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izosphere microflora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6초

동일비료 장기연용에 따른 벼 근권 미생물상의 변화 (Fluctuation of Rhizosphere Microflora in Paddy Rice by Long-Term Fertilization)

  • 이계숙;이재찬;강위금;박창영;김창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3호
    • /
    • pp.175-179
    • /
    • 2006
  • 동일비료를 장기연용한 토양에서 벼를 단작으로 재배하여 비료의 시용에 따른 벼 품종간 근권 세균 및 방선균의 밀도와 우점균을 조사하였다. 비료는 3요소(NPK)를 기본으로 하여 무질소(PK), 무인산(NK) 무칼리(NP) 및 NPK+퇴비를 처리하였다. 벼의 근권 미생물 밀도는 품종에 따라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시용비료에 의해 약간의 차이를 보였는데 세균은 감소하고 방선균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근권 미생물의 분포상에는 유기물의 영향이 뚜렷하여 방선균의 경우 NPK+퇴비구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균 밀도를 나타냈다. 배양가능한 호기성 세균에서는 Bacillus속의 B. megaterium, B. mycoides, B. licheniformis, B. subtilis 등이, 방선균에서는 Streptomyces속의 S. spororaveus, S. canus, S. tauricus, S. galbus 등과 Micromonospora속이 우점하여 분포하였다.

유기질 비료 시용이 토마토 근권 미생물 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ganic Amendments on Rhizosphere Microflora of Tomato Plant)

  • 유성준;황경숙;김선익;장기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97-302
    • /
    • 1996
  • 돈분 및 계분을 시비수준을 달리하여 표토(16cm)에 처리한후 1주일 후부터 토마토를 재배하면서 근권토양내의 미생물상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무처리구의 근권총세균 밀도는 시비구 보다 적었으며, 생육기인 5주째에 균밀도가 1주째보다 떨어졌으며 15주째에는 최고가 되었다. 희석영양배지(Diluted Nutrient Broth : NB)의 세균밀도는 영양배지(Nutrient Broth NB)에서 보다 1.5~2배 높게 나타났다. 2. 정식 1주일후의 근권 토양 세균 수는 돈분에서 NB와 DNB배지에서 퇴비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계분에서는 NB는 증가하였으나 DNB는 시용량에 따라 무비구 보다 감소했다. 60, 120 Mg/ha처리구에서 무비구에 비해 NB에서 100배 이상 증가하였다. 15주후인 토마토 수확기에는 1주후의 경우와 반대로 DNB배지의 세균수가 NB배지에서 보다 높았다. 3. 사상균수는 유기질 비료 시용 1주후에 시비수준에 따라서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계분시용구에서 무시구보다 감소하였다. 15주째에 계분은 2주째보다 2배가 높았으며 계분 30 Mg/ha에서 최고로 높았으나 돈분은 시용량에 따라 무비구보다 감소하였다. 4. 방선균의 밀도는 1주후 돈분구에서 차이가 없고 계분 시용구에서 무비구보다 감소하였고 15주째에 모든시비구에서 크게 증식하여 돈분 10 Mg/ha와 계분 30 Mg/ha구의 경우 1주후 토양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하였다.

  • PDF

인삼 연작 장해의 발생 원인 구명을 위한 생태화학적 연구 (An Ecochemical Study on Soil Sickness)

