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vised 2009 curriculum

검색결과 336건 처리시간 0.025초

미래사회에 대응하는 학교건축 계획방향에 대한 기초연구 - 초.중.고등학교 시설을 중심으로 - (A Study for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School Corresponding to the Future Society - Focus on the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facilities -)

  • 송병준;주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90-19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school planning for the future that could respond actively to fast-changing circumstances of the times. The specific purpose is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creates the education spatial model for the future that could prepare the education for globalization, informationization, liberalization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the school planning that would correspond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establish the fundamental architectural planning guidelines and provide a blueprint of the advanced school for the future. Second, this research suggests diverse layout method of the school building blocks for the future. Key factors, which are method of teaching, planning for eco-school, planning for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planning of mixed-use school facilities that would give direction of the school planning for the future are determin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bout the social structure, direction of education for the future and case study. Based on these keys factors, this research suggests directions of the school planning for the future.

저탄소 녹색성장 교육 관련 수산·해운계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 (The Analysis of the Low Carbon Green Growth Education Contents in the Fisheries and Marine High School Textbooks)

  • 황재호;박종운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395-405
    • /
    • 2012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35 government-authorized and officially approved textbooks for the Fisheries and marine high school which were published by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t 2009 for analyzing the objective and content domains concerning school the low carbon green growth education. Prior to the grounds of analyzing for the objective and content domains were presented, the factors of the grounds were made based on the low carbon green growth standards for the n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findings which were as follows; 18(51.4%) in 35 textbooks and 666(6.4%) in 10,406 pages were related the low carbon green growth education in the course of the Fisheries and marine high school education. There were 37 participation domains, 27 information and knowledge domains, 9 value and attitude domains and 6 skill domains in the objective domains. The content domains were consisted of 33 green growth, 23 climate change, 10 energy conservation, 6 low carbon and 6 international cooperation.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성취수준별 정답률 편차에 따른 내용 영역과 행동 영역 특성 분석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Content Areas and Behavioral Areas Based on the Deviation of NAEA Achievement Level-Based Correct-Answer Rate)

  • 허난;양성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3호
    • /
    • pp.435-453
    • /
    • 2018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결과 분석은 학교 현장에 교수 학습 측면에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이 중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적용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개년 동안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답지 반응 분포와 성취수준별(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정답률 편차를 분석하였다. 우수학력 수준과 보통학력 수준, 보통학력 수준과 기초학력 수준 사이의 정답률 편차를 계산하고 편차의 누적백분율 제3사분위수 이상의 문항을 선별한 후, 내용 영역과 행동 영역은 무엇이며 이러한 문항들의 성취기준 및 특성들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성취수준별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비와 비율에 대한 초등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Ratio and Rate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장혜원;임미인;유미경;박혜민;김주숙;이화영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5-160
    • /
    • 2017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6학년 수학 교과서가 현장에 적용된 이후, 1학기 비와 비율 단원이 다소 어려워 학생들에게 학습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수학 교과서의 비와 비율 관련 내용을 종적 횡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적절한 비와 비율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국내의 5차부터 현행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수학 교과서를 종적 분석 대상으로, 일본, 싱가포르, 홍콩, 핀란드 수학 교과서를 횡적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기준은 각 교과서에 제시된 비와 비율 관련 학습 요소 및 지도 순서, 용어의 정의, 관련 개념의 도입 방법이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교육과정별 및 각 국가별로 비와 비율 관련 내용의 구현 여부 및 방법에 있어서 특징과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각각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기초하여 차기 교과서 개발 시비와 비율 단원 구성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STEAM 관점에서 2009 개정 화학 I 교과서 분석 (Analysis of 2009 Revised Chemistry I Textbooks Based on STEAM Aspect)

  • 복주리;장낙한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2호
    • /
    • pp.381-393
    • /
    • 2012
  • 이번 연구를 통해 고등학교 1,2학년 학생들이 학습하는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 I 검정 교과서 4종을 선정하여 과학적 지식 외에 어떠한 STEAM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각 단원별, 출판사 별, 교과서의 영역별로 포함된 STEAM 요소의 종류와 수는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에 관한 연구 문제를 선정하고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 현 교과서의 내용과 잘 맞지 않는 STEAM 요소의 새로운 하위요소들을 정하고, 새로운 분류 틀을 만들어 그 분류틀을 기준으로 분류 하였다. 먼저 예술 분야의 경우 방법적인 면에서의 예술 분야를 '표현예술'로 만화, 토의, 역할놀이의 하위요소를 가지며 내용적인 면에서의 예술 분야를 '문화예술'로 사회문화, 과학자 이야기, 인류의 역사, 직업탐구, 미술의 하위 요소를 갖는다. 기술과 공학요소는 서로 분류하기 어려우므로 '기술공학' 이라는 하나의 분야로 통일하고, '과학적 내용을 활용한 기술'과 '과학적 발전에 활용된 기술'의 두 가지 하위 요소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수학요소는 수, 연산, 단위변환, 구조모형의 하위 요소를 갖는다. 또한 교과서에 포함된 STEAM요소의 교과서 안의 위치영역을 도입부, 본문, 보충자료의 세 영역으로 분류하고, 본문의 경우 내용과 탐구영역으로 세분화 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가 개정 교육과정의 의도를 파악하여 다른 분야를 통해 학습이 일어나게 하기위해 STEAM 요소를 포함 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과서 별로 활용하는 학습 방법이 제한되어 있으며, 교과서의 종류에 따라 조금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포함하고 있는 세부요소의 종류는 전체 14종류 밖에 되지 않으며, 그것도 교과서 별로 몇 가지 요소에 집중돼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현재 화학교육에서 활용되는 STEAM 교육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단원별로는 수업내용에 따라 포함된 STEAM 요소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많은 수의 STEAM 요소가 I단원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수업 내용에 수학, 역사 들이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 STEAM 요소가 포함되기 어려움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영역별로 포함된 STEAM 요소의 경우 요소들이 대부분이 보충자료 영역에 포함되어 있고, 그 요소가 문화 예술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아 실제적으로 화학 지식에 대한 활용적인 면에만 STEAM이 활용되며 화학지식에 대한 접근 방법적 융합교육이 매우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현재, 국내 교육계에서 STEAM 교육에 관해 주시하고 있는 만큼, 새로운 교육적 경향인 STEAM 교육이란 무엇인지에 관해 면밀히 탐구하고, STEAM 교육의 효과와 프로그램 및 교재 개발에 대한 엄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서 저학년들에게 집중되어 있는 융합교육을 전 학생들에게 확대하고, 궁극적으로 평생에 걸친 학습 시대에 스스로 활용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PDF

