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ource plants.

검색결과 652건 처리시간 0.026초

고사리 뿌리의 채취시기에 따른 전분 추출수율과 이화학적 특성 (Root Starch Yield and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racken (Pteridium aquilinum Kuhn) according to Harvesting Time)

  • 문정섭;염규생;안송희;기세현;정동춘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74-74
    • /
    • 2020
  •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Kuhn)는 고사리 속(Pteridium spp.)에 속하는 양치식물의 총칭으로서 우리나라에는 22과 70속 272종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고사리의 어린 순에는 가식부 100g 당 칼슘 15.0mg, 칼륨 185.0mg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골다공증, 심혈관 질환 등에 효과가 있고 식이섬유로 인해 변비 예방에도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사리 재배면적은 2019년 기준 5,349ha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전체 산채류 재배면적에서 26%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재배면적의 증가에 따라 고사리 재배의 부가가치를 높일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으로 그 중 고사리 뿌리에서 추출한 전분은 중국 및 일본 등지에서 면류나 제과용으로 이용되고 있어 고사리 재배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사리 뿌리의 채취시기에 따른 뿌리 전분의 생산성과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2020년 3월 26일부터 10월 28일 까지 5회에 걸쳐 뿌리를 수확하여 세척한 후 고무망치로 파쇄하고 수침 방법을 이용해 추출한 전분의 추출수율과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채취시기별 고사리 뿌리의 생산성은 7월 27일 수확에서 3,783.3kg/10a로 유의하게 높은 수량을 보였다. 파쇄한 고사리 뿌리를 24시간 sodium metabisulfite 0.4% V/W 용액에 수침하여 전분을 추출한 후 24시간 간격으로 3회에 걸쳐 진탕, 침전과 세척의 과정을 거친 후 조사한 전분 추출 수율은 3월 26일 수확한 뿌리에서 7.6%로 가장 높았고 7월 27일과 9월 24일 채취한 경우에서는 전분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10월 28일에는 4.9%의 유의하게 낮았다. 추출한 전분의 색도분석에서 L값은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a, b값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전분의 색도가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신속점도측정기로 조사한 전분의 호화특성에서는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전분의 최고점도는 높아졌으나 최저점도 및 최종점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전분의 무기물 함량은 3월 26일과 5월 25일 채취하는 경우 Fe > Ca > Mg > K > P의 순으로 함량이 높았으나 10월 28일 채취한 경우에서는 Fe와 Ca이 감소되고 K 함량은 증가하여 Ca > Fe > Mg > K > P의 순으로 무기물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 PDF

Observations of Infection Structures after Inoculation with Colletotrichum orbiculare on the Leaves of Cucumber Plants Pre-inoculated with Two Bacterial Strains Pseudomonas putida or Micrococcus luteus

  • Jeun, Yong-Chull;Lee, Kyung-Hoo
    • Mycobiology
    • /
    • 제33권3호
    • /
    • pp.131-136
    • /
    • 2005
  • Infection structures were observed at the penetration sites on the leaves of cucumber plants inoculated with Colletotrichum orbiculare using a fluorescence microscope. The cucumber plants were previously drenched with suspension of bacterial strains Pseudomonas putida or Micrococcus luteus. The plants pre-inoculated with both bacterial strains were resistant against anthracnose after inoculation with C. orbiculare. To investigate the resistance mechanism by both bacterial strains, the surface of infected leaves was observed at the different time after challenge inoculation. At 3 days after inocula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germination and appressorium formation of conidia of C. orbiculare as well as in the callose formation of the plants between both bacteria pre-inoculated and non-treated. At 5 days, the germination and appressorium formation of the fungal conidia were, however, significantly decreased on the leaves of plants pre-inoculated with M. luteus at the concentration with $1.0{\times}10^7\;cfu/ml$. Furthermore, callose formation of plants cells at the penetration sites was apparently increased. In contrast, there were no defense reactions of the plants at the concentration with $1.0{\times}10^6\;cfu/ml$ of M. luteus. Similarly, inoculation P. putida caused no plant resistance at the low concentration, whereas increase of callose formation was observed at the higher concent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sistant mechanisms might be differently expressed by the concentration of pre-treatment with bacterial suspension.