  • 이춘영;임선욱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51-58
    • /
    • 1976
  • 본 연구는 현재로는 인삼의 조작이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어 있는 장애 현상을 생태화학적인 면에서 검사하여 그 원인을 추구하려 하였다. 현재 인삼의 조작장애 원인은 특정균의 침해로 해석하고 있으나, 그 병 유발의 원인에 대하여는 아직 불분명하며 여러 가지 가능성이 추리된다. 삼재배지와 비재배지 토양의 일반적인 성질의 비교에서는 별차이를 볼 수 없었으며, 경작을 통한 유기물의 증가와 그에 따른 양이온 교환용량의 상승을 볼 수 있었다. 삼 재배지와 비 재배 토양에서 알칼리로 추출되는 부식물의 성상을 비교하였으나, 적외선부 흡황곡선으로는 양자간에 별차이점이 없이 공통 또는 유사성을 보이는 급광대를 가지며 재배지역에 따라 근소한 상이점을 보였다. 한편 삼근권 토양의 에탄을 추출물에는 삼생육 기간중 분비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정성적인 검색으로 상근성분의 일부와 같거나 또는 유사한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근권내 특수 유기물질과 연작장애와의 연관성은 삼근 부패인(특정 미생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호 긴밀히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 PDF

Deproteinized Mulberry Leaf Juice - A New Media for Growth of Microorganisms

  • Chowdary, N.B.;Naik, V.Nishitha;Sharma, D.D.;Govindaiah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5권2호
    • /
    • pp.217-220
    • /
    • 2002
  • Mulberry being a foliage crop is grown extensively for feeding of silkworms and are also used for cattle feeding. These loaves are highly nutritious, which contain various mineral elements and bio-molecules such as carbohydrates, proteins, lipids and other essential amino acids, etc. In the present study, deproteinized mulberry leaf juice was used for preparation of the medium for cultivation of various types of microbes. Results revealed that deproteinized mulberry leaf juice medium is best for isolation of fungi, bacteria and actinomycetes and this medium can be substituted with synthetic media, which are haying the costly ingredients for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a, fungi and actinomycetes. Further, this deproteinized mulberry juice medium can also be used in mass multiplication of useful/beneficial microbes to enhance soil microflora to improve soil fertility and to avoid root diseases. Perspective enterprises can take up the mass multiplication/large-scale production of useful microbes such as Trichoderma, Rhizobium, Pseudomonas and Bacillus to use in mulberry and in other agricultural crops using deproteinized mulberry leaf juice.

비비추 나물의 자생지 생태환경과 근권미생물상 (Ecological Environment and Rhizosphere Microflora in the Native Soil of Purple-Bracted Plantain Lily for Wild Vegetables)

  • 조자용;허북구;양승렬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89-400
    • /
    • 2005
  • 본 연구는 비비추 나물의 자생지 생태환경과 근권 미생물상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비비추 나물 자생지 토양의 토성을 보면 사양토(SL)>양토(L)>식양토(CL)등의 물리성을 보였다. 또한, 토양의 pH를 보면 4.8 정도로 다소 산성이었으며, 전기전도도는 0.08mS/cm, 유기물 함량은 0.08g/kg 정도였다. 토양수분함량은 68.6% 정도였고, CEC는 $100.8cmol^{(+)}kg^{-1}$ 정도로 측정되었으며, 유효인산함량은 103.4mg/kg 정도였다. 치환성 양이온을 보면 칼륨은 $0.33cmol^{(+)}kg^{-1}$, 칼슘은 $2.26cmol^{(+)}kg^{-1}$, 그리고 마그네슘은 $0.87^{(+)}kg^{-1}$ 정도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자생지의 온도변화를 보면 $15{\sim}20^{\circ}C$ 정도로서 노지에 비해 온도가 다소 낮으면서도 최고온도와 최저온도의 변화가 적었으며, 습도는 $60{\sim}80%$ 정도로 노지에 비해 다소 다습조건이었다. 광도는 오전 10시에 노지가 $2,300{\mu}mol/m^2/sec.$ 정도였던 반면, 자생지의 광량은 $1,750{\mu}mol/m^2/sec.$ 정도로서 차광효과가 뚜렷하였다. 토양내 총 균수는 $8.4{\times}10^7\;c.f.u./g$ 정도의 밀도를 보였고, 근권의 균근균 포자 밀도를 보면 크기가 $500{\mu}m$ 이상은 0.8개 정도, $355{\sim}500{\mu}m$는 1.3개 정도, $251{\sim}354{\mu}m$는 2.1개 정도, $107{\sim}250{\mu}m$는 38.1개 정도, $45{\sim}106{\mu}m$는 110개 정도인 것으로 계수되었다. 뿌리에서 균근감염 양상을 보면 vesicle 17%, hyphae 6%등으로서 총 23%정도의 균근 감염율을 보였다. 그러나 arbuscule에 의한 감염은 발견되지 않았다.