수학교과서의 스토리텔링 내용 분석 및 활용실태조사 - 고등학교 1학년 중심으로 - (A Content Analysis of Storytelling in Mathematics Textbooks & Research on the Actual Teacher-Student Condition centered on Senior High School)

  • 강옥선;김응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337-358
    • /
    • 2014
  • 교육과학기술부는 2012년 1월에 '수학교육 선진화 교육'을 발표하며 주요방향 및 과제로 '생각하는 힘을 키우는 수학', '쉽게 이해하고 재미있게 배우는 수학', '더불어 함께하는 수학'을 제시하며 '쉽게 이해하고 재미있게 배우는 수학'에 해당되는 내용으로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한 교과서를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1학년 수학I 교과서에 스토리텔링 기법을 어떻게 적용하였는지 분석해 보고, 고등학교 1학년 교사와 학생들의 스토리텔링에 대한 이해와 활용실태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 PDF

과학탐구활동을 위한 천문 관측 자료의 실시간 전송 및 영상 구현 실험 방법 개발 (Developing Experimental Method of Real-time Data Transfer and Imaging using Astronomical Observations for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 김순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83-199
    • /
    • 2012
  • 종래의 지구과학 교과서에서는 대중 과학잡지를 비롯한 각종 언론 매체에서 자주 다루는 최신 천문 현상들에 대한 내용이 매우 부실하였다.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내용들을 적극 수용하자는 것이 주요 개정 방향 중 하나이다. 추가로, 천문학과 물리학의 깊은 연관성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지구과학 교과에서는 현대 물리학의 개념, 물리 교과에서는 천문학과의 연관성에 대한 내용이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과학의 융합 개념을 강조하고 있다. 위의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하는 분야들 중 하나로서 고에너지 천체의 격변광 현상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e-Science를 이용한 천체 관측의 실시간 자료 전송 및 영상화를 소개하였다. 그 첫 단계의 실험으로서 우리는 국가 연구 교육 시험망의 하나인 KOREN을 이용한 국내 최초의 한 일간 천문 관측 자료의 대용량 자료 전송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관측 분야에서 활발하게 진행되는 세계 각국의 e-Science 분야들을 소개하고, 과학탐구활동 및 과학 대중화 활동과 어떻게 연결되어 진행되는지 소개하였다. 아직 걸음마 단계인 국내 천문 분야의 e-Science에 있어서 우리의 실험이 가지는 과학적 및 교육적 의미를 짚어보고, 머지않아 상용화될 Gbps급 인터넷 환경에 있어서 이와 같은 실험의 과학탐구활동 및 과학 대중화 활동에 있어서의 활용을 전망해 보았다.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for Tasks on Polar Coordinates

  • Oh, Hye Mi;Park, Jee Hyun;Kwon, Oh Na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119-131
    • /
    • 2013
  • It is the first time that there is a subject, advanced mathematics in the 2009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Therefore it is posing a challenge to the teachers who are teaching it. At the advanced level, it is important for learners to reflect on their mental mathematical activities. This research analysed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in solving the tasks specific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polar coordinates. We report how and through what process mathematical tasks that can create disequilibrium f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enable reflective thinking and expand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thoughts and recognition of defining reflective thinking in looking back on one's problem solving and thinking processes.

스토리텔링 기반 수학 교과서에 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 (A Study on th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the Storytelling-based Mathematics Textbook)

  • 박윤자;김권욱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1권4호
    • /
    • pp.587-607
    • /
    • 2015
  • The 4th grade storytelling-based mathematics textbook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as introduced in 2013. This study analyzed and investigated their perceptions regarding the storytelling teaching and learning, the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storytelling, the reconstruction of storytelling,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textbook and their feelings of the storytelling lessons. For this objective, we administered the open and multiple choice surveys to fifty 4th grade teachers who had taught storytelling mathematics in 2013~2014 school years, four of them gave in-depth interviews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and reliable settlement of the storytelling teaching and learning.

수학 수업 중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교실문화 형성하기 (Establishing Classroom Culture Supporting Harmonious Communication in Mathematics Instruction)

  • 김진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2권2호
    • /
    • pp.99-115
    • /
    • 2009
  •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중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의사소통의 강조이다. 의사소통은 단지 학생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것이 아니다. 즉, 의사소통과 발표는 구분되어야 한다. 본 고에서는 의사소통이 원활이 이루어지는 교실문화 형성을 위해 교사에게 요구되는 교수 학습 실제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