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bran

검색결과 882건 처리시간 0.034초

김치양념과 유기산을 이용한 소형 적색육어 조미숙성제품 개발 2. 꽁치 조미숙성제품의 관능적 품질평가 (Development of Conditioning for Small Red Muscle Fish Using Kimchi Seasoning Ingredients and Organic acids 2. Sensory Evaluation in Conditioned Saury with Kimchi Seasoning and organic acids)

  • 임영선;정인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15-319
    • /
    • 2001
  • 소형 적색육어 중 꽁치, Cololabis saira를 김치와 같은 산성의 조미양념에 담금$\cdot$숙성하여 어육 및 등뼈의 연화와 잔뼈의 감소를 통해 whole 상태로 어린이도 뼈에 대해 아무런 걱정 없이 식용할 수 있도록 기호성이 있는 새로운 가공품을 제조하였다. 마른간 제품에 비해 물간 제품은 숙성 중 신맛, 부패취 및 조직의 과도한 연화로 인해 관능적 품질변화가 나빠졌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조리 후에도 여전히 남아있어 조미숙성제품 제조시 염 첨가방법은 마른간이 적합하였고, 구운 제품이 자숙한 제품에 비해 육즙의 유출량이 적은 관계로 모든 항목에서 관능적 기호도가 높아 조리법은 구이법이 적합하였다. 숙성 60일 후 물간 제품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histidine, leucine, glutamic acid, alanine, valine 등으로 나타났으며, 미강 첨가유무에 관계없이 마른간 제품에서는 histidine, glutamic acid, arginine, leucine, alanine 등으로 나타나 염첨가방법에 따른 유리아미노산 조성의 차이를 보였다. 마른간을 하고 미강을 첨가한 제품은 첨가하지 않은 제품에 비해 색택, 맛, 조직감이 향상되어 관능적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유리아미노산 총량, 정미성 아미노산 함량, 잔뼈의 감소 및 등뼈 강도의 연화 개선 능도 첨가하지 않은 제품보다 높아 조미숙성제품 제조시 마른 간을 하고 미강을 첨가하는 것이 저이용 자원의 활용 측면에서 상업적 제품화가 기대된다.

  • PDF

음식물 소멸기에서 발생하는 응축폐수의 Polyethylene 침지형 중공사막을 이용한 처리 특성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the Condensed Wastewater Resulting from Food Waste Disposal using a Submerged Polyethylene Hollow Fiber Membrane)

  • 유재상;전태봉;김진호;정건용
    • 멤브레인
    • /
    • 제20권2호
    • /
    • pp.127-134
    • /
    • 2010
  • 연구는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소멸기에서 미생물에 의해 발효하여 유기물을 감량화하고, 음식물 발효시 발생되는 가스를 냉각기에서 기체와 수분으로 분리하여 기체는 반응기로 다시 보내고 수분은 응축하여 침지식 MF 중공사 분리막이 장착된 MBR 시스템에 적용하여 처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주)바이오하이테크에서 제작한 음식물 소멸기와 수처리 장치에 침지식 MF 중공사 모듈을 설치하여 90일간 H연구소 직원식당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연속 투입하여 처리하였다. 음식물 소멸기 초기 Seeding를 위하여 수분조절제로 미강, 왕겨, 톱밥을 305 kg 투입하였고 음식물은 운전기간동안 1,648 kg투입하였고 응축폐수는 1,600 L 발생되었다. 음식물 소멸기 운전 종료 후 배출된 발효 부산물은 386 kg으로 감량율은 약 80%로 조사되었다. 침지식 MF 중공사 분리막 모듈을 응축폐수의 MBR 시스템에 적용하여 유기물 처리한 결과 제거율은 각각 BOD 99.9%, COD 97.5%, SS 98.6%, T-N 54.6%, T-P 34.7%였으며, 총대장균은 100%가 제거되었다.

