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ponsive web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5초

맞춤형 냉장고 식품 관리 및 분석을 위한 반응형 웹 개발 (Responsive Web Development for Food Management and Analysis of Customized Refrigerator)

  • 최재욱;박지웅;이유진;김혜원;변신웅;주홍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86-48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의 폐기를 줄이고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냉장고 식품 관리 및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블루투스 모듈 기반의 바코드 리더기를 이용해 식품의 영양 정보, 유통기한 등을 간편하게 등록할 수 있도록 했다. 바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식품들도 추가 또는 변경이 될 수 있도록 설계를 하였고, 입력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직접 수정할 수도 있다. 또한 섭취한 식품을 선택만으로 섭취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으며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종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부트스트랩을 이용한 반응형 웹 및 하이브리드 앱 개발 (A Study on Development of Responsive Web and Hybrid App using Bootstrap)

  • 허능호;김형은;최병준;김영진;김용훈;서태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38-741
    • /
    • 2016
  • 다양한 크기의 모바일 기기가 등장함에 따라 기존 웹 어플리케이션으로는 개발자가 의도한대로 레이아웃을 구성하기 어려우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은 운영체제별로 각각 개발해야하기 때문에 많은 개발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트스트랩을 이용하여 기기의 화면 크기에 가변적인 반응형 웹을 구축하고 모바일 운영체제의 웹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앱을 구현함으로써 개발과정 및 개발 시간 단축을 검증하였다.

반응형 웹을 활용한 관광지 소개 사이트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ourism Information Websites using Responsive Web)

  • 차성종;장기태;이희재;권현숙;강민정;남필우;임양원;임한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22
    • /
    • 2014
  • 최근 웹기술의 발전으로 접근하는 기기별로 콘텐츠를 구성하기보다는 하나의 콘텐츠를 제작해 다양한 모바일기기에서 접근하여 볼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반응형 웹기술을 이용하여 관광지 소개사이트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반응형웹을 활용하여 개발하면 이용자는 PC와 모바일기기에서 동일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 관광콘텐츠를 활용하여 반응형웹으로 구성하였으며, PC뿐만 아니라 모바일기기에서 뛰어난 접근성을 제공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MPEG-21 기반 반응형 웹 프레임워크 (Advanced Responsive Web Framework Based on MPEG-21)

  • 문재원;임태범;김경원;이석필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2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47-349
    • /
    • 2012
  • 디바이스 사용 환경이 다양해지면서 이를 고려한 반응형 UI/UX 개념이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해 기존 데스크탑 기반의 UI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 및 사용자 특성을 고려한 적응적인 UI/UX를 제공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MPEG-21을 기반으로 반응형 웹 UI/UX를 제공하는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기존 반응형 웹 디자인은 주로 조합한 여러 단위 기술을 이용하여 해상도의 변화에 반응하여 엘리먼트를 적응 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제안하는 기술은 단일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컨텐츠 및 리소스를 보다 다양한 환경 정보를 사용하여 적응시킨다. 이는 기존 방법과 비교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많은 종류의 리소스 및 데이터를 서비스 함에 있어 3rd 파티 컨텐츠 프로바이더의 참여 및 수정이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자동으로 사용자 환경을 파악하여 맞춤형 컨텐츠 제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 PDF

플립 러닝에 기반한 e-그룹 학습 시스템의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E-group Study System based on the Flipped-Learning)

  • 박주미;이현동;김동현;조대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2호
    • /
    • pp.181-182
    • /
    • 2018
  • 주입식 강의로는 미래형 인재를 키우기 어렵기 때문에 e-러닝의 진화로 주입식 교육의 반대인 플립러닝이 이슈화되고 있다. 주입식 교육에서는 교사의 일방적인 주도성을 가지며 학생의 생동감, 흥미, 능력, 필요를 전혀 무시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그룹 스터디 활동에 플립 러닝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스스로 학습을 유도하는 시스템을 제시한다. 대표 학생은 활동 기간 동안 교사 역할과 함께 책임자가 되고, 수업 할 자료를 공유할 수 있는데 학생들은 자료마다 질문을 남길 수 있다. 대표 학생이 질문 확인을 함으로써 학생 진도를 확인할 수 있다.