Observations of Infection Structures on the Leaves of Cucumber Plants Pre-treated with Arbuscular Mycorrhiza Glomus intraradices after Challenge Inoculation with Colletotrichum orbiculare

  • Lee, Chung-Sun;Lee, Yun-Jeong;Jeun, Yong-Chul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1권3호
    • /
    • pp.237-243
    • /
    • 2005
  • Resistance inductions on the leaves of cucumber plant by an arbuscular mycorrhiza Glomus intraradice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infection structures were observed at the penetration sites on the leaves of plant inoculated with Colletotrichum orbiculare using a fluorescence microscope. The severity of anthracnose disease caused by Colletotrichum orbicular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n the leaves of cucumber plant colonized with G intraradices compared with those of non-treated control plants. As a positive control, pre-treatment with DL-3-aminobutyric acid (BABA) caused a remarkable reduction of the disease severity on the pathogen-inoculated leav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either germination or appressorium formation of the plant pathogen between mycorrhiza colonized and non-treated plants. It was also the same on the BABA pre-treated plants. However, the frequency of callose formation was significantly high on the leaves of G intraradices colonized plants compared to those of non-treated control plants at 5 days after challenge inoculation. On the leaves of BABA treated plants callose formation was not significantly high than those of non-treated, although the disease severity was more strongly suppressed. It was suggested that the resistance induced by colonization with G. intraradices might be related to the enhancement of callose formation at the penetrate sites on the leaves invaded by the pathogen, whereas resistance by BABA did not.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님비의 정량적 측정과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NIMBY to Nuclear Power Plants)

  • 원두환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8권4호
    • /
    • pp.557-581
    • /
    • 2019
  • 본 연구는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지역적인 님비(NIMBY)를 정량적으로 추정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가상가치법을 이용하여 원자력발전소가 거주지 주변에 새롭게 건설되는 것을 가정하고, 전력 소비자들이 원자력발전소를 회피하기 위한 님비의 강도를 지불의사액(WTP)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추정 결과 현재 원자력발전소 반경 30km 이내에 거주하는 600명의 응답자와 수도권에 거주하는 600명의 응답자 모두 원자력발전소가 인근지역에 건설되는 것을 반대하였다. 전체 응답자의 평균 지불의사액은 45.3원/KWh으로 국내 전기요금의 43%를 추가적으로 인상하더라도 원자력발전소를 회피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지역 응답자의 지불의사액이 원전지역 응답자의 지불의사액보다 더 크게 나타났는데,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님비가 수도권에서 더욱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승마산(경기도)의 관속식물상 (The Vascular Plants in Mt. Seungma (Gyeonggi-do))

  • 김중현;김선유;이지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97-312
    • /
    • 2012
  • 본 연구는 승마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조사하였다. 2011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13회에 걸쳐 수행되었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94과 260속 340종 5아종 37변종 2품종으로 총 38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국 고유종은 외대으아리, 진달래, 개나리, 오동나무 등 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IUCN 평가기준에 따른 희귀식물은 멸종위기종(CR)인 왕벚나무, 취약종(VU)인 삼지구엽초, 약관심종(LC)인 모새달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 2분류군, III등급 2분류군, II등급 1분류군, I등급 10분류군 등 15분류군이 발견되었다. 생활형조성은 일년생식물(28.3%), 반지중식물(23.0%), 수생식물(14.3%)등이 높게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43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11.2%로 나타났다. 조사지역의 식생은 양호하나 최근 들어 인위적인 간섭에 의한 훼손이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식생변화와 동태파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ggregate Productivity Growth in Korean Manufacturing: The Role of Young Plants

  • KIM, MINHO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9권4호
    • /
    • pp.1-23
    • /
    • 2017
  • I measure aggregate productivity growth in manufacturing between 1995 and 2013 as defined by Petrin and Levinsohn (2012). I decompose aggregate productivity growth into technical efficiency improvements, resource reallocations, and net entry effects. I find that aggregate productivity growth slows down after 2004 and that the rapid drop in technical efficiency growth contributed most to the decline. In this paper, I focus on the role of young plants with regard to productivity growth of Korean manufacturing. I show that young plants account for nearly half of APG (48%), while their value-added share is 14 percent on average between 1995 and 2013. I find that productivity growth at young plants has been declining for the last ten years. The lower growth of continuing young plants contributes to this trend. These results stress the important role of young plants in aggregate productivity growth and imply that understanding the dynamics of young plants is necessary to form effective start-up policies.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Plant Resources of Native Pyrus sp.

  • Ahn, Young-Hee
    • Plant Resources
    • /
    • 제4권3호
    • /
    • pp.157-160
    • /
    • 2001
  • The wild Pyrus plants belong to the deciduous woody plants in Rosaceae family. Most are cultivated for fruit productions, but some for ornamental plants. There are 5 Pyrus species including Pyrus ussuriensis and 8 varieties cultivated in Korea. In Korea, these plants are populated near villages or on the hills, and they are easily propagated since their fruit are very juicy and quite big in size. Plant breeding to get improved cultivars is not difficult because the Pyrus plants are easy to cross breeding among its genus. Because not only this reason but there have been shown lots of variation in wild groups, the Pyrus plants inhabited in Korea are excellent deciduous woody plants and favorable fruit trees to develop ornamental pla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many kinds of fruit trees and ornamental trees containing genetically different character, so that it will be satisfied for many different people's taste and demands. Collecting lots of wild plant resource with diverse genes is necessary for plant breeding.

