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bran

검색결과 882건 처리시간 0.037초

담자균(擔子菌)을 이용(利用)한 발효(醱酵) 사료(飼料)에 관한 연구(硏究) (Conversion of Fermented Feed by Basidiomycetes)

  • 홍재식;김중만;정진철;이태규;김동한;김명곤;이극로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57-168
    • /
    • 1985
  • 담자균(擔子菌)을 이용한 발효사료(醱酵飼料)를 제조(製造)할 목적(目的)으로 분리(分離)한 균주(菌株)의 균생육(菌生育) 속도(速度)와 섬유소분해능(纖維素分解能)((여과지(濾過紙) 붕괴법(崩壞法)과 CMC 액화법(液化法))을 비교(比較)하여 1차 5균주(菌株)를 선별(選別)하였고 1차 선별(選別)된 균주(菌株)를 볏짚배지(培地)에서 생육(生育) 속도(速度)와 CMCase, xylanase, protease 활성(活性)을 비교(比較)하여 Lyophyllum decastes를 선정(選定)하였다. Lyophyllum decastes의 균생육(菌生育)과 효소생산(酵素生産)을 위한 배양(培養) 최적(最適) 조건(條件)은 $25{\sim}30^{\circ}C,\;pH\;6.0{\sim}7.0$, 수분(水分) $70{\sim}75\;%$ 범위였으며 효소생산(酵素生産)은 15일 배양시(培養時) 좋았다. 부원료(副原料)로 미곡(米穀) $30{\sim}40\;%$, 들깨묵 $10{\sim}20\;%$의 첨가(添加)로 효소생산(酵素生産)은 증가(增加)되나 균생육(菌生育)은 늦었으며 무기염(無機鹽)으로 $0.36{\sim}0.72\;%$$(NH_4)_2HPO_4$ 첨가(添加)가 효과적(效果的)이었다. 볏짚을 40 mesh 이하로 분비(粉碑)하거나 $0.5\;kg/cm^2$의 증기압(蒸氣壓)으로 처리(處理)하면 균생육(菌生育)은 조금 늦으나 효소생산(酵素生産)에는 효과적(效果的)이었다. 알칼리 처리중(處理中) $Ca(OH)_2$ 처리(處理)가 균생육(菌生育)이나 효소생산(酵素生産)에 좋았고 NaOH의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하면 균생육(菌生育)이나 효소생산(酵素生産)은 낮았다. 볏짚발효시(醱酵時) 발효(醱酵)가 진행됨에 따라 회분(灰分), 환원당(還元糖), 총실소(總室素)는 증가(增加)하였고 섬유소(纖維素), lignin, pentosan은 감소(減少)하였다. 알칼리 처리시(處理時) 회분(灰分), 총실소(總室素), lignin은 감소(減少)하였고 환원당(還元糖)과 섬유소(纖維素)는 증가(增加)하였으며 NaOH의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할수록 변화(變化)는 심하였다. 발효(醱酵)가 진행됨에 따라 in vitro dry matter 소화율(消化率)은 증가(增加)하여 발효초기(醱酵初期) 55.03 %에서 45일 발효후(醱酵後)는 62.72 %로 증가(增加)하였다. 알칼리 처리시(處理時)는 KOH, NaOH의 처리(處理)가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NaOH의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하면 소화율(消化率)은 증가(增加)하였고 알칼리 전처리(前處理) 볏짚의 발효사료(醱酵飼料) 제조시(製造時)도 소화율(消化率)의 향상을 가져 왔다.

  • PDF

토끼의 혈청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지방의 포화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 in degree of saturation of fats on serum cholesterol level in the rabbit)

