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tribution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8초

청소년의 또래폭력 귀인양식과 도덕적 판단에 대한 삽화연구 (Adolescents' Moral Reasoning & Attribution about Peer Violence)

  • 이상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2권
    • /
    • pp.314-339
    • /
    • 2000
  • To identify adolescents' moral reasoning and attribution about peer violence, vignette study was conducted. 178 subjects selected from 4 inner city schools were asked to evaluate provoked violent situations. 4 situations depicting the provocation/retribution condition and 3 short vignettes depicting peer violence were presented, and adolescents were asked to judge the violent behavior and the morality of story characters. Analyses revealed that many adolescents focused more on the immorality of the provocation and perceived "hitting back" as a form of reciprocal justice. And a number of adolescents attributed the responsibility to the both of prosecutors and victims with situations which have obscure informations to judge the violent behaviors. In addition, adolescents having more violent characteristics were more likely to attribute the responsibility of violence to the victims than non-violent adolescents. Several suggestions based on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chool or class-based conflict resolution program should be implemented to intervene in a dispute between peers. Second, it is necessary for comprehensive program such as Aggression Replacement Training including moral education as well as behavior modification to resolve peer violence.

  • PDF

선행(善行)과 구원(救援)의 연관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good deed and salvation)

  • 김재천
    • 대순사상논총
    • /
    • 제18권
    • /
    • pp.135-148
    • /
    • 2004
  • Why do religions emphasize good deeds like charity or love? What kind of relation are there between good deeds and salvation? Early Buddhism stresses that the deed of mortal cannot escape retribution. And deeds are intentional act, so those are representation of mind. Therefore an issue of mind raises its head before action. The extinction of ignorance and thirsty gives rise to good mind, and the good mind produces good deed. Mahāyāna Buddhism accentuates charity. It signifies that the mind of oneself sympathizes the mind of others. That is impossible unless one throws away attachment to oneself. The alms deed makes that possible. In Roman Catholicism Ten Commandments assert absolute worship to god. The transcendental merits devaluate worldly ones, so the mind can obtain calmness. Protestant claims the one can acquire salvation only by faith. And the salvation leads human to good deed. In conclusion good deeds are not ways and means to mokṣa or grace, but identical with them in Early Buddhism and Mahāyāna Buddhism, and Roman Catholicism and Protestant.

  • PDF

영화 「친절한 금자씨」에 나타난 팜므파탈 이미지 분석 (An Analysis of Image of Femme Fatale Represented in the Movie 「Sympathy for Lady Vengeance」)

  • 양은진;이언영;이인성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97-202
    • /
    • 2007
  • The femme fatale image presently observable in various fields is reproducing its image through repetitive imitation, change and application, in particular, through 'movies' which have a greater ripple effect on the public than any other mass media by incessantly producing a countless number of images.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intrinsic mea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of femme fatale, understand the modern expression of it in movies and finally shed light on its image represented in Korean movies. For this study, the literature and internet materials related to the image of femme fatale in the movie "Sympathy for Lady Vengeance" and the general concept of femme fatale were comprehensively surveyed. The femme fatale image which is represented in this movie is classified into 4 images ; disguise & mystery, retribution & cruelty, enchantment & beauty, salvation & redemp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an insight into how the femme fatale image is expressed in movies, the mass media which has a gigantic ripple effect, and provide the momentum to recognize the need and significance of understanding the femme fatale image represented in Korean movies.

