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cooking

검색결과 621건 처리시간 0.03초

Premix 감인절미 제조 및 표준 Recipe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paration and the Standard Recipe of Premixed Gam-Injulmi Rice Cake)

  • 김경자;오옥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7-55
    • /
    • 1997
  • This study aims to know what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Korean traditional rice cake injulmi made from persimmon powder and glutinous rice(powder), and to come up with a standard recipe of it with the premixed powder of persimmon and glutinous rice. Cooked rice powder with 9 different levels of persimmon in cooling dough(75, 100 and 150${\mu}{\textrm}{m}$ power with each 20, 40, and 60%) was tested for rheological parameters, the rate of swelling, degree of gelatinization, sensory evaluation, and the observation of cross section used to electronmicroscope. 1. sensory evaluation conducted by 20 university students as panelists showed that mixed glutinous rice powder and persimmon powder lost their regular forms. increase in persimmon powder content increased a thin layer of starch granule, presumably due to sugar and fiber in the mixed persimmon powder granule. 3. In cooking the rice cake with 20~60% of persimmon, it showed 6.3 to 5.5 pH. 4. Quantitative description analysis conducted by 20 university student s panelists showed that sample that sample C was preferred among 9 samples.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glutinous rice cake cooked with 20% of persimmon powder was quiet acceptable. Optimum cooking condition for the glutinous rice with persimmon powder rice cake was 30min of cooking time and 25$0^{\circ}C$ of cooking temperature with gas oven.

  • PDF

셀룰로오스 에테르 첨가 쌀 면의 조리 특성 (Cooking Characteristics of Rice Noodles with Added Cellulose Ethers Based on Rheological and Turbidity Measurements)

  • 엄인철;유영진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2권2호
    • /
    • pp.85-89
    • /
    • 2014
  •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분자량, 첨가량, 치환도 및 치환체 종류, 물 양이 쌀면의 조리특성에 주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자외선 가시광선 분광분석기를 이용하여 조리 후 쌀면 국물 탁도 를 측정하고 유변물성 측정기를 이용하여 쌀면의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HPMC의 분자량 및 물 양이 증가할수록 국물의 탁도가 감소하여 조리 시 쌀면의 형태안정성이 향상되었고, 셀룰로오스 에테르 첨가량, 치환체 종류, 치환도에 따라 탁도 값이 변화하여, 이들 인자 모두가 쌀면의 형태안정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들 인자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경우, 밀면을 조리한 국물의 탁도보다 낮은 탁도값이 얻어져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첨가에 따라 조리 시 쌀면의 형태안정성이 크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유변물성 측정기를 이용한 쌀면의 압축특성 측정은 조리시간에 따른 쌀면의 호화정도 및 변화하는 조직감을 살펴보는 데 효과적이였으며, 물 양 및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분자량이 다른 인자들에 비하여 조리시간 별 쌀면의 호화특성 및 조직감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Extrusion Cooking처리가 미당(米糖)에 함유하는 비타민의 잔존율에 미치는 영향 (Vitamin Retention in Rice Bran during Extrusion Cooking)

  • 김복남;최홍식;이규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87-191
    • /
    • 1986
  • 미강(쌀겨)의 유지, 단백질 및 vitamin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로서, 미강(수분함량 9.5% 및 15. 6%)을 extrusion cooking 처리장치로서 주어진 specific dower consumption ($42.1{\sim}67.9w/kg$범위)extrusion temperature ($99{\sim}135^{\circ}C$범위) 조건에서 extrusion cooking하여, 미강이 함유하고 있는 thiamine, riboflavin 및 niacin의 잔동율에 관하여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미강에 함유되어 있는 thiamine, riboflavin 및 niacin의 잔존율은 extrusion cooking 처리시의 원료수분함량에 영향을 받으며, 수분함량이 많으면 적은 specific power consumption 및 낮은 extrusion temperature에서도 이들 vitamin의 파괴현상이 더 일어난다. 동등한 수분함량의 원료미강을 extrusion cooking 처리할 때, specific power consumption이 커질수록 그리고 extrusion temperature가 높을수록 이들 vitamin의 잔존율이 저하된다. 그리고 전extrusion cooking 조건에서 thiamine은 $89.9{\sim}97.0%$, riboflavin은 $83.4{\sim}97.3%$, niacin은 94.0%. riboflavin은 $83.4%{\sim}97.3%$ 그리고 niacin은 $94.0{\sim}97.7%$의 잔존율을 보이므로써, 전반적으로 순간고온압출공정인 extrusion cooking이. 가열처리보다 높은 vitamin 잔존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 PDF

반응 표면 분석방법을 이용한 쌀 압출 성형물 제조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for Extrusion Cooking Conditions of Rice Extrudate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이상현;김창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7-143
    • /
    • 1994
  • To optimize extrusion cooking condition of single screw extuder for production of puffed rice extrudat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moisture content, barrel temperature and screw speed were determined from contour maps, showing relationship between dependent (hardness, expansion ratio, water absorption index, water solubility Index, degree of gelatinization) and independent variables. Optimum operational conditions for production of puffed rice extrudate with suitable quality properties were moisture content 17%, barrel temperature 1$25^{\circ}C$ and screw speed 210 rpm, respectively.