  • 남현근;성하진;장인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7-37
    • /
    • 1981
  • The effect in degree of saturation and unsaturation of dietary added oils on the serum cholesterol level in the rabbit was studied for a kperiod of 4 weeks using isocalories and isonitrogenous diets. The subject rabbits were divided into 10 feeding groups such as control-1 (Basal diet only), A group (Basal+sesame oil), B group (Basal+perilla oil), C group (Basal+soybean oil), D group (Basal+rice bran oil), Control-A(Basal+casein), A-1 group (Basal+sesame oil+ casein), B-1 group (Basal+perilla oil+casein), C-1 group (Basal+soybean oil+casein) and D-1 group (Basal+rice bran oil+casei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Body weight gains per week of the perilla oil fed group were higher than anyother group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2. Food efficiency ratios for the group of perilla oil fed were 1.041, 0.781, 0.520 and 0.431 for 1st, 2nd, 3rd and 4th week, respectively. 3. In the group of perilla oil and Casein fed, food efficiency ratios for the experimental period were 0.887, 0.823, 0.489 and 0.437 for 1st, 2nd, 3rd and 4th week, respectively. 4. It is investigated that the food efficiency ratio for perilla oil fed groups was higher than the group of perilla oil and casein fed. 5. Calorie efficiency ratios for perilla oil fed group were 0.018, 0.036, 0.024 and 0.020 for 1st, 2nd, 3rd and 4th week, respectively. Calorie efficiency ratios for perilla oil and casein fed group were 0.028, 0.030, 0.024 and 0.020 for 1st, 2nd, 3rd and 4th week, respectively. 6. Serum cholesterol was 72.8mg% for the group of perilla oil (6gr) and casein(6gr) fed, and liver cholesterol was 460.5mg% for the same group. 7. Serum triglyceride was 130.7mg% for the group of perilla oil (6gr) and casein (6gr) fed. 8. Blood glucose was 40.34mg% for control-l and 96.4mg% for control-A, respectively. Blood glucose was 120.4mg% for group Band 1l0.7mg% for group B-1, respectively. 9. The degree of saturation/unsaturation for perilla oil (SFA/USFA) was 7.8/92.2 and nonessential fatty acid/essential fatty acid(NEFA/EFA) was 26.3/73.7. In this conditions, serum and liver cholesterol was lower than anyother conditions for this experimental period. 10. For the perilla oil fed group, serum cholesterol was 105.5mg% for pleic acid/linoleic acid(18.5/58.5) and 72.8mg% for linoleic acid/linolenic acid(15.2/58.5). In this group, triglyceride was 132.5mg% for oleic acid/linoleic acid and 130.5mg% for linoleic acid/linolenic acid. 11.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rum cholesterol and saturated fatty acid $({\gamma}=0.78)$, and unessential fatty acid $({\gamma}=0.41)$. There ar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rum cholesterol and unsaturated fatty acid$({\gamma}=-0.78)$ and essential fatty acid$({\gamma}=0.77)$, respectively. 12. The range of most effective diet for serum cholesterol level lowering was nonessential fatty acid/essential fatty acid(26.3/73.7), saturated fatty acid/unsaturated fatty acid(7.8/92.2) and added oil (6gr)/added casein protein(6gr).

  • PDF

혼합발효 유기질비료의 발효과정 중 이화학성 및 미생물밀도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Population during Fermenting Process of Organic Fertilizer)

  • 이종태;이찬중;김희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6-123
    • /
    • 2004
  • 유기재배를 위한 화학비료 대체 혼합발효 유기질비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깻묵, 어박, 쌀겨, 골분 등의 유기질 자재와 일라이트, 패화석 등을 배합하여 제조하였으며 70일간의 제조과정 중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 밀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유기질비료의 주요 성분인 깻묵과 쌀겨는 각각 7.6%와 2.6%의 질소와 3.6%와 4.6%의 인산, 1.4%와 2.2%의 칼륨을 함유하였다. 골분은 29.2%의 인산을 함유하였으며 일라이트의 칼륨 농도는 3.8%이였다. 유기질비료의 온도는 혼합 2일후 $50^{\circ}C$ 이상으로 상승하였으며 발효 40일 경과 후 상온과 비슷한 온도로 내려갔다. 발효 초기 수분 함량은 36.3%였으며 1개월 후 16.0%로 감소하였고 그 후 변화가 거의 없었다. 발효 초기에 유기물 함량에 비해 질소의 손실이 커서 탄질비가 증가하였다가 발효 10일 경과 후 서서히 감소하였다.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은 혼합 시 $1,504mg\;kg^{-1}$이었으며 10일 후 최고 농도인 $5,530mg\;kg^{-1}$까지 증가하였다가 서서히 감소하였다. 그 반면에 질산태질소 함량은 발효 전 기간 동안 저농도로 유지되었는데 이러한 경향은 높은 pH와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약 2개월간의 발효 후 유기질비료의 질소, 인산, 칼리 및 유기물 함량은 각각 2.7%, 2.8%, 1.8% 및 35.9%이었다. 발효과정 중 유기질비료내 생존하는 호기성세균, Bacillus sp. 및 방선균의 총균수는 각각 $12.5{\times}10^{10}$, $45.5{\times}10^5$$13.6{\times}10^5cfu\;g^{-1}$이었다. Pseudomoaas sp.는 발효초기에 $71.9{\times}10^7cfu\;g^{-1}$이었으나 발효 20일 후에는 온도 상승으로 급격히 감소하여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균류 중 효모는 발효 초기에 많이 검출되었으며 사상균수은 발효 후기에 많았다.