The Positive Impact of Corporate Ethical Management on Employee Performance

  • Namim NA
    • 산경연구논집
    • /
    • 제14권11호
    • /
    • pp.19-25
    • /
    • 2023
  • Purpose: Prior studies regarding ethical management on worker's performance have primarily focused on specific industries or regions, potentially limiting the generalizability. This gap in knowledge underscores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that considers a diverse range of industries and thoroughly examines the multifaceted aspects of ethical managemen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academic search platform used for this study was 'Google Scholar', 'Scopus', and 'Web of Science' indexes various scholarly articles, including peer-reviewed journals and books. By utilizing specific search terms such as "corporate ethical management" and "employee performance," a vast pool of relevant studies was identified.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d four effects: first,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thical management practices and heightened employee motivation and engagement; second, an augmentation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mong employees; third, a reduction in turnover rates, indicating enhanced employee retention; and fourth, an elevation in overall productivity and performance outcomes. Conclusions: In sum, this study offers actionable insights, advocating for adopting and reinforcing ethical management strategies as a potent means to foster a high-performance work culture. These encompass fostering a robust ethical framework, cultivating a culture of transparency and open communication, and providing avenues for employees to voice ethical concerns without fear of retribution.

환경심리 측면에서 본 불교의 대상인식(I) -개념설정을 중심으로- (Environmental Cognition of Buddhism in the View of the Environmental Psychology(I) -Formation of Concept-)

  • 김태경;최기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1-32
    • /
    • 1992
  • This paper is studied on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cognition on accordance with the oriental(especially Buddhism) process of thinking. The Yeongiron(theroy : one of th most famous philosophy of Buddhism, the theory of cause and occasion) consists of the upgam-yeongi, the aroeyasik-yeongi, the chinyeo-yeongi and the pupkye-yeongi. And the concept of these theory are as follows: The conceptural elements of upgam-yeongi consist of sack(色), soo(受), sand(想), hand(行), sik(識). The elements connects with the western environmental psychology such as sack and objects, soo and stimuli, sand and perception, hand and cognition, sik and behavior. Similarly, aroeyasik-yeongi that consist of sangbun(相分), kyunbun(見分), chajungbun(自證分), chungjajungbun(證自證分) connects with objects, perception, cognition, behavior too. The chinyeo-yeongi divide into smase(三細) and yukchu(육추), the samse consist of mumyungupsang(無 明業相), nungyunsand(能見相), kyungyesand(境界相) and the yukchu consist of chisang(智相), sangsoksang(相續相), chipchisang(執取相), kyemyungjasang(計明字相), kiupsang(起業相), upgyegosang(業繫苦相). These elements are relates with the concept of western environmental psychology from objects to behavior too. Pupkye-yeongi represent a characteristic of objects itself rather than a process of environmental cognition.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that the religion and scientific methods should be compare. sack(色) : an elements of it's derivation, all kinds of material soo(受) : a function of reception, feeling sang(想) : a representation of a thought in the mind hang(行) : mental operation sik(識) : a function of judgement sangbun(相分) : the thing in itself kyunbun(見分) : a reflection in the mind chajungbun(自證分) : confirmation of kyunbun chungjajungbyn(證自證分) : self-consciousness through self-examination mumyungupsang(無明業相) : a state of mixture with the object and the subject nungyunsang(能見相) : an operation of the subject kyungyesang(境界相) : a formation of object chisang(智相) : the beginning of distinction sangsoksang(相續相) : a judgement chipchisang(執取相) : a rsponse kiupsang(起業相) : have a influence to the next behavior upgyegosang(業界苦相) : retribution

  • PDF

『충렬소오의(忠烈小五義)』의 국내유입과 스토리 연구 (The study on Zhong-lie-xiao-wu-yi(『忠烈小五義』)'s transmission and the story)