대두를 이용한 Lovastatin 대량생산용 Seed Culture의 제조기술 (Development of Seed Culture Using Soybean for Mass Production of Lovastatin with Aspergillus terreus ATCC 20542 Mutant)

  • 김수정;고희선;김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66-670
    • /
    • 2008
  • 본 연구는 Asp. terreus ATCC 20542 변이주로부터 lovastatin 생산용 seed culture의 대량제조를 위한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배양체의 선발, 분석 및 최적 배양용기를 검토한 결과 대두를 이용하여 petri dish(${\phi}150{\times}20mm$)에 배양하였을 때 lovastatin의 생산성이 우수하였다. 포자의 발아 촉진을 위하여 대두에 Asp. terreus를 접종한 다음 열처리를 달리하여, 각 전배양체를 미강에 본배양하였다. 본배양액을 추출한 후 HPLC를 이용하여 lovastatin 생산량을 검토한 결과 $30^{\circ}C$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한 전배양체가 본배양 12일째에 가장 높은 lovastatin 생산성을 보이며, in vitro assay 결과, 대두를 $30^{\circ}C$에서 1시간 열처리하여 본배양하였을 경우에 HMG-CoA reductase가 82%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의 포자현탁액 접종법보다 대두를 이용한 방법이 더욱 높은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 및 배양시간의 단축성을 보여 산업화에 유리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두부비지의 버섯 폐배지 대체 수준이 발효사료의 영양소 함량, 미생물 성상 및 반추위 내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placing Mushroom By-product with Tofu By-product on the Chemical Composition, Microbes, and Rumen Fermentation Indices of Fermented Diets)

  • 주영호;정희한;김동현;이혁준;이성신;김상범;김삼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51-659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replacing Mushroom By-Product (MBP) with Tofu By-Product (TBP) on the chemical composition, microbes, and rumen fermentation indices of Fermented Diets (FDs). The basal diet was formulated using MBP, TBP, rice bran, molasses, and inoculants. The MBP in the basal diet was replaced with TBP at 0, 5, and 10% on Dry Matter (DM) basis for the experimental diets.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ermented at $39^{\circ}C$ for 144 h. Chemical composition, pH, microbes, and rumen fermentation indices of the FDs were analyzed. With increasing TBP replacement, crude protein content of FDs increased (L, P < 0.001), whereas crude ash content decreased (L, P = 0.002). Lactic acid bacteria and Bacillus subtilis contents in the TBP-replaced FD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P < 0.05), whereas pH level and mold count were lower (P < 0.05). With increasing TBP replacement, in vitro rumen digestibility of DM (L, P = 0.053) and neutral detergent fiber (L, P = 0.024) increased, wheres rumen pH changed (P = 0.026) quadratically. Rumen total volatile fatty acid (L, P = 0.001) and iso-butyrate contents (Q, P = 0.003) increased with increasing TBP replace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replacement of MBP with TBP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FD.

숯검은밤나방(Agrotis tokionis B.) 유충개체군의 밀도추정방법 및 유충밀도와 연초감수량의 관계 (Sampling Methods for the 'dark grey cutworm' (Agrotis tokionis B.) Larval Population and Effect of its Larval Density on Tobacco Yield)

  • 김상석;부경생;강여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17-222
    • /
    • 1981
  • 연초의 본포초기해충인 숯검은밤나방 유충의 경제적 피해수준 밀도를 정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연초이식전 포장내 유충밀도를 확정하기 위한 표본추출방법과 유충밀도와 연초감수량(품종 : Hicks)의 관계에 관하여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사과찌꺼기, 쌀겨 및 토끼풀더미의 표본추출방법중에서 토끼풀더미가 비교적 높은 표본추출효율을 보였으며 토끼풀더미는 유충의 령기와 실험시기에 따라 $12.5\~18.0\%$의 표본추출효율을 보였다. 2. 포장내잡초의 유${\cdot}$무에 따라 표본추출효율은 차이가 있으며 $5\~6$령충을 공시했을 때 잡초가 없는 상태에서는 $18\%$, 잡초가 있는 상태에서는 $11.8\%$의 표본추출효율을 보였다. 3. 숯검은밤나방 유충밀도(X)와 피해율(D)의 관계는 $D=3.48+1.15X(r=0.9^{**})$였으며 피해율은 액아의 생장과 결주에 따른 연초개체군의 보상결과를 감안하여 보상피해율(D')을 구하였으며 $D'=0.544D(r=0.97^{**})$의 치선회귀관계를 보였다. 4. 보상피해율(D')과 감사량(Y; kg/10a)의 관계는 $Y=2.219D'(r=0.88^{**})$였다. 5. 관측치만 이용한 접종충밀도와 감수량의 관계 (Y=2.68X) 보다는 피해율 및 보상피해율을 대입하여 얻은 추정회귀식(Y=4.2+1.38X)이 실측치에 더적합하였다.