이노시톨과 피틴산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ositol and Phytic Acid on Skin)

  • 조춘구;한창규;송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15-524
    • /
    • 2004
  • 쌀눈에서 추출한 inositol과 phytic acid를 화장품에 적용하기 위해 피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20{\~}40$대의 아시안 여성 45명을 대상으로 7주간 inositol $0{\~}3.0\;wt\%$와 phytic acid $0{\~}1.50\;wt%$가 함유된 스킨로션을 제조, 사용 후 피부의 수분, 유분, 탄력, 주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Inositol $1.0\;wt\%가$ 함유된 스킨로션을 사용한 경우 피부의 수분 함유량은 $19\%$ 증가하였으며, 주름은 $12.4\%$ 개선되었고, 피부탄력은 $12.4\%$ 증가되었다. 또한 phytic acid $0.50\;wt\%$를 함유한 스킨 로션을 사용한 경우 피부의 수분은 $71.6\%$ 증가하였으며, 주름은 $16.9\%$ 감소하였고, 탄력은 $21.9\%$가 증가하였다. Inositol과 phytic acid를 지성과 건성피부에 적용한 결과 $2{\~}4$주 후면 정상피부의 유분량으로 조절됨을 알 수 있었다 Inositol과 phytic acid는 모두 피부개선에 효과적이나, phytic acid는 민감한 피부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1.0\;wt\%의$ inositol에 $0{\~}0.5\;wt\%$의 phytic acid를 첨가한 스킨로션을 제조하여 그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 경우 $1.0\;wt\%$의 phytic acid에 $1.0\;wt\%$의 inositol을 사용한 경우 수분은 $63.8\%$, 탄력은$17.2\%$ 증가하였으며, 주름은 $17.4\%$ 개선되었고, 피부 유분량은 약 2주 후에 정상적인 상태로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inositol $1.0\;wt\%$$0.10\;wt\%$의 phytic acid를 첨가하여도 피부 개선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내에서 $1.0\;wt\%$의 phytic acid와 $1.0\;wt\%$의 inositol을 사용한 경우 적은 양으로도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한 상승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우분뇨 퇴비화 중 암모니아 휘산에 대한 이분해성 및 난분해성 유기 첨가물의 역할 (The Role of Organic Amendments with Different Biodegradability in Ammonia Volatilization during Composting of Cattle Manure)

  • 임상선;박현정;이선일;이동석;곽진협;최우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0-24
    • /
    • 2009
  • 퇴비화 과정 중 암모니아 휘산과 관련된 난분해성 및 이분해성 유기물의 역할을 재조명하기 위해 분뇨와 톱밥(난분해성) 또는 쌀겨(이분해성)를 혼합한 후 4주간 $CO_2$ 발생량과 $NH_3$ 휘산량을 조사하였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톱밥처리구에 비해 쌀겨처리구에서 43$\sim$122% 정도 높았으며, 이에 상응하게 최종 건물중 손실률도 쌀겨처리구가 35.1$\sim$41.5%로 톱밥처리구의 18.7$\sim$22.6%에 비해 유의하게(P$\sim$0.05) 높았다. 톱밥처리구에서는 시험기간인 4주간 암모니아 휘산이 발생하지 않았는데, 이는 톱밥의 C/N 비가 높아 질소무기화가 지체되었고 톱밥 자체가 $NH_4^+$를 흡착할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이분해성인 쌀겨 처리구에서는 퇴비화 초기에는 질소부동화에 의해 암모니아 휘산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8일 이후부터는 쌀겨처리량이 낮은 순서대로 이분해성 유기물의 고갈에 의한 질소재무기화에 의해 암모니아 휘산이 관측되었다. 따라서, 이분해성 유기물은 초기 암모니아 부동화를 통해 암모니아 휘산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부동화된 질소의 재무기화에 의해 퇴비화 중반기에 오히려 암모니아 휘산이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난분해성 유기물인 톱밥은 암모니아 고정능이 있어 물리화학적 흡착에 의해 암모니아 휘산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구르타민 산발효잔사가공물(酸醱酵殘渣加工物)의 성질(性質)과 비효 -I. 그 성질(性質)과 옥수수에 대(對)한 비효 (The Chemical Properties and Fertilizer Effect of a Residual By-product of Glutamic Acid Fermentation -I. Chemical properties and effect on the growth of corn)