  • 김명신;민관동
    • 비교문화연구
    • /
    • 제29권
    • /
    • pp.85-111
    • /
    • 2012
  • Zhong-lie-xiao-wu-yi(忠烈小五義), whose author was Shiyukun(石玉昆), is a Xia-Yi-Gong-An(俠義公案) novel in the late Qing Dynasty. This work published in 1890 when Emperor Guangxu(光緖) governed China. This work's author is Shiyukun, distribution books has an amender. The amender will be a shuoshuyiren (說書藝人). Zhong-lie-xiao-wu-yi is Zhong-lie-xia-yi-zhuan(忠烈俠義傳)'s a sequel, the story leads from Zhong-lie-xia-yi-zhuan. It is just the beginning of Zhong-lie-xiao-wu-yi is redundant. Zhong-lie-xiao-wu-yi was introduced to the late Chosun(朝鮮) Dynasty. This work was translated in Hangeul, Chosun's readers read Zhong-lie-xiao-wu-yi. This work's circulation is not clear, But this work's exciting story is interested in the readers. This work is characte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Zhong-lie-xia-yi-zhuan's charaters appear equally, the readers feels familiar. The readers like the familiar characters, because the readers read the book. The familiar characters can have a sense of speed in reading. Second, the story is continuous. Zhong-lie-xiao-wu-yi is narrated by connecting Zhong-lie-xia-yi-zhuan's story. Third, Zhong-lie-xiao-wu-yi was seeking an open ending. Classical novels prefer happy ending, this work is open ending, the expectations for the sequel became more doubled. The fourth, this work took advantage of the colloquial expressions. Zhong-lie-xiao-wu-yi is Huabenti(話本體) novel, took advantage of the spoken language. Suyu(俗語) and xiehouyu(歇後語) was represented in this work. Fifth, this work is formed a universal consensus. Ordinary people must empathize about xia-yi(俠義) and retribution, this work was well represented. Because the readers would have liked to this story.

『삼합명주보검전전(三合明珠寶劍全傳)』의 판본과 서사에 대한 고찰 (The Study on San-he-ming-zhu-bao-jian-quan-zhuan (三合明珠寶劍全傳)'s Xylographic Book and Narration)

  • 김명신;민관동
    • 비교문화연구
    • /
    • 제31권
    • /
    • pp.65-94
    • /
    • 2013
  • San-he-ming-zhu-bao-jian-quan-zhuan(三合明珠寶劍全傳), this work is characte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San-he-ming-zhu- bao-jian-quan-zhuan's charaters appear equally, the readers feels familiar. this work is formed a universal consensus. Ordinary people must empathize about xia-yi(俠義) and retribution, this work was well represented. Because the readers would have liked to this story. It was an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the Joseon Dynasty(朝鮮) all the way, The Joseon Dynasty imported books and the products of civilization. High official, official interpreter, woman loves the classic Chinese novel. The classic Chinese novel was transcribed, published, translated into a book. San-he-ming-zhu-bao-jian-quan-zhuan were introduced in the Joseon Dynasty, Sungkyunkwan(成均館) University holds one version. This work is being compromised, many missing words. Domestic holdings are rare. San-he-ming-zhu-bao-jian-quan-zhuan is a novel of chivalry, the character are classified into the chivalry, negative hero, person of affection, fantastic figure. This work is centered around Majun(馬俊). Maluanying(馬鸞英) is the heroin, seen as the classic case of overcoming adversity. Quzhongcheng(屈忠成) is the prime minister, negative figure, he fight with the chivalry, was defeated at the end. Liuxu(柳絮) is person of affection, overcoming adversity, marries the two lady, has a heroic side. Fantastic figure is more enriching the contents of the work, is Buddhist and Taoist figure, serves as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role. San-he-ming-zhu-bao-jian-quan-zhuan is a similar assessment on Zheng-chunyuan(爭春園)'s character and plot, But Liuxu's love story is strengthened. Therefore, continued research is needed for this work.

