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tirement life preparation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17초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 은퇴준비 행동, 은퇴만족도 사이에서 경제적 은퇴준비 상황의 조절효과 (Control Effect of Financial Retirement Preparation on Retirement and Senior Life Perception, Retirement Preparation Actions, and Retirement Satisfaction Level)

  • 김남원;장선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522-531
    • /
    • 2016
  • 평균수명 연장과 2010년부터 베이비부머들이 은퇴하고 노인인구로 편입되면서 은퇴 후 삶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불안감을 제거하기 위한 선행연구들은 은퇴인식과 경제적 은퇴준비가 은퇴 후 삶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경제적 은퇴준비 상황에 따라 은퇴준비 관련 변인들이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경제적 은퇴준비 상황이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 은퇴준비 행동, 은퇴만족도 사이에서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년 11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전국 만 20세부터 69세 이하 성인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연구 목적과 절차를 안내하는 서한과 함께 우편으로 설문지를 배포한 후 수거하거나 연구자가 직접 배포하고 수거하는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불성실하게 응답한 83건을 제외한 설문지 1,417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제적 은퇴준비를 잘할수록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이 긍정적이고, 은퇴준비 행동도 적극적으로 할 가능성이 높으며, 은퇴만족도가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보편적이고 실제적인 은퇴준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 Study on Influence of Physical Preparation for Later Life on Social Relationship after Retirement: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Leisure Life

  • KIM, Jong-Jin
    • 산경연구논집
    • /
    • 제10권10호
    • /
    • pp.7-13
    • /
    • 2019
  • Purpose -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voluntariness in retir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leisure life to examine which parts of later life preparations have influence on the retired lif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this study, the 6th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was conducted on 5,254 members of households with householders over the age of 50.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r life preparation and retired life, this study used personal data based on the serial number of the household members. Results - First, physical preparation for later lif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retired life satisfaction among retirement satisfaction. People showed higher retired life satisfaction. Secondly, physical preparation for later lif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over relationship after retirement among retirement satisfaction. People showed higher satisfaction over relationship after retirement when they were more physically prepared for later life. Conclusions - In particular, leisure life had a mediating effect for the influence of physical preparation for later life on the retired life. Also, leisure life and physical preparation for later life showed a close influencing relationship. People showed active leisure life and higher retired life satisfaction when they were more physically prepared for later life.

A Study on Influence of Economic Preparation for Later Life after Retirement

  • KIM, Jong-Ji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5호
    • /
    • pp.279-290
    • /
    • 2020
  • This study examines how economic preparation for later life directly influences life after retirement. As people's life cycle is gradually getting longer, preparation for the later time with less economic activity after retirement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us,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life after retirement. Data comes from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surveyed carried out by the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in 2015. The analysis includes Cronbach's alpha,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obel Test. This study confirms that voluntary retiremen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Results are in line with previous research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ary retirement and retired life. When a person retires voluntarily, financial preparation can be made in advance for retirement. In case of involuntary retirement, people may experience a sense of loss in personal standing and financial difficulties due to the unexpected situation. Especially, early retirement from the main workplace leads to unstable later life. The study's policy recommendation, in particular, calls on government and businesses to agree on social responsibility for helping employees to retire in the predictable retirement time and, thus, enabling the retiree to decide all aspects of the path after retirement.

노후불안, 노후생활 준비 및 노후 생활지원 요구와 은퇴 후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일본 은퇴자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Effect of Retirement Anxiety, Retirement Life Preparation and Post-retirement retirement needs on Life Satisfaction in Retirement -Focusing on Japanese Retiree Survey Data-)

  • 이수진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8권3호
    • /
    • pp.1-16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은퇴자 조사 자료를 이용해서 은퇴 전후의 노후불안, 노후생활 준비, 노후 생활지원 요구를 파악하고, 이런 요소들이 은퇴 후의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분석 자료는 일본 전국 60세 이상 74세의 은퇴자를 대상으로 조사된 것이며 분석에는 1,257명의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후불안 요인 중 남성과 여성 모두 수입과 저축, 생활비 부족 등의 경제적인 면에서의 노후불안이 다른 노후불안 요소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경향은 특히 남성에서 더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입과 저축, 생활비 부족 등의 경제적인 면에서의 노후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남성과 여성의 은퇴 후 생활만족도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후생활 준비의 측면을 보면 남성과 여성 모두 경제적 기반에 대한 준비 점수가 클수록 은퇴 후 생활만족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은퇴 후 노후 생활지원 요구의 영향에 대해서는 남성의 경우에, 은퇴 후 재고용 및 재취업 기회가 필요하다고 생각할수록 은퇴 후 생활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은퇴 이후의 시기에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지역사회참여 프로그램 및 취업연계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은퇴준비필요도와 은퇴준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은퇴교육참여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Degree of Requirements for Retirement Preparation and the Effect of Retirement Preparation on Quality of Lif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Retirement Education)

