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t-benefit analysis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3초

Long-Term Effects of ACE Inhibitors in Post-Tuberculosis Emphysema

  • Kim, Myung-A;Lee, Chang-Hoon;Kim, Deog-Kyeom;Chung, Hee-Soo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9권6호
    • /
    • pp.418-425
    • /
    • 2010
  • Background: Little is known about the long-term effects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treatment on post-tuberculosis emphysema.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ACE inhibition on cardiac function and gas exchange in patients with post-tuberculosis emphysema. Methods: At baseline and at 6 months after initiation of ACE inhibition therapy, patients underwent pulmonary function testing, arterial blood gas analysis, and echocardiography, both at rest and post exercise. Cardiac output (CO) and righ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RVEF) were measured at those time points as well. Results: After ACE inhibition; resting and post-exercise RVEF ($Mean{\pm}SEM,\;61.5{\pm}1.0,\;67.6{\pm}1.2%$, respectively) were higher than at baseline ($56.9{\pm}1.2,\;53.5{\pm}1.7%$). Resting and post-exercise CO ($6.37{\pm}0.24,\;8.27{\pm}0.34L/min$) were higher than at baseline ($5.42{\pm}0.22,\;6.72{\pm}0.24L/min$). Resting and post-exercise $PaO_2$ ($83.8{\pm}1.6,\;74.0{\pm}1.2mmHg$, respectively) were also higher than at baseline ($74.2{\pm}1.9,\;66.6{\pm}1.6mmHg$). Post-exercise $PaCO_2$($46.3{\pm}1.1mmHg$) was higher than at baseline ($44.9{\pm}1.1;\; Resting\;42.8{\pm}0.8\;vs.\;42.4{\pm}0.9mmHg$). Resting and post-exercise A-a $O_2$ gradient ($12.4{\pm}1.4,\;17.8{\pm}1.5 mmHg$) were lower than at baseline ($22.5{\pm}1.5,\;26.9{\pm}1.6mmHg$). Conclusion: In post-tuberculosis emphysema, RVEF and CO were augmented with a resultant increase in peripheral oxygen delivery after ACE inhibi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n ACE inhibitor may have the potential to alleviate co-morbid cardiac conditions and benefit the patients with post-tuberculosis emphysema.

심장 스텐트 시술과 의료사고 예방 (Cardiac Intracoronary Stenting vs CABG: Prevention of Medical Accident)

  • 김경례;박국양
    • 의료법학
    • /
    • 제18권2호
    • /
    • pp.163-194
    • /
    • 2017
  • 관상동맥 질환은 2017년 고령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에서 앞으로 더 많은 관심을 가질 것이다. 고령화가 될수록 고혈압, 당뇨 등 복합적인 질환이 합병되어 혈관상태도 상대적으로 더 나빠져 관상동맥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심혈관 질병은 심장외과와 심장내과와의 긴밀한 협진이 필요하다. 따라서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환자를 먼저 진료하게 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임상현장에서 객관적인 심장내과 의사의 치료방침에 대한 판단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 심장내과의 비수술적 중재술이 발전하고 있지만 무리한 스텐트 시술로 의료사고도 발생하고 있다. 특히 관상동맥 3개혈관이 모두 막힌 삼중혈관이거나 석회화가 심해 혈관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가 문제이다. 또한 심장외과 의사가 없는 병원에서 무리하게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을 실시하다가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관상동맥이식술 등 외과적 대처가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최근 2년간 한국소비자원(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의료분쟁 조정결정 8사례를 분석한 결과, 심장 중재술을 시행한 병원 중 심장외과 의사가 상주한 곳은 2곳으로 확인됐다. 8사례 모두 심장내과 진료 후 풍선확장술 및 스텐트 삽입한 경우로 7명이 사망했고 이중 5명은 시술 당일에 사망했다. 8사례 중에 3중혈관 환자는 5건이고, 나머지도 석회화가 심하거나 완전폐쇄로 혈관상태가 좋지 않은 상태였다. 2017년 심장내과 스텐트 시술 건수 조사 보고에 의하면 3개 이하 약물 방출 스텐트 시술이 98%로 보고됐다. 2015년 스텐트 시술 건수가 38,922건으로 약800건(2%)은 스텐트가 4개 이상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무리한 스텐트 시술로 마지막 여명에 급사함으로써 신변정리 기회상실은 물론 여명단축에 따른 손해로서 '지도 설명의무' 책임을 물어 전 손해에 대한 배상을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최근 심평원 보험적용 스텐트 시술 개수 제한규제가 없어지면서 무리한 시술과 심장외과 의사 확충에 대한 문제가 있다. '다학제통합진료' 같은 병원차원의 해결방안은 물론 필수요원에 해당하는 심장외과를 공무원으로 확충하는 등 국가차원의 해결방안이 요구된다.

  • PDF

노인요양시설의 산림복지서비스 인프라 및 제공 실태 (An Analysis of Infrastructure and Provision of Forest Welfare Service in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 이인숙;김성재;방경숙;이윤정;김미주;문효정;연평식;하이얀;진영란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9-69
    • /
    • 2018
  •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의 산림복지서비스 인프라 및 서비스 실태, 관련 인식을 조사하여 산림복지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전국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2016년 8월 한 달간 우편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123개 기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고, 응답자는 대부분 원장 혹은 사무국장이었다(75.0%). 복합건물의 일부 층을 사용 중인 노인요양시설(16.3%)은 시설 내에 산림복지서비스 인프라를 갖추기 힘들 것으로 사료되고, 인근에 숲이 없는 경우(약 30%)와 숲이 있더라도 휠체어나 경사로가 없는 경우가 많아 이용에 제약이 많았다. 노인요양시설 운영자들도 산림복지서비스가 노인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지만, 장기요양보험 급여의 필수항목은 아니고, 비용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면서도 낙상, 이식증 등 사고위험이 있어 수행하지는 못하고 있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노인요양시설을 평가할 때, 숲 등 산림치유적 요소를 갖추었는지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시설 내 정원에 화장실 접근성을 높이고, 시설 인근 숲에 휠체어 진입이 가능한 통로와 리프트 이동로, 안전손잡이를 설치하는 등 산림복지서비스가 가능한 환경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는 노인요양시설 산림복지서비스 가이드라인을 개발 보급하여 시설 내외부에서 간편하게 따라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노인요양시설 입소노인에게 신체적 정신적 편안함과 적절한 인지자극을 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