  • 홍종운;정이근;박천서;김영섭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59-163
    • /
    • 1973
  • 당밀(糖密)을 원료(原料)로 하여 발효법(醱酵法)으로 구르타민산(酸)소다를 제조(製造)할 때 부생(副生)하는 잔사(殘渣)를 가공(加工)하여 만든 구르타민산잔사가공비료(酸殘渣加工肥料) 시제품(試製品)에 대(對)하여 그 성질(性質)을 조사(調査)하고 그 비효를 요소(尿素), 퇴비(堆肥) 및 미강(米糠)과 대비(對比)해 옥수수 재배시험(栽培試驗)을 통(通)하여 검토(檢討)했든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아래와 같다. 1) 공시(供試) 구르타민산잔사가공물(酸殘渣加工物)은 유안(硫安), 염안(鹽安) 및 종류미상(種類未詳)의 복염등(複鹽等)의 무기물(無機物)과 수용성(水溶性) 아미노산류(酸類) 및 불용성(不溶性) 탄소화합물(炭素化合物)의 혼합물(混合物)임이 밝혀졌다. 2) 이 물질(物質)에 함유(含有)된 속효성N비료부분(肥料部分)의 효과는 요소(尿素)와 대등(對等)하다. 3) 이 물질(物質)에 함유(含有)된 유기물(有機物)은 옥수수의 수량(收量)에 미친 효과면에서 퇴비(堆肥)나 미강(米糠)과 대등(對等)한것 같다. 4) 이 물질(物質)의 시용(施用)은 옥수수의 양분흡수(養分吸收)나 기타(基他) 생리작용(生理作用)에 특이성(特異性)있는 해(害)를 미치지 않았다. 5) 이 물질(物質)에 함유(含有)된 유기물(有機物)이 토양중(土壤中) 철(鐵)의 유효화에 미치는 영향(影響)이 타유기물(他有機物)과 상이(相異)할 가능성(可能性)이 있음을 논(論)했다. 6) 이 물질(物質)의 시용(施用)은 토양(土壤)을 산성화(酸性化) 시키는 경향(傾向)이 뚜렷하며 토양중(土壤中) 가급태유황(可給態硫黃)과 토양유기물함량(土壤有機物含量)을 높이는 경향(傾向)이 있었다.

  • PDF

예측미생물학을 활용한 미강 식이섬유 함유 떡갈비의 유통기한 설정 (Application of Predictive Microbiology for Shelf-life Estimation of Tteokgalbi Containing Dietary Fiber from Rice Bran)