  • 박해리;민현정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4호
    • /
    • pp.647-655
    • /
    • 2017
  • 본 연구는 은퇴교육필요도와 은퇴교육준비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은퇴준비의 매개효과와 조절변수인 은퇴교육참여도가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조사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유의표집하였으며, 2017년 5월부터 7월까지 충청남도 9시 군 212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남자 58.5% 여자가 41.5%로 남자가 많았으며, 거주지역은 시지역이 76.9%, 군지역이 23.1%로 시 거주자가 많았다 세부연구문제는 첫째로 일반적 특성에 따라 삶의 질의 차이, 둘째로 은퇴준비필요도, 은퇴준비, 은퇴교육, 삶의 질의 상관관계, 셋째로 은퇴교육은 은퇴준비와 삶의 질 간의 간접효과를 조절을 보았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 검증결과 거주지역에 따라서는 시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이 군 지역에 사는 사람보다, 대학원 졸업이상이 대학이하 집단보다 높았다. 직업에 따라서는 공무원, 회사원이 자영업보다 높았으며, 경제수준과 건강수준에 만족하는 집단이 삶의 질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관분석결과 은퇴준비와 삶의 질, 은퇴준비 필요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또한 삶의 질과 은퇴교육, 은퇴교육 필요도와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은퇴교육과 은퇴준비필요도에 따라서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은퇴교육참여는 은퇴교육 필요도, 은퇴준비도를 거쳐서 삶의 질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조절하였다. 즉, 은퇴교육 필요도는 은퇴준비에 영향을 주고 은퇴교육 간접효과에 의해 삶의 질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은퇴준비에 은퇴교육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은퇴교육의 필요성에도 삶의 질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노후 경제적 대비 여부에 따른 가계 경제의 차이와 재무관리행동 (Differences in Household Economic Status and Financial Behavior between Household Conducting and Not-conducting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 양세정;이성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1호
    • /
    • pp.1-16
    • /
    • 2009
  • Using the 2007 Fund Investors Survey, we investigated (1) the differences in economic status in terms of household income, consumption, saving, assets and debts, (2) the differences in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3) and the differences in confidence in economic status after retirement between households conducting and not-conducting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The major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only 46.4% of the households were financially preparing for retirement. The levels of income, consumption, and saving were higher among households conducting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than among those not-conducting such financial preparation. Second, households conducting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had a relatively high propensity to save. Their financial asset portfolio had a higher weight in safety assets and investment assets than in retirement assets. Due to their lack of confidence in their economic status after retirement, their demand for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remained. Third, the households which did not conduct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tended to have a relatively heavy debt burden and not to implement general household financial management practices. Fourth, among the three-pillar retirement income system, the second pillar, of individual retirement account was not well established. Based on these results, various implications were suggested.

40-50대 직장인의 노후준비와 자산보유 유형 (Differences in Retirement Preparation and Asset Type in the Elderly Life of Employees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 김향숙;박명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1-206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retirement preparation and asset type in the elderly life of employees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Retirement preparation showed a score of 3.30, and the emotional preparation dimension of retirement preparations showed a slightly higher score. The retention of guarantee assets(insurance and, national pension) scored higher than other types of assets.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economic preparation and the type of asset retention.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economic preparation, monthly income, home ownership, and the education level had significant effects on assets retention,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independent variables was 39.7%.

중년기 남녀 봉급생활자의 은퇴계획 비교 분석 : 경제적 준비와 건강준비를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Male and Female Middle-Aged Salaried Workers' Retirement Plans: Economic Preparation and Health Care Plans)

  • 홍성희;곽인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1호
    • /
    • pp.193-20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iddle-aged salaried workers' retirement plan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lans. The main point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ale workers with female workers on their economic preparation and health care plan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iddle-aged salaried workers perceived their level of economic retirement plan to be relatively low. Second, the factors the affected the level of economic preparation for post-retirement were their current subjective economic level, age, household assets and debts, economic and health problems expected in their future elderly life, and savings and assets reserved for their elderly life. Third, the factors that affected whether to put aside savings for elderly life or not were age, current subjective economic level, capital assets, and savings and assets reserved for their elderly life. Fourth, the level of preparation for post-retirement health care depended on health problems expected in their elderly life, current subjective economic level, locus of control, job, and expected retirement age. Overall, the factors that affect male salaried workers' economic and health care plan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female salaried workers. From th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middle-aged salaried workers' level of economic retirement plans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ir health care plans. Also, male salaried workers' level of retirement plan were different from that of female workers.

언론인의 은퇴 태도가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Effects of Retirement Attitudes of Journalists on Satisfaction with Life in Retirement Preparation -Focused on Gwangju, Jeonnam Area-)

  • 이계상;정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724-734
    • /
    • 2016
  • 본 연구는 언론인의 은퇴 태도가 노후 준비에 미치는 영향 및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언론인의 은퇴 태도를 강화하여 노후준비를 위한 언론인 복지 정책과 실천의 방안을 제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 대상은 광주, 전남지역 언론사에 근무하는 언론인으로 총 233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SPSS 18.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언론인의 은퇴태도가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노후준비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론인의 은퇴태도가 노후준비의 매개효과를 통해 삶의 만족도가 극대화 된다고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언론인의 은퇴 태도와 노후준비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창원시 베이비부머 세대의 직장만족과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노후준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Work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Baby Boomer : Focused on Retirement Preparation as Mediator Effect)

  • 장유미;강양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084-109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삶의 질 정도와 노후준비를 살펴보고 직장생활, 노후준비, 삶의 질 간의 실증적인 관계를 파악하여 직장생활을 하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삶의 질에 노후준비가 어떤 매개효과를 가지는 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창원시에서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베이비부머 세대(1955년-1963년) 204명을 대상으로 2012년 9월 22일~9월 30일의 기간 동안 설문지를 통해 면접 조사하였다. 중심 변수들 간의 연구모형을 SPSS 15.0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특성과 영향력 검증을 한 후, Amos 7.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 창원시에서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베이비부머 세대에 있어서 직장생활 즉 직무에 대한 만족도와 직장생활을 통한 사회적 교류 정도가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의 노후에 대한 준비는 삶의 질에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