차이가 무슨 소용이 있으며, 통사 구조를 표현하고 저달하는 말소리를 연구하지 않고 어떻게 통사론을 연구할 수 있겠습니까? 다시 간추리면, 언어는 본질적으로 소리말이고, 언어의 특성과 사용 및 습득도 모두 소리말 형태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영국의 대학은

  • PDF

Screening and Application of Bacillus Strains Isolated from Nonrhizospheric Rice Soil for the Biocontrol of Rice Blast

  • Sha, Yuexia;Zeng, Qingchao;Sui, Shuti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6권3호
    • /
    • pp.231-243
    • /
    • 2020
  • Rice blast, caused by Magnaporthe oryzae, is one of the most destructive rice diseases worldwid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creen bacterial isolates to efficiently prevent the occurrence of rice blast. A total of 232 bacterial isolates were extracted from nonrhizospheric rice soil and were screened for antifungal activity against M. oryzae using a leaf segment assay. Strains S170 and S9 showed significant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M. oryzae in vitro and in leaf disk assays, and controlled M. oryzae infection under greenhouse condi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strains S170 and S9 could effectively control rice leaf blast and panicle neck blast after five spray treatments in field. This suggested that the bacterial strains S170 and S9 were valuable and promising for the biocontrol of rice disease caused by M. oryzae. Based on 16S rDNA, and gyrA and gyrB gene sequence analyses, S170 and S9 were identified as Bacillus amyloliquefaciens and B. pumilus, respectively. The research also demonstrated that B. amyloliquefaciens S170 and B. pumilus S9 could colonize rice plants to prevent pathogenic infection and evidently suppressed plant disease caused by 11 other plant pathogenic fungi. This is the first study to demonstrate that B. amyloliquefaciens and B. pumilus isolated from nonrhizospheric rice soil are capable of recolonizing internal rice stem tissues.

Microbial Population, Aflatoxin Contamination and Predominant Aspergillus Species in Korean Stored Rice

  • Oh, Ji-Yeon;Sang, Mee-Kyung;Oh, Jee-Eun;Lee, Ho-Joung;Ryoo, Mun-Il;Kim, Ki-De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6권2호
    • /
    • pp.121-129
    • /
    • 2010
  • We evaluated microbial populations and aflatoxin production in unhulled and white rice from rice processing complexes of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in five regions in Korea and identified three predominant Aspergillus species. Fungal and bacterial populations in rice samp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regions in 2007. Aflatoxins were also detected and varied at the levels of 2.45 - 3.43 ng per g unhulled rice grain and 1.29 - 2.09 ng per g white rice grain. Unhulled rice generally detected higher level of aflatoxins than white rice regardless of sampling region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nseong and Cheonan in 2005 and Cheonan and Gimpo in 2007. Aflatoxin production between sampling regions was not different regardless of rice type and sampling year. Although the fungal diversity was highly distinct from region to region, three Aspergillus isolates were predominant in the rice samples; thus, representative isolates AC317, AF57, and AF8 were selected and identified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Consequently, isolates AC317, AF57, and AF8 were identified as A. candidus, A. flavus, and A. fumigatus, respectively. These fungi can produce mycotoxins that are harmful for consumers and thus it is important to detect and reduce the population of storage fungi in rice.

기후변화에 따른 주요 벼 병해충에 의한 벼 생산의 취약성평가 (Vulnerability Assessment of Rice Production by Main Disease and Pest of Rice Plant to Climate Change)

  • 김명현;방혜선;나영은;김미란;오영주;강기경;조광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47-157
    • /
    • 2013
  • Rice is a main crop and rice field is the most important farmland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the methodology assessing impact and vulnerability on rice production by climate change at the regional and national level in Korea. We evaluated a vulnerability of rice paddy according to the outbreak of a main disease and pest of a rice plant. As results, Jeju-do, Gyeongsangnam-do, and Jeollanam-do were more vulnerable area than others. In contrast, the southern central region including Gyeonggi-do was less vulnerable than others. The vulnerable index was significantly higher in 2050s (0.5589) than in present (0.3500). This result showed that the vulnerable to the disease and pest enlarge in the future. The adaptive capacity highly contributed to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index. The daily maximum temperature of June and the daily average temperature from May to August also contributed the climate exposure index. The area of occurring sheath blight, rice leaf blast and striped rice borer was related to the system sensitivity index. The ability of water supply (readjustment area of arable land per paddy field area) and rice production technique (rice yield per hectare) were the highly contributed variables to the adaption capacity index.