고문폭력 생존자가 반추한 고문의 고통 체험 : 군사정권시대 간첩혐의 희생자를 중심으로 (Lived Experience of Suffering for Victims of Torture : among the suspected espionage agents under the military government)

  • 김현경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2호
    • /
    • pp.235-274
    • /
    • 2011
  • 본 연구는 군사정권시대에 간첩으로 몰려 고문폭력에 희생되었던 개인이 반추한 고문의 고통 체험의 구조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실행되었다. 자료는 본 연구대상의 체험이 담긴 텍스트에서 수집한 자료를 상호주관적 삶으로서의 역동성과 의미를 잘 나타내주는 파시(Parse)의 현상학적-해석학적 연구방법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군사정권시대 간첩혐의 고문폭력생존자가 반추한 고문의 고통 체험은 자기(self)를 파괴시키는 가혹성에 주저앉았고, 신(神)이 내린 '죽음에 이르는 형벌' 로 억압받아 그늘진 세월에 묶여 생존하였으나 존재로서의 고유한 인간성을 회복해가는 구조로 나타났다. 그러한 구조를 전환시키면 온갖 폭력과 왜곡으로 간첩이 되었고 가족의 낙인과 시달림을 지켜보는 고통을 받아 억울하나 가려진 존재로 남아 견디어 희생자였던 과거를 보듬으며 응집된 자기(self)를 향한 통합을 추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해석은 파시의 추상성 높은 개념으로 통합하여 상상화, 언어화, 가치화를 가능-제한, 노출-은폐시켜 강화성으로 변형되어가는 과정으로 재해석되었다. 끝으로 고문폭력에 대한 인권적 접근과 치료적 이해를 논의하고 실천적 함의를 다루었다.

사생관 척도의 개발 (A Study on Development of a View of Life and Death Scale)

  • 이누미야 요시유키;한성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0권1호
    • /
    • pp.31-8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청년기 사생관의 전체적 구조를 밝히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즉, 자살, 임신중절, 장기기증 등의 청년기와 관련이 깊은 생명윤리문제에 대한 태도는 죽음에 대한 태도와 그 배경에 있는 내세관의 영향을 받아 형성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이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밝혀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종합적인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우선 선행 연구들에 대한 검토 결과를 토대로 하여 종합적인 새로운 사생관 척도 제작을 시도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내세관 특성(내세지향성, 현세회귀성), 죽음의 의미(해방, 자연, 집대성, 좌절, 충격, 허무), 죽음불안, 죽음관여도(죽음수용, 죽음관심), 생명존중의지(자살억제의지, 중절억제의지, 장기기증의도) 등의 개념적 정의 및 조작적 정의를 재정립하였다. 이로써 개인이 가지고 있는 사생관을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으며 사생관의 내부구조를 밝힐 수 있는 도구가 마련된 것이다. 또한 그 동안 일부 요소(예컨대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등)와의 관계만이 연구가 가능했던 정신건강이나 심리적 적응 및 심리 사회적 발달과 죽음에 대한 태도의 관계를 사생관 전반에 걸쳐서 보다 체계적으로 검토할 수 있게 되었다.

  • PDF

사형제도의 윤리적 정당성 - 사형에 대한 응보론적 논증을 중심으로 - (Ethical Justification of Capital Punishment - Retributive Argument against the Death Penalty -)