  • PDF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Plant Resources of Native Pyrus sp.

  • Ahn, Young-Hee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1년도 The 8th International Symposium
    • /
    • pp.15-19
    • /
    • 2001
  • The wild Pyrus plants belong to the deciduous woody plants in Rosaceae family. Most are cultivated for fruit productions, but some for ornamental plants. There are 5 Pyrus species including Pyrus ussuriensis and 8 varieties cultivated in Korea. In Korea, these plants are populated near villages or on the hills, and they are easily propagated since their fruit are very Juicy and quite big In size. Plant breeding to get improved cultivars Is not difficult because the Pyrus plants are easy to cross breeding among its genus. Because not only this reason but there have been shown lots of variation in wild groups, the Pyrus plants inhabited In Korea are excellent deciduous woody plants and favorable fruit trees to develop ornamental pla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many kinds of fruit trees and ornamental trees containing genetically different character, so that it will be satisfied for many different people's taste and demands Collecting lots of wild plant resource with diverse genes is necessary for plant breeding.

  • PDF

약용식물(Artemisia, Acanthopanax and Garlic)의 급여가 돼지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l Medicinal Plants (Artemisia, Acanthopanax and Garlic) on Productive Performance of Sows and on Growth and Carcass Traits in Finishing Pigs)

  • 장해동;이제현;홍성민;정지홍;김인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2호
    • /
    • pp.103-110
    • /
    • 2010
  • 본 연구는 약용식물(Artemisia, Acanthopanx and Garlic)이 함유된 배합사료 급여시 돼지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시험 1은 모돈 90두 공시하였다. 시험 설계는 1) CON (basal diet), 2) BM1 (basal diet +약용식물 0.1%) 및 3) BM2 (basal diet +약용식물 0.2%)로 3개 처리로 하였다. 등지방두께 변화량은 대조구에 비해 약용식물 급여 처리구가 낮은 감소량을 나타내었다(P<0.05). 자돈의 증체량은 대조구에 비해 약용식물 급여처리구가 높은 증체량을 나타내었다(P<0.05). 하지만, 모돈 사료섭취량, 직장온도 및 자돈의 생존율에서는 처리구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시험2는 비육돈에 약용식물 급여시 생산성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시험 개시시 체중이 $65.21\;{\pm}\;0.04\;kg$인 3원 교잡종(Landrace ${\times}$ Yorkshire ${\times}$ Duroc)의 비육돈 60두를 공시하였으며, 8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설계는 1) CON (basal diet), 2) BM1 (basal diet +약용식물 0.1%) 및 3) BM2 (basal diet +약용식물 0.2%)로 3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5반복, 반복당 4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4~8주와 전체기간에서 일당증체량에서 약용식물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내었다(P<0.05). 등심의 pH와 가열감량에서는 CON 처리구가 BM1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내었다(P<0.05). 보수력과 육즙감량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약용식물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내었다(P<0.05). 육색, 지방산패도 및 등심단면적에서는 처리구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비육돈에서는 일당 증체량, 보수력 및 가열 감량에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모돈에서는 등지방두께 감소율과 복당증체량에 효과를 나타내었다.

백두대간 갈전곡봉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Galjeongok-bong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Baekdudaegan, Korea)

  • 변준기;오승환;이규송;윤주은;장정원;정종빈;양종철;김혁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77-484
    • /
    • 2014
  • 연구는 갈전곡봉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식물들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2007년 3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총 12차례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82과 232속 335종 4아종 43변종 3품종의 총 385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한반도 특산식물은 총 9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산림청 지정 한국 희귀식물은 21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환경부지정 특정 식물종은 V등급 4분류군, IV등급 8분류군, III등급 16분류군, II등급 28분류군, I등급에는 33분류군 등 총 89분류군이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귀화식물은 9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2.3%로 나타났다. 조사된 388분류군의 유용도는 식용 152분류군(39.5%), 약용 123분류군(31.9%), 목초용 120분류군(31.2%), 관상용 52분류군(13.5%), 목재용 16분류군(4.2%), 섬유용 4분류군(1.0%), 공업용 3분류군(0.8%)로 나타났으며, 다수의 자원식물이 분포하고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을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