리보플라빈을 함유한 바이오닥터TM 처리에 따른 벼 도열병과 흰잎마름병 억제효과 (Riboflavin-based BioDoctorTM Induced Disease Resistance against Rice Blast and Bacterial Leaf Blight Diseases)

  • 강범용;한송희;김철홍;김영철
    • 식물병연구
    • /
    • 제22권3호
    • /
    • pp.202-207
    • /
    • 2016
  • 쌀은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작물 중의 하나이지만 충분한 비타민을 제공하지 않고, 벼 도열병과 흰잎마름병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피해를 주고 있는 병해이다. 리보플라빈, 비타민 B2는 인간의 건강에 필수적인 영양소이며, 식물의 병원균에 대한 식물의 방어 활성화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BioDoctor (Hyunnong Co., Ltd., Gokseong, Korea)라는 리보플라빈 기반 제품을 벼에 경엽살포했을 때, 주요 병해에 대한 저항성 유도 및 벼 체내에 비타민 함량이 증가되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온실검정에서 BioDoctor 제품 500배와 1,000배로 희석하여 경엽처리 결과 벼 도열병과 흰잎마름병에 대해 현저한 병 저항성을 유도하였다. 또한, BioDoctor를 처리한 알곡과 잎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리보플라빈 함량이 검출되었다. 본 연구는 비타민인 리보플라빈이 함유된 BioDoctor가 벼 도열병과 흰잎마름병에 대해 병 저항성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쌀 곡류 내에 비타민 함량을 증가시키는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접종원으로부터 벼 도열병 확산의 경사 (Disease Dispersal Gradients of Rice Blast from a Point Source)

  • 김충회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1-136
    • /
    • 1987
  • 벼 품종 Brazos와 M-201의 도열병에 대한 단위시간당 감염속도와 점접종원으로 부터의 단위 거리당 확산경사는 밭논과 물논의 두 재배조건에 따라 크게 달랐다. 물논재배는 도열병의 감염속도를 늦추고 확산경사를 완만하게 하였다. 점접종원으로부터 거리별로 4지점에서 측정된 도열병의 감염속도는 거리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지만 점접종원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빨라지는 경향이었다. 품종별 감염속도는 Brazos보다 더 이병성인 M-201 품종에서 높았고 확산경사도 M-201 품종에서 가파른 경향이었다. 그러나 도열병이 진전함에 따라 생성된 이차전염원 때문에 도열병 확산경사는 두 품종에서 모두 완만해졌다. 조사된 확산형사의 두 경험적 모델 중에서 Kiyosawa와 Shiyomi 모델이 Gregory 모델에 비하여 통계적 적합성이 높았다. 밭상태에서 단위시간당 도열병 isopaths 이동거리는 Brazos와 M-201 품종에서 각각 0.2m/일와 0.4m/일로 측정하였다. 이상의 결과, 도열병에 대한 품종저항성의 차이는 감염속도뿐만 아니라 확산경사의 측정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벼 품종의 잎집무늬마름병 저항성연구 IV. 발병정도와 수량감소률의 품종간 차이 (Studies on Varietal Resistance to Sheath Blight Disease in Rice IV. Varietal Difference in Disease Severity and Grain Yield Loss)