  • 허찬;김현욱;최윤상;김천제;백현동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32-239
    • /
    • 2008
  • 본 연구는 미강 추출 식이섬유 혼합물을 첨가한 떡갈비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와 유통기한 산출을 위하여 예측미생물학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미강 추출 식이섬유 혼합물을 0, 1, 2, 3%의 비율로 첨가하였으며 냉장($4{\pm}1^{\circ}C$) 조건에서 15일간 저장하며 일반세균수, 혐기성균, 저온균, 내열성균, 대장균군의 미생물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일반세균수의 초기 균수(저장 0일)의 경우 3.23-3.85 log CFU/g을 나타내었으며 혐기성균, 저온균의 경우 비슷한 초기균수를 나타내었다. 일반세균수와 혐기성균의 경우 저장 3-5일차에서 균수의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동안 측정된 균수를 Baranyi function을 바탕으로 성장예측곡선과 생육 지표를 예측하였으며, 성장예측곡선의 적합성을 검증한 결과 일반세균수, 혐기성균, 저온균의 경우 처리구간 모두 0.923 이상의 높은 $R^2$값을 나타내었으며 $B_f$, $A_f$의 경우 역시 이상적인 값인 1에 가까운 값은 나타내었다. RSME 값 역시 모두 0.65 이하를 나타내어 실측치와 예측치 간의 높은 정확성을 나타내었다. Baranyi function 식 (1), (2)을 이용하여 계산된 균수가 5 log CFU/g이 되는 시점인 predicted shelf-life의 경우 control, T1, T2, T3의 경우 각각 2.5, 3.5, 3.5, 3.6일로 예측되었으며 안전계수(1/1.5)를 고려한 estimated shelf-life의 경우 1.7, 2.3, 2.3, 2.4일로 측정되었다 미강 식이섬유 혼합물이 첨가된 처리구가 control보다 약 0.6-0.7일 긴 유통기한을 가지는 것으로 측정되었고 식이섬유가 3% 함유된 떡갈비가 2.4일로 가장 긴 유통기한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미강 추출 식이섬유 혼합물이 첨가된 떡갈비의 유통기한을 예측미생물학을 적용하여 측정할 수 있었으며, 식품산업에 있어서 이러한 예측미생물학은 식품의 제조 가공 판매 등을 결정할 때 미생물의 정량적 위험성을 판단하는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회분식반응기를 이용한 미강유, 팜스테아린과 고올레인산 해바라기씨유 유래 대량 제조된 저트랜스 쇼트닝의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Scaled-up Low-Trans Shortening from Rice Bran Oil and High Oleic Sunflower Seed Oil with Batch Type Reactor)

  • 김지영;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38-345
    • /
    • 2009
  • 미강유(RBO), 팜스테아린(PS), 고올레인산 해바라기씨유(HO)를 기질로 사용하여 24 hr, $65^{\circ}C$의 조건하에 회분식 반응기(batch type reactor)에서 TLIM을 이용한 interesterification을 통해 생성된 저트랜스 쇼트닝의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DSC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SFC 함량 변화는 commercial shortening과 low-trans shortening(LTS) 간에 거의 유사하게 측정되었고, slip melting point는 각각 35.5, $34.8^{\circ}C$로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LTS는 전체 지방산 조성의 90% 이상이 C16:0(33.7 wt%), C18:1(45.7 wt%), C18:2(13.4 wt%)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트랜스지방산은 시중 유통 쇼트닝보다 3배 이상 적은 0.5 wt%로 미량 검출되었다. Sn-2 position에 위치한 지방산 조성은 C16:0이 36.6 wt%, C18:1이 43.5 wt%로 나타났다. LTS의 주요 TAG 조성으로는 POO, POP, PLO 등으로 나타났고, 반응 전과 반응 후의 TAG 조성을 비교해 보면, OOO와 PPP의 area%는 각각 27.65에서 6.97 area%로, 11.97에서 3.36 area%로 감소한 반면 POO는 15.94에서 29.05 area%로, PLO는 6.44에서 13.05 area%로 증가되었다. ${\alpha},\;{\gamma}\;{\delta}$-Tocopherol 분석 결과 LTS의 total tocopherol은 12.37 mg/100 g, ${\gamma}$-oryzanol 함량은 0.43 mg/100 g을 나타냈으며, total phytosterol 함량은 251.38 mg/100 g으로 나타났다. Commercial shortening과 LTS의 texture analyzer를 통한 hardness 측정 결과, commercial shortening은 157.41 g, LTS는 157.00 g으로 두 시료의 hardness가 비슷하게 측정되었다. LTS의 polymorphic form을 측정하기 위해 x-ray duffraction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쇼트닝이나 마가린은 ${\beta}'$형 결정일 때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데, LTS의 분석 결과 ${\beta}$형이 함께 공존하고 있지만, ${\beta}'$형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Effect of Graded Levels of Mustard Oil Cake Supplementation on Intake, Nutrient Digestibility, Microbial N Yield of Adult Cannulated Native (Bos Indicus) Bulls Fed Rice Straw