  • 이윤복
    • 철학연구
    • /
    • 제145권
    • /
    • pp.351-380
    • /
    • 2018
  • (범)죄(crime)를 저질렀다면 (처)벌(punishment)을 받아야 한다. 그 근거는 무엇이며 또한 잘못에 합당한 형벌(penalty)은 무엇이어야 할까? 그 형벌은 저질러진 죄에 상응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것이 응보론의 주장이다. 응보론에 따르자면 양과 질에 있어서 서로 다른 범죄에 대해서는 이에 상응하게 양과 질이 서로 다른 형벌이 과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눈에는 눈, 이에는 이'에서와 같이 정확히 상응하는 형벌을 확정하는 데는, 즉 질과 양에 있어서 정확한 등가성을 확보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과 애매모호함이 있을 수밖에 없고, 여기서 응보론은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밖에 없다. 특히 최고의 범죄에 상응하는 최고의 처벌로서의 사형은 이 문제와 관련하여 그야말로 핵심적 논란거리일 것이다. 최악의 범죄는 최고의 처벌을 받아야 한다는 데는 모두가 동의할 것이다. 그러나 극한 범죄(Capital Crime)에 대한 극한 처벌(Capital Punishment)로서의 사형 즉 죽음의 형벌(Death Penalty)이 과연 정당한 것인가의 문제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의문을 제기하며 또한 반대의 입장에 설 것이다. 한편 또 다른 편에 선 많은 사람들은 극한 처벌로서의 사형은 응보론에 의해 정당화되는 것으로서 적절한 처벌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과연 그럴까? 본 논문에서는 우선 이러한 문제, 즉 응보론적 처벌이론에 따른다고 하더라도 사형이라는 형벌이 쉽게 혹은 당연하게 정당화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응보론이 지닌 진정한 의미를 보다 자세히 검토해 봄으로써 논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응보론에서 제시하는 등가성의 원리나 비례성의 원리는 모두 그것만으로써는 사형을 완벽하게 정당화할 수는 없고 사형을 완전하게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원리 혹은 기준으로서 도덕성의 기준이 필요하다는 것이 드러난다. 이는 결국 사형의 정당성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논의(처벌행위의 도덕적 기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또 다른 논의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지는 두 가지 의문 즉, 1)정당방위나 혹은 범인에 대한 사살의 근거는 무엇일까? 2)처벌행위의 도덕적 정당성과 일반 행위의 도덕적 정당성은 동일한 차원의 것일까? 라는 의문을 제기하였다. 첫 번째 의문을 통해 우리가 지적하고자 하는 사실은 다음과 같다. 즉 정당방위나 범인 사살의 정당성을 인정하지만 사형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범죄는 처벌되어야 하되 그 형벌은 어떤 죄에 상응하는 것이든 죽음까지는 포함되어서는 않되지만 지금 저질러지고 있는 혹은 저질러질 더 큰 범죄 즉 많은 생명을 앗아가는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국가 공권력에 의한 생명의 박탈을 통해 미리 처벌하는 것이 허용되어야 함'을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특정한 조건 아래서는 생명의 박탈이 가능함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그들을 딜레마에 빠지게 한다. 즉 사형폐지론자들은 범인에 대한 사전처벌로서의 범인사살을 부정함으로써 그들 자신의 입장을 고수하든지 아니면 정당방위나 범인사살을 인정함으로써 사형폐지의 주장을 포기하든지 둘 중의 하나를 택해야 하는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사전처벌로서의 범인사살이나 정당방위는 극한 처벌로서의 사형에 그 정당성의 근거를 두고 있는 듯이 보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제안하고자 하는 고려사항 중 두 번째 의문 즉 일반적인 행위의 정당성과 처벌행위의 정당성은 과연 같은 차원의 정당성을 요구하는가의 의문은 '검증가능성의 원리도 검증 가능해야 하는가?'라는 물음과 흡사하다고 할 것이다. 이에 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을 수 있겠으나 필자의 생각으로는 그 두 정당성요구는 차원이 다른 것으로 서로 다른 근거에서 충족될 수 있다는 생각이다. 그리하여 응보론에서 사형의 완전한 정당성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도덕적 기준에 대한 정당화의 근거는 그 시대 그 사회를 구성하는 시민들의 숙의를 통한 합의에 의해 충족될 수도 있을 것이라는 것이 필자의 소견이다. 즉 사형제도에 관한 문제는 안락사나 임신중절의 문제와 마찬가지로 신념의 문제가 아니라 태도 혹은 평가의 문제이며, 현실의 제도나 법의 문제이기에 그에 대한 정당성의 근거는 그 시대 그 사회를 구성하는 시민들의 숙의를 통한 합의에서 찾아질 수 있을 것이다. 시민들의 숙의를 통한 사회적 합의가 결국은 그 사회의 제도와 법의 근거인 것이 현대 민주주의라고 여겨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