  • 김광호;이상복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4-22
    • /
    • 1989
  •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하여 저항성반응이 다른 품종을 시험하여 병균접종구, 자연구 및 약제방제구를 두어 병 발생에 의한 수량감소률의 품종간 차이를 2년간에 걸쳐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험한 품종 중에서 가야벼는 병균접종구나 자연구에서의 발병정도가 가장 낮았으며 태백벼, 관악벼 및 Labelle은 균발생이 심하였고, 약제방제구에서는 병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2. 중반저항성품종인 가야벼는 2년간에 걸쳐 병균접종구 및 자연구에서의 수량감소률이 0.3∼5%로 공시품종 중에서 가장 낮았으며 이병성품종인 태백벼는 6.8∼25.8%로 가장 높았고 관아벼와 Labelle도 각각 10%내외의 수량감소률을 보였다. 3. 시험품종의 저항성정도에 관계없이 동일한 품종내에서 잎집무늬마름병의 병반이 지엽까지 진전된 분얼경에서는 등숙비육과 정조천립중이 감소하여 건전경에 비하여 이삭무게가 25%이상 감소하였다. 4.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하여 상위엽으로의 병반진전이 더디게 되었기 때문에 수량감소율이 낮았다.

  • PDF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우리나라의 벼 도열병 발생 개황 분석 (Analysis of Rice Blast Outbreaks in Korea through Text Mining)

  • 송성민;정현정;김광형;김기태
    • 식물병연구
    • /
    • 제28권3호
    • /
    • pp.113-121
    • /
    • 2022
  • 벼 도열병은 전 세계적으로 발병하여 쌀 수확량을 크게 감소시키는 주요 식물병이다. 벼 도열병은 한국에서도 주기적으로 대발생하여 사회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입힌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병 발생 예찰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병 발생에 대한 역학 조사는 식물병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을 내릴 때 도움을 줄 수 있다. 현재 도열병 예찰 및 역학 조사는 주로 작물의 생육량, 기상 환경 요인 등 정량적으로 측정 가능한 정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행되고 있다. 정형 데이터와 함께 도열병 발생과 관련한 텍스트 자료들도 많이 축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정형 데이터를 이용한 역학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한다면 도열병을 포함한 앞으로의 식물병 관리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도열병 관련 뉴스 기사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에서 벼 도열병이 다발생한 연도와 지역을 조사하였고, 해당 지역의 평균 기온, 합계 강수량, 일조시간, 공급된 벼 품종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2020년 평년에 비해 낮은 기온과 일조시간 및 높은 강수량이 전국적인 도열병 다발생의 원인에 기여했고, 2021년 전라북도와 경상북도 일부 지역의 다발생은 비슷한 기상학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더하여 같은 벼 품종의 연작에 의한 도열병 다발생 가능성과 질소 비료의 시비량이 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쏟아지는 정보의 홍수속에서 관련 기사를 종합적으로 보기 어렵다. 따라서,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얻은 결과로 특정 키워드들이 많이 관찰될 때 적극적 방제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될 필요가 있다. 이는 추후 딥러닝 기술과 접목되어 벼 도열병 역학 조사 도구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얻은 유의미한 정보를 기존의 정형 데이터 기반의 모델과 결합한다면 농업현장에서 병발생 예측 또는 방제기술 개선에 필요한 고품질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벼오갈병의 발생 및 병원바이러스의 월동에 대하여 (Disease Occurrence and Overwintering of Rice Dwarf Virus)

  • 이기운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7-21
    • /
    • 1986
  • 현재 벼오갈병의 발생한계지역인 울진에서 바이러스 보독 끝동매미충의 약충이 포장상태에서 월동할 수 없었다. 매개충의 발생소장과 벼오갈병 발병과의 관계를 보면, 매채충은 년 5회, 발병은 년 3회의 최성기를 나타내었고, 월동세대의 성충, 2세대약충 및 3세대의 약충이 주로 바이러스 전염의 요인이 되었다. 상습발병지의 밀양 30호 재배포장에서 재생병에 $22.4\~26.8\%$의 발병주율을 나타냈으며, 월동에 들어갈 약충이 $11\~30$일간 재생이병주를 흡즙한 결과 이듬해의 바이러스 보독월동충율이 $13.0\~18.2\%$나 되었다. 벼오갈병에 감염된 추파 보리는 월동 생존할 수 없어, 감염식물에서의 월동이 불가능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