  • Chowdhury, S.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5호
    • /
    • pp.715-722
    • /
    • 1999
  • On a urea-molasses-straw (3:15:82, UMS) based diet, effect of graded levels of mustard oil cake (MOC)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s of native bulls has been studied. Four cannulated adult Bos indicus bulls of $415({\pm}44.6)kg$ live weight and 80 months old, were given daily either of 0, 200, 400 or 800 g of MOC in four periods in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Besides, each animal also received 200 g of each of molasses and wheat bran and a mineral mixture. For unit (1 g) increase in MOC intake, total DM intake increased by 0.8 g/d ($r^2=0.88$) but no change in the straw DM intake. With the increasing levels of MOC, crude protein (CP) digestibility increased exponentially with an asymptotic value of 72%. However, MOC level had no effect on the digestibilities of DM, OM and ADF. Similarly, rumen degradability of rice straw was also not affected by the level of dietary MOC, and mean straw DM degradabilities were 15, 21. 28, 37, 47 and 51% at 8, 16, 24, 48, 72 and 96 hours of incubation respectively. Microbial N yield per kg digestible organic matter apparently fermented in the rumen were 7.46, 8.77, 6.88 and 5.96 g respectively for 0, 200, 400 or 800 g of dietary MOC. For each gram increase in dietary MOC, N intake and N balance increased by 0.054 g/d ($r^2=0.998$) and $0.59mg\;N/kg\;W^{0.75}/d$ ($r^2=0.99$) respectively. Nitrogen balance was estimated to be attained at the N intakes of $246mg\;N/kg\;W^{0.75}/d$. Thus, on a UMS-based diet supplementation of MOC up to 800 g (10% of total intake) of the dietary intake had little or no effect on intake, digestibility, rumen parameters, and microbial N yield but slightly increased the N balance. However marginal response to MOC supplementation is probably due to the high degradability of MOC protein in the rumen. Thus, any substantial positive response of MOC supplementation on a UMS-based diet can probably be achieved by reducing its protein degradability in the rumen.

Thermophile mushroom cultivation in Cambodia: Spawn 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a new substrate, acacia tree sawdust

  • Chang, Hyun-You;Huh, Youn-ju;Soeun, Pisey;Lee, Seung-ho;Song, Iva;Sophatt, Reaksmey;Seo, Geum-Hui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5
    • /
    • 2016
  • 이 연구는, 느타리버섯과 풀버섯만 재배하던 캄보디아에서 영지버섯, 목이버섯 그리고 표고버섯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고온성 버섯들의 종균을 생산하고, 캄보디아에서 생산되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새로운 버섯배지를 찾기 위해 시도되었다. 종균 및 버섯재배 배지로, 여러 종류의 유기물찌꺼기, 곡물, 그리고 톱밥이 사용되었다. 고무나무 톱밥배지에서 자란 균사 (10.9 cm/15일)는 곡물배지에서 자란 균사 (11.2 cm/15일)에 비해 성장이 조금 느렸지만, 고무나무 톱밥은 낮은 가격 및 취급의 용이성이 있어, 비싼 곡물종균을 대치할 수 있는 매우 적절한 배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버섯생산을 위해서, 고무나무톱밥(60.8% BE), 사탕수수박(60% BE), 그리고 아카시아나무 톱밥 등에 미강과 탄산칼슘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는데, 사탕수수박과 고무나무 톱밥은 매우 비슷한 높은 생물학적 효율(BE)을 보여주었고, 아카시아나무 톱밥은 비교적 낮은 22.4%의 생물학적 효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낮은 가격에 구입할 수 있는 아카시아톱밥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높은 가격의 배지들과 혼합하여 사용된다면 매우 가능성이 높은 새로운 배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톱밥의 가격 (20 kg 고무나무톱밥=6500 Riel 혹은 1.6 USD)과 비교했을 때, 아카시아톱밥의 가격(20 kg=1000Riel 혹은 0.25USD)이 매우 낮아 버섯의 생산에 투자되는 비용을 크게 줄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