  • PDF

Infection Mechanism of Pathogenic Exduate by Soil-Borne Fungal Pathogens : A Review

  • Lim, You-Jin;Kim, Hye-Jin;Song, Jin-A;Chung, Doug-You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622-627
    • /
    • 2012
  • The processes to determine the composition, dynamics, and activity of infection mechanisms by the rhizosphere microflora have attracted the interest of scientists from multiple disciplines although considerable progress of the infection pathways and plant-pathogen interactions by soil borne fungal pathogens have been made. Soilborne pathogens are confined within a three-dimensional matrix of mineral soil particles, pores, organic matter in various stages of decomposition and a biological component. Among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soil texture and matric water potential may be the two most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 spread exudates by soil borne fungal pathogens, based on the size of the soil pores. Pathogenic invasion of plant roots involves complex molecular mechanisms which occur in the diffuse interface between the root and the soil created by root exudates. The initial infection by soilborne pathogens can be caused by enzymes which breakdown cell wall layers to penetrate the plant cell wall for the fungus. However, the fate and mobility of the exudates are less well understood. Therefore, it needs to develop methods to control disease caused by enzymes produced by the soilborne pathogens by verifying many other possible pathways and mechanisms of infection processes occurring in soils.

염유집적(鹽類集積) 시설재배지(施設栽培地)의 토양미생물상(土壤微生物相) 평가(評價) (Evaluation of Soil Microflora in Salt Accumulated Soils of Plastic Film House)

  • 권장식;서장선;원항연;신제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4-210
    • /
    • 1998
  • 본 시험은 재배이역(栽培履歷)이 서로 상이한 시설재배지에서의 염류집원적지(鹽類集源積地)와 건전지(健全地)의 미생물상(微生物相)의 생태(生態)를 비교해석(比較解析)하고, 미생물(微生物)적 진단(診斷)에 의한 근권환경(根圈環境)의 동태(動態)와 개량기술(改良技術)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주요 미생물(微生物)의 분포(分布)는 건전지(健全地)에서 형광성(螢光性) Pseudomonas 속 세균(細菌)의 밀도가 높은반면 염류장해지(鹽類障害地)에서는 병원성(病原性) Fuasarium 속의 밀도가 높고 형광성(螢光性) Pseudomonas 속 세균(細菌)이 낮은 분포밀도(分布密度)를 보였다. 토양중 유기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Bacillus 속(屬), 형광성(螢光性) Pseudomonas 속(屬), Enterobacteriaceae 등 세균류(細菌類)의 밀도와 Microbial biomass C함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토양의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EC)가 $5.1dS\;m^{-1}$ 이상으로 높아지면 미생물(微生物)간의 비율중 세균(細菌)/사상균(絲狀菌)(B/F), 방선균(放線菌)/사상균(絲狀菌)(A/F)의 비율이 현저히 낮아지고 형광성(螢光性) Pseudomonas 속(屬) 세균(細菌)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토양 pH와 세균(細菌)과의 관계는 고도의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사상균(絲狀菌)과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으며, 토양유기물과 방선균(放線菌), Bacillus 속(屬), Enterobacteriaceae와는 각각 $r=0.226^*$, $r=0.334^{**}$, $r=0.276^{**}$, 치환성 Ca및 치환성 Mg함량과 방선균수(放線菌數)와는 각각 $r=0.334^{**}$, $r=0.352^{**}$, 유기물함량과 Microbial biomass C 함량과는 $R=0.439^{**}$의 유의성(有意性) 있는 상관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