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tructured jerky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8초

슬라이스 치즈 첨가에 의한 재구성 돈육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structured Pork Jerky according to Addition of Sliced Cheese)

  • 양철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04-310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hsicochemical, rhe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restructured pork jerky with the addition of sliced cheese(4, 8 and 12%). The TC-1, TC-2 and TC-3 samples had lower moisture contents than the control, Crude protein and fat cont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among all treatment (p<0.05). The crude ash and salinity values of TC-1, TC-2 and TC-3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With the addition of sliced cheese(l2%), the manufacturing yield and water absorption ability were high among all the different treatments, but the control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than TC-1, TC-2 and TC-3. The pH ranged from 5.62-6.01 in all treatments and the TC-3 sample had the highest pH, The water activity range was 0.70 - 0.74, and the various treatments had slightly higher than the control. The hardness of the TC-3( J 2%) treatment was the lowest among all the treatment. The strength values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es in sliced chees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p>0.05). The sensory evaluation for color and flavor received the highest scores in working males 6.96(TC-2) and student males 7.50(TC-2), respectively. The texture scores ranged from 7.07-7.63 and were the highest of all sensory evaluation factors, For overall acceptance the highest scores were received from student males(TC-3), student females(TC-2), working males(TC-2) and working females(TC-l), respectively.

돈육 재구성 육포의 흑미가루 첨가량에 따른 품질특성 (Effects of black rice powder concentration on quality properties of pork restructured jerky)

  • 박신영;김학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474-47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돈육 재구성 육포에 흑미가루가 첨가되었을 때 일어나는 품질 변화 및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처리구별로 돈육 재구성 육포 제조 시 흑미가루 첨가함량을 0, 1, 3, 5%로 구분하여 제조하였다. 수분함량은 흑미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단백질함량과 지방함량은 흑미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육포의 가열 전 후 pH는 흑미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가열 전 후 색도는 흑미가루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 적색도, 황색도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돈육 육포의 보수력과 가열수율은 흑미가루 첨가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흑미가루 3%와 5%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가열수율을 나타내었다(p<0.05). 흑미가루 첨가수준에 따른 전단력 변화는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으며, 관능평가 결과 색도, 향미, 연도,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도 평가에서 흑미가루 3, 5% 처리구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면, 돈육 재구성 육포에 흑미가루를 일정수준 이상(3, 5%) 첨가하였을 때 대조구에 비해 이화학적 특성들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므로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재구성 스틱형 육포의 포장방법이 저장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ckaging Methods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Stick Type Restructured Jerky)

  • 최윤상;정종연;최지훈;한두정;김학연;이미애;백현동;김천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0-298
    • /
    • 2007
  • 재구성 스틱형 육포의 저장 중 안정성 및 저장성 확보를 위하여 육포의 포장 방법 및 저장기간에 따른 pH, 수분활성도, 지방산패도, 경도, 총균수 및 관능검사를 측정하여, 육포의 품질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육포를 제조하여 상온에서 90일간 저장하면서 시료를 분석하였다.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일반포장과 진공포장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수분활성도는 진공포장에서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일반포장의 경우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간장 육포의 TBA 수치는 저장 15일부터 포장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고 고추장 육포는 저장 30일부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경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진공포장이 일반포장에 비해 경도의 변화가 적었다. 총균수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저장 동안 진공포장을 한 육포가 일반포장에 비해서 총균수가 적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도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체적으로 진공포장이 일반포장과 비교하여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일반포장은 소량의 공기를 포함하기 때문에 지방산패에 의한 산패취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서 식감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육포의 저장 중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진공포장으로 유통하는 것이 저장성 측면에서 우수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Kimchi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mi-dried Pork Jerky

  • An, Kwang-Il;Choi, Ji-Hun;Choi, Yun-Sang;Han, Doo-Jeong;Kim, Hack-Youn;Lee, Mi-Ai;Kim, Si-Young;Kim, Tae-Hyun;Kim, Cheon-Je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98-205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imchi powder addition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semi-dried pork jerky. Jerky was unamended (control) or was amended with dried kimchi powder to a concentration of 1% (T1), 2% (T2) or 3% (T3). The contents of moisture and ash were the highest in the T3 treatment. The protein content was highest in the control,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t content. The control exhibited the highest pH value, whereas T2 exhibited the lowest metmyoglobin content. The dry yield and water activity of T2 treatment were high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iobarbituric acid value. Shear force was highest in the control. Overall, T2 produced a product with the best sensory evaluation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