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ual swamps

검색결과 1건 처리시간 0.013초

범람원에 형성된 호소성 습지에 관한 연구 - 낙동강 중류를 사례로 - (Lake-like Swamps Formed in Floodplain on Middle Reach of Nakdong-gang River)

  • 천미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7-39
    • /
    • 2008
  • 본 연구는 낙동강과 그 지류인 금호강에 형성된 호소성 습지의 형성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 시기의 지형도를 비교 분석하고 단면도를 작성하였으며, 퇴적물의 입경분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호소성 습지의 형성 과정을 3가지로 유형화하였다. 첫째, 샛강습지와 금강늪은 망류하천을 이루고 있는 구간에서 분류하여 흐르는 유로의 자유로운 이동 과정에서 남아 형성된 잔적호 습지이다. 둘째, 씩실늪과 낫늪은 배후산지에서 흘러나온 지류가 자연제방의 방해로 유로가 차단되어 자연제방과 평행하게 흘러 본류로 유입되는 yazoo형 습지이다. 셋째, 세천늪과 호촌늪, 진촌늪은 본류 하천의 범람으로 자연제방과 배후습지가 형성된 이후에 다음 홍수시 범람하는 본류 하천이 습지로 유입되어 형성된 범람 유입수형 습지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