  • PDF

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한 식물성 유지내 유리 지방산의 신속한 스크리닝 (Rapid Gas Chromatographic Screening of Vegetable Oils for Free Fatty Acids)

  • 김정한;김경례;채정영;오창환;박형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73-378
    • /
    • 1993
  • 식물성 유지에 존재하는 유리지방산과 유기산들을 고상추출법으로 분리 농축하여 안정하고 휘발성이 큰 TBDMS 유도체로 전환한 후 GC와 GC-MS로 분석하였다. 고상 추출하기 전 유지를 dichloromethane에 용해시키고 $NaHCO_3$, 포화수용액으로 추출하는 방법이 지방만 회수에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TBDMS 유도체화하기 전 유기산들을 triethylammonium염으로 만들어 줌으로써 미량의 휘발성 유기산의 손실을 막을 수 있었다. 대두유, 미강유. 참기름, 들기름 등을 분석한 결과 탄소수가 많은 유리지방산들이 주로 동정되었으며 정제하지 않은 참기름에서는 탄소수가 홀수인 지방산들을 포함한 다양한 유기산들이 확인되었다. 아직 보고된 바 없는 아라키드산과 vanillic acid를 각각 들기름과 참기름에서 발견하였으며 참기름에 존재하는 유리상태의 올레산에 대한 리놀레산의 양적비율은 $1.02{\sim}1.18$로 문헌에 보고된 전체지방산 중의 함량비율인 1.19와 상당히 유사했다. 유리상태로서의 올레산과 리놀레산의 함량비는 참기름의 adulteration 여부를 판정하는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지의 유기산 조성을 단순화된 막대그래프 형태의 RI spectra로 표현한 결과 각 유지의 패턴분별이 매우 용이했다.

  • PDF

Effects of Dietary Multi-nutritional Targeted Supplementation According to Different Growth Stages on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 Park, Byung-Ki;Choi, Nag-Jin;Lee, Sang-Min;Kim, Hyeong-Cheol;Jeon, Byoung-Soo;Kim, Meing-Joong;Oh, Young-Kyoon;Im, Seok-Ki;Hong, Seong-Koo;Chang, Jong-Soo;Hwang, In-Ho;Kim, Young-Jun;Kwon, Eung-G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2호
    • /
    • pp.222-229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multi-nutritional targeted supplementation according to different growth stages on performance, blood metabolites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Hanwoo steers. Thirty two Hanwoo steers, 6 months of age and weighing $159.2{\pm}24.1\;kg$, were distributed into 2 groups: control group without any supplements, and multi-nutritional targeted supplementation (MNTS) treatment group supplied with wheat bran and catechins (WBC, 8 to 16 months of age), ruminally protected amino acid-enriched fatty acid (RPAFA, 17 to 28 months of age) and ruminally protected choline with vitamin E (RPCV, 22 to 28 months of age), respectively. Average daily gai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During the late fattening period, concentrate, rice straw and dry matter intakes were relatively lower in MNTS than in the control group. Rib eye area, back fat thickness and yield index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Meat color was relatively lower in MNT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appearance rate of high quality grade ($1^{++}$, $1^+$ and 1) tended to be higher in MNT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us,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dietary multi-nutritional targeted supplementation at different growth stages could be recommendable to increase income according to production of high quality Hanwoo beef without any negative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표고 신품종 '풍년고'의 아미노산 함량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amino acid content of Lentinula edodes, a new variety of shiitake mushroom, in 'Poongnyunko')

  • 박영애;박원철;가강현;구창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1-37
    • /
    • 2017
  • 본 실험은 표고 톱밥재배에서 배지 부영양원 종류와 버섯발생 온도에 따라 버섯의 아미노산 함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배지는 톱밥과 부영양원(미강, 보리, 콩비지, 홍삼박)의 비율이 8:2에 칼슘 0.5% 첨가와 미첨가 등 8처리구로 하였다. 버섯의 발생온도는 저온($13{\sim}15^{\circ}C$), 중온($18{\sim}20^{\circ}C$), 고온($24{\sim}26^{\circ}C$)으로 처리하였다. 아미노산은 모든 처리구에 17종이 검출되었고 영양원 종류에 따라 성분차이들이 나타났다. 총아미노산 함량은 홍삼박 배지에서 209.7 mg/g으로 가장 높았고, 가장 많이 검출된 아미노산은 글루탐산이었고 보리배지에 51.3 mg/g 이었다. 버섯발생 온도처리 조건에서 총아미노산 함량은 중온에서 38.2%, 저온에서 32.5%, 고온에서 29.3% 순으로 나타났고, 중온과 저온 조건에서 아미노산 함량 순위는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표고의 맛과 기능성을 갖는 아미노산의 종류를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큰느타리버섯 수확 후 배지를 이용한 유기퇴비 제조 및 활용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organic compost from spent mushroom (Pleurotus eryngii) substrate)