  • PDF

재가열에 따른 벼 품종별 밥의 물리적 품질 특성 (Characterization of Physical Quality of Rice based on Reheating Process)

  • 김현주;우관식;이석기;이병원;이지혜;이유영;이병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60-765
    • /
    • 2018
  • In order to observe physical properties of rice depending on reheating, the study cooked rice developed for high quality cooked rice and analyzed physical properties of rice depending on reheating following 24 hr refrigeration. As a result of palatability of cooked rice, Samgkwang had the lowest hardness, while Daebo and Haiami had the highest one. With respect to adhesiveness, toughness and stickiness, Sindongjin exhibited lowest properties. After cooking each rice by cultivars, the study observed their color, texture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immediately after cooking, after 24 hr of refrigeration and further on. Lightness of cooked rice tended to drop because of refrigeration and reheating. Analysis of texture properties after cooking revealed that Haiami marked the highest points in all categories. When stored for 24 hr after cooking, hardness, viscosity and chewiness increased in cooked rice followed by a decrease after reheating. Observation of the microstructure of cooked rice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revealed that Haiami had its particles in the center as closely condensed. It was apparent that all the cultivars formed stoma in an obvious manner because of refrigeration and reheating.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 that physical properties of cooked rice varied according to reheating after cooking and storage depending on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rice cultivars.

취반(炊飯)중 쌀성분(成分)의 화학적(化學的) 변화(變化) 및 휘발성(揮發性) Carbonyl 성분(成分)의 생성(生成) (Chemical Changes and Volatile Carbonyl Formation Occurred in Rice during Cooking Process)

  • 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1-66
    • /
    • 1985
  • 취반(炊飯) 중의 가열반응(加熱反應)에 의하여 일어나는 주요 쌀성분(成分)의 화학적(化學的) 변화(變化) 및 휘발성(揮發性) carbonyl 화합물(化合物)의 생성(生成) 양상(樣相)을 쌀밥 및 누른밥으로 나누어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취반에 의한 가열반응(加熱反應) 결과 총(總)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 중의 몇 가지 아미노산이 감소되었으며 그 감소율은 유리아미노산에서 더 높았고, 환원당 역시 감소되었다. 또한 유지획분에 있어서 구성지방산 조성(組成)의 경미한 변화, 요오드가(價)의 감소, 지방산(價)의 증가 등을 주목할 수 있었다. 한편 휘발성향기성분에서 carbonyl 화합물을 분리하여 GC, GC-MS, TLC 방법에 따라 잠정적으로 8개의 carbonyls을 확인하였고(4개는 완전히 동정(同定)함) 이들의 조성을 비교하였다. 전반적으로 쌀밥보다는 누른밥에서 이와 같은 화학적 변화가 심하였고 쌀밥과 누른밥의 주요 휘발성 carbonyl 화합물 조성도 상이(相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취반과정에서는 변화와 관련되는 가열반응(加熱反應) mechanism을 아울러 검토하였다.

  • PDF

취반 후 단시간 경과에 의한 쌀밥의 조직감 변화 연구 (Study on texture change of cooked rice within a short time after cooking)

  • 신선화;최원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10-315
    • /
    • 2020
  • 4개 상표의 즉석 쌀밥을 이용하여, 취반 후 30분 이내(0, 5, 10, 20, 30분)의 조직감 변화를 탐침이동 속도(0.5, 1 mm/s) 및 변형률(30, 70%)을 달리하면서 TPA방법으로 경도, 점착성, 응집성, 씹힘성 및 탄성 항목에 대해 측정하였다. 쌀밥의 조직감은 응집성, 점착성 및 씹힘성의 경우 취반 후 20-30분 경과 시, 취반 직후 시료와 비교하여 유의적 차이가 다수 발생하였으며, 특히 점착성은 취반 후 10분 경과 때부터 유의적 차이가 일부에서 나타난 반면에 탄성은 30분 경과 때에도 유의적 차이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쌀밥의 조직감을 측정할 경우 가급적 취반 후 10-20분 이내에 측정하는 것이 변화되지 않은 원래 쌀밥의 조직감 측정을 위해 바람직하다 하겠다.