  • PDF

모바일 환경에서 개인화 서비스에 적합한 원페이지 디자인과 반응형 웹 디자인 활용 (The application of One Page Design and Responsive Web Design for Personalization Service on the Mobile Environment)

  • 오형용;민병원;오용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18
    • /
    • 2012
  • 온라인 접속이 기존 컴퓨터가 아닌 스마트폰과 타블렛 PC로 확장되면서, 웹에서 보여지는 방법, 즉 웹 디자인에 큰 변화가 일고 있다. 스마트폰, 타블렛 PC, 컴퓨터, 이 세 가지 디바이스에 모두 최적화된 웹 혹은 각각의 디바이스의 환경에 맞춘 웹 퍼블리싱 서비스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지금까지의 인터넷의 역할이 콘텐츠, 검색 쪽이었다면 모바일 기기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그들만의 개인화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맞춰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바로 "One Page Design"의 증가와 반응형 웹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모바일 웹 환경에서 개인화서비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One Page Design과 반응형 웹 디자인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현재 개발진행중인 포털사이트에 적용해본 후, 이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 PDF

위치기반 DBpedia 검색을 위한 반응형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ing Responsive Web Application for Location Based DBpedia Retrieval)

  • 이수형;이용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75-977
    • /
    • 2017
  • 본 논문은 링크드 오픈 데이터(Linked Open Data)의 일종인 DBpedia 개체를 위치기반으로 검색하여 지도상에 표시해주고, 표시된 개체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개체에 관한 RDF 형태의 데이터를 파싱하여 개체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와 사진과 외부로의 링크 등을 제공한다. 또한 개체가 가지는 특성을 지정하여 지도에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필터링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오픈소스 웹 프레임워크인 루비 온 레일즈(Ruby on Rails)를 사용하였고, HTML5와 Google Map API를 활용한 반응형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였다.

스프링 MVC 기반의 온라인 도서관 시스템 (Online Library System based on Spring MVC)

  • 허태성;오민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475-476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시대 흐름에 따라 최근 들어 종이책보다 전자책 이용률이 높아졌기에 이를 바탕으로 독서의 접근성을 더 높이기 위한 온라인 도서관 시스템을 제안한다. 해당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경우, 온라인으로 도서 검색 및 대여, 희망도서 신청 그리고 자유게시판 등의 시스템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관리자의 경우, 간편한 도서 및 회원 관리 기능, 공지사항 기능뿐만 아니라 도서 현황이나 대여 현황 등을 그래프 및 차트로 시각화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주요 사용하는 페이지는 반응형 웹 페이지로 구현을 하였기에 PC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기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 PDF

웹 기반 가상 항로표지 정보 서비스의 구현 및 시스템 통합 방안

  • 박종현;채정근;이충진;김현진;서유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92-294
    • /
    • 2023
  • 본 연구는 가상 항로표지 정보 서비스의 구현과 그 시스템 통합 방안에 대하여 기술한다. 제안하는 가상 항로표지 정보 서비스는 웹 표준을 준수하여 반응형 웹(Responsive Web) 기반 정보 서비스로 구현되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 환경에 상관없이 가상·합성항로표지를 통합적으로 관리 및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향후 해양 디지털 항로표지 정보협력시스템과 연계 및 통합하기 위해, 백엔드 구성 등 시스템 통합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하이브리드 웹 콘텐츠 관리 시스템 구현 (Hybrid Web Content Management System Implementation)

  • 박선경;문형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15-2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현장 체험학습, 전시, 행사, 문화에 대한 다양한 콘텐츠 정보를 수요자가 손쉽게 검색하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맞춤형 체험학습 서비스 플랫폼을 통하여 지역내 수 많은 문화콘텐츠의 가치를 발굴하고 DB 구축하여 수요자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맞춤형 체험학습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안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Beacon 기술은 Google이 개발한 Eddystone 포맷으로 URL을 브로드캐스팅 하는 BLE 기술로서 이는 사용자가 별도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단말기에 설치된 Chrome 브라우저를 통해 웹에서 구현된 플랫폼을 사용자들이 보다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토대로 지역문화 콘텐츠의 데이터베이스화가 완성되면 전국으로 확대시켜 콘텐츠의 다양화와 시장 확대로 수요자에게 더욱더 다양하고 양질의 자기 주도적 문화콘텐츠 체험학습 활동 교육 프로그램들이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