  • 이상화;박주리;오소라;류송이;류영현;강민구;이숙희;조우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9-44
    • /
    • 2018
  • 큰느타리버섯 수확 후 배지를 이용한 유기퇴비를 제조하여 퇴비 원료로서의 이용가능성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퇴비의 발아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오이, 무, 상추, 배추를 파종한 후 발아율과 발아지수를 측정하였으며 미강과 미생물제의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이와 무의 발아지수는 전체적으로 높았으며, 상추의 경우 SMS 100%와 미강 5% 첨가구만 발아지수 70을 넘었고 배추는 미생물제 5%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발아지수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추를 이용하여 SMS 상토 제조비율과 생육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생육시험용 상토 제조비율은 일반상토 100%와 SMS 10%, SMS 20%, SMS 30%, SMS 50%, SMS 70%, SMS 100%로 제조하여 상추묘를 이식하였다. 먼저 상토재료의 이화학성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SMS 첨가량이 높을수록 질소전량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상추의 SMS 처리구와 일반상토에서의 생육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중량은 SMS 10% 43.9 g, 일반상토 46.4 g로 비슷하였으며 엽록소 함량도 SMS 10% 32.8, 일반상토 SMS 10% 32.8로 같았고 나머지도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총장에서 SMS 10% 14.6 cm, 일반상토 16.8 cm로 일반상토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Nitrogen Balance in Goats Fed Flemingia (Flemingia Macrophylla) and Jackfruit (Artocarpus Heterophyllus) Foliage Based Diets and Effect of a Daily Supplementation of Polyethylene Glycol (PEG) on Intake and Digestion

  • Mui, Nguyen Thi;Ledin, Inger;Uden, Peter;Binh, Dinh V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5호
    • /
    • pp.699-707
    • /
    • 2002
  • Diets with foliage of Flemingia (Flemingia macrophylla) or Jackfruit (Artocapus heterophyllus were fed to goats with the objective to study nitrogen (N) balance and effect of a daily supplementation of polyethylene glycol (PEG) on intake and digestion. In experiment 1, three male Alpine${\times}$Jamnapary goats with initial weights varying from 26.9 to 27.7 kg were used in a $3{\times}3$ Latin square design in the dry season. Three Alpine${\times}$Bachthao crosses, 15.3-16.7 kg, were used in the same design in the wet season. The three diets were based on chopped whole sugar cane complemented with the two green foliages, Jackfruit and Flemingia, or soybean meal (SBM). The level of dry matter (DM) offered was 4% of body weight (BW), 2.7% as foliage and 1.3% as chopped whole sugar cane. The amount of SBM offered was calculated to give the same amount of crude protein (CP) as the foliages. Each experimental period lasted 32 days (14 days for adaptation, 7 days for collection and 10 days for rest). Feed intake, apparent digestibility of DM, organic matter (OM), CP,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retained nitrogen (N) were measured by total faecal and urine collection. In experiment 2, four male goats (Alpine${\times}$Jamnapary) with initial weights from 17.1 to 23.1 kg were used in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The four treatments were Jackfruit or Flemingia with or without addition of PEG, which was fed at a level of 5 g/goat and day by mixing with a small amount of rice bran. Each experimental period lasted 15 days (8 days for adaptation, 7 days for collection). Measurements were done as in experiment 1. The DM digestibility was highest (65.9-74.3%) for goats fed the SBM diet in both the dry and wet season. The DM digestibility of goats fed the Jackfruit and the Flemingia diets was similar in both the dry (58.6-59.2% respectively) and the wet season (53.9-56.1% respectively). The CP digestibility was highest (73.0-73.6%) for the SBM diet followed by the Jackfruit diet (47.0-38.5%) and was lowest (36.8-30.0%) for the Flemingia diet in both dry and wet seasons, respectively. The NDF digestibility was low for both the Jackfruit (36.4%) and Flemingia (38.0%) diets in the wet season. All diets resulted in a positive N balance. The N retention was highest (0.465-0.604 g/kg $W^{0.75}$) in the SBM diets and lowest (0.012-0.250 g/kg $W^{0.75}$) in the Flemingia diet. Addition of PEG had no effect on feed intake for any of the diets. PEG added in the Flemingia diet had a positive effect only on NDF digestibility, but the digestibility of the Jackfruit die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Supplementation with PEG reduced digestibility and N retention of Flemingia, possibly because of the low tannin level, but increased digestibility and N retention for Jackfruit foli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