도정도별 쌀의 취반에 대한 역학적 연구 (Kinetic Studies on Cooking of Rice of Various Polishing Degrees)

  • 최홍식;김성곤;변유량;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2-56
    • /
    • 1978
  • 쌀의 취반에 대한 기작을 아끼바레(도정도,50%,70% 및 90%)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취반(취반온도 $90^{\circ}-120^{\circ}C$)후 밥알의 hardness는 Texturometer로 측정하였다. 취반속도는 1차 반응의 식으로 표시될 수 있었으며, 취반온도 $90^{\circ}-120^{\circ}C$사이의 온도 계수는 2 이었다. 취반의 활성화 에너지는 $100^{\circ}C$이하에서는 약 17,000cal/mole, $100^{\circ}C$ 이상에서는 약 9,000cal/mole이었다. 쌀의 도정도 및 쌀의 취반전 침지시간은 활성화 에너지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반응속도 상수는 도정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고 취반시간은 반대로 감소하였다. 쌀의 취반과정은 다음의 두 기작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즉 취반온도는 $100^{\circ}C$이하에서는 쌀의 성분 및 물에 의한 화학반응이, 취반온도 $100^{\circ}C$이상에서는 취반된 부분으로부터 취반되지 않은 부분(즉 반응이 진행되고 있는 부분)으로의 물의 확산속도가 취반속도를 제한하였다.

  • PDF

현미와 백미의 저장중 이화학적 성질의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own and Milled Rices during Storage)

  • 조은자;김성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1호
    • /
    • pp.24-33
    • /
    • 1990
  • 현미와 백미의 조리특성, 색도와 호화특성의 변화를 비교조사하였다. 현미와 백미를 $4^{\circ}$$25^{\circ}C$에 각각 5개월과 3개월간 저장했을 때, 침지온도 $30^{\circ}$에서의 수분흡수속도 상수 값은 백미가 현미보다 약 2.5배 높았고, 저장시간에 따라 직선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그 정도는 현미 보다 백미가 컸다. 부피증가속도 상수 값도 수분흡수 속도 상수값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백미의 취반속도는 현미보다 1.8배 빨랐으며, 취반속도상수 값은 저장중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 취반 완료점은 현미가 백미보다 2배 늦었고, 저장 완료후 취반시간은 현미는 8분, 백미는 7분 정도 늦어졌다. 현미립의 색도는 저장에 따라 L값(명도)이 증가하였으나, 백미립은 변화가 없었다. 아밀로그라피에 의한 현미와 백미가루의 초기 호화온도는 변화가 없었으나, 호화점도는 저장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4^{\circ}$의 경우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저장중 쌀가루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기에 의한 호화온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호화 엔탈피는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현미와 백미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 PDF

쌀 세척 및 취반 방법에 따른 isoprothiolane의 감소 효과 (Reduction effects of isoprothiolane during rice washing and cooking)

  • 김명헌;조미현;안소은;임무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72-482
    • /
    • 2023
  • 본 연구는 쌀의 세척 및 취반 방법에 따른 isoprothiolane 잔류량을 GC-µEC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세척 전 현미 잔류량은 17.03 mg/kg이었으며, 도정 후 백미는 1.67 mg/kg이었다. 세척 방법에서 물의 비율과 세척 횟수에 따라 현미와 백미의 isoprothiolane 잔류량은 19.3-59.3 및 43.1-66.5%이었으며, 세척물 온도가 5-40℃ 증가할수록 현미는 56.6-63.1%, 백미는 67.1-74.9% 감소하였다. 세척 방법을 손으로 살살 휘젓거나 비비는 방법으로(A, B 및 C)로 달리하였을 때 현미의 농약 감소율은 63.1-71.6%, 백미는 75.4-87.4%이었다. 현미를 압력밥솥과 전기밥솥을 이용하여 즉시 취반하였을 때 농약은 78.4 및 78.5%, 백미의 경우 94.0 및 94.0%로 감소하였으며, 30분간 불린 후 취반하였을 때 잔류농약은 현미에서 83.4%, 백미는 95.8% 감소하였다. 따라서 현미와 백미의 잔류농약 감소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세척 및 취반 방법은 40℃ 물, 7배 물로 6회 (2, 3회 차는 손으로 비벼서 세척) 세척 후 30분간 물에 불리기이다. 밥솥의 종류에 관계없이 취반할 경우 현미는 평균 83.4%, 백미는 95.8% isoprothiolane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