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ual chlorine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3초

수용액상에서 클로렐라와 녹차의 염소 제거 효과 비교 (Comparison on Chlorine Removal Characteristics of Chlorella vulgaris and Green Tea in Aqueous Solution)

  • 인만진;조인경;김선희;김동청;채희정;오남순;김동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44-349
    • /
    • 2001
  • 클로렐라는 건강보조식품으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수용액상에서 중금속 제거를 위한 흡착제로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클로렐라를 이용하여 수도물의 소독제로 사용되는 염소의 제거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녹차, activated carbon과 비교하였다. 수용액상에서 pH와 초기염소의 농도가 염소의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최적의 제거 pH는 10이었으며, 염소의 제거량은 초기 염소의 농도가 1.62 g/L까지 증가함에 따라 2.46 mg/mg까지 증가하였다. 녹차의 경우 초기 염소의 농도가 1.0 g/L 이상으로 증가하여도 제거량은 약 1.5mg/mg 정도에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클로렐라와 녹차에 의한 염소의 제거 결과는 Langmuir 흡착모델과 Freundlich 흡착모델에 대단히 잘 맞았으며 Langmuir 흡착모델에 의한 클로렐라의 최대 흡착량은 녹차와 activated carbon의 최대 흡착량에 비하여 약 2배로 나타나 클로렐라의 염소의 제거효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배수지의 배수효율분석을 위한 추적자실험 및 전산유체해석 (Tracer Experiment an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alysis for the Drainage Efficiency of a Reservoir)

  • 조중연;고선호;곽이구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2-27
    • /
    • 2017
  • During the water treatment process for household water supply, a reservoir is the last place the water is stored before being supplied to users, and the duration of the water's stay is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its safety. This may cause the concentration of the residual chlorine disinfectant to increase and thus lower the water's quality. The concentration and discharge efficiency of residual chlorine must be verified and managed, because these are key factors that affect the reservoir's performance. Because the actual verification test for analyzing the efficiency of a reservoir and the disinfectant's dilution capacity is difficult, simulations are generally conducted using the computational fluid analysis method. However, the simulation results require validation with experiments. The error and drainage efficiency were analyzed in this stud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ctual tracer test and simulation so that the actual test for a hexagonal drainage can be replaced by the computational fluid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fficiency analysis, the hexagonal reservoir was found to be appropriate, and the simulation's reliability was verified with a tracer test.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신선 채소류에 대한 살균 유효성 (Disinfection efficacy of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SlAEW) against some fresh vegetables)

  • 박기재;임정호;정희용;정문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12-319
    • /
    • 2017
  • 신선 농산물의 비가열 살균에 사용되는 살균소독제는 처리시간과 살균소독제의 농도에 비선형적인 감균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적정 농도와 적정 시간에 대한 고려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희석염산(6%, v/v)을 원료로 생성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slightly acidic electrolzyed water, SlAEW)($20{\pm}1^{\circ}C$에서의 유효염소 30 ppm, ORP $562{\pm}23mV$, pH 6.4)로 4종의 채소류(상추, 깻잎, 치콘 및 케일)에 대한 미생물 저감 특성을 분석하여 비가열 살균공정설계에 필요한 살균효과를 평가하였다. SlAEW에 30분간 3회 침지하면서 핵심인자인 유효염소와 미생물군수 및 잔류 미생물군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총균수 감소는 1차 침지 초기 10분간 이루어졌으며 4종의 채소류에 생존하는 3 log CFU/g의 총균수가 침지를 통해 감소시킬 수 있는 한계값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SlAEW에 10분간 침지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는 균수는 평균적으로 약 2 log CFU/g이었다. 초기 10분후의 감소된 유효염소는 상추, 깻잎, 치콘 및 케일에 대해 각각 2.2 ppm, 2.0 ppm, 1.7 ppm 및 2.5 ppm이었고 감소된 유효염소량의 약 50-80%가 초기 10분내에 감소되었다.

정수처리과정(淨水處理過程)에서의 잔류불소(殘留弗素)이온 거동(擧動)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Behavior of Residual Fluoride in Water Treatment Process)

  • 이택순;문병현;서규태;진홍식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64-173
    • /
    • 2000
  • Fluoridation of drinking water to a level of about 0.8mg/l (below 1.5mg/l) for reducing the incidence of tooth decay is recommended. However, concerns about potential problems of unknown effects and overdosing hinders the fluoridation. This study describes the work performed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behavior of fluoride under various conditions in the process of water fluoridation. Effects of water treatment chemicals, water treatment unit, and water distribution on water fluoridation were investigated at both lab and an actual water treatment plant. Residual fluoride concentration was not affected by lime and chlorine dosage up to 20mg/l. Flocculation with PAC slightly decreased the residual fluoride concentration as PAC dosage increased. Average fluoride concentration of 0.87mg/l at an intake basin was decreased to 0.83mg/l by sedimentation, 0.81mg/l by dual media(sand+anthracite) filtration, and 0.79mg/l by granular activated carbon filtration in the water treatment plant.

  • PDF

전염소처리가 Microcystis aeruginosa 응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e-chlorination on the Coagulation of Microcystis aeruginosa)

  • 이태관;진정숙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05-510
    • /
    • 2000
  • 본 연구는 부영양화시 다량 발생하고, 독소생성의 주원인 종으로 알려진 Microcystis aeruginosa의 정수처리 중 응집공정에서 전염소처리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Microcystis aeruginosa를 실험실에서 배양하여, $10^5cell/mL$가 되도록 인공시료를 만들었다. 전염소처리의 염소주입량은 각각 0.2, 1.0, 10 mg-Cl/L으로 하였고, 반응시간은 1시간과 1분으로 하였다. 응집 후 모든 시료의 탁도는 응집제를 0.4 mg-Al/L 주입한 후 매우 낮게 나타났으므로 탁도 유발물질은 염소주입량에 의한 영향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염소량이 증가함에 따라 응집 후 잔류알루미늄은 감소하였고, $UV_{254}$는 증가하였다. 적당한 염소농도(1.0 mg-Cl/L)에서는 반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UV_{254}$가 증가하였다.

  • PDF

정수장내 염소요구량 자동결정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ic Decision System for Chlorination Demand in Water Treatment Plant)

  • 오석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6권6호
    • /
    • pp.757-764
    • /
    • 2002
  • Chlorination dosage in water treatment plant of field is determined by chlorination demand experiment through two or three hours after raw water was sampled in inflow. It is impossible to continuously control for real time because the sampled water is adapted chlorination dosage after water treatment process had been proceed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design informal chlorination demand system, this designed system will be experimented as to water quality and accuracy of control in various conditions. Throughout these experimental results, we will revise the system and the revised system is enable to optimal control of chlorination dosage. Finally, we have developed chlorination demand system, which can automatically determination of chlorination dosage to be determined according to variety of raw water quality inflow in water treatment plant.

대규모 음용수 저장시설의 수질평가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Analysis of Tap Water in the Apartment in Taegu City)

  • 김석범;강복수;정종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5권1호
    • /
    • pp.69-75
    • /
    • 1988
  • 대구시내 6개구에서 각 2개소의 아파트와 각 1개소의 단독주책을 선정하여 총 18개소의 가정상수를 1987년 5월 12일에서 10월 15일 사이에 봄, 여름, 가을 3회에 걸쳐 채취하여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수질검사를 시행하였다. pH치는 최저 6.80에서 최고 8.10으로 모두 정상범위였으며, 잔류염소치 0.2ppm미만인 경우가 아파트군 16.7%, 단독주택군 5.6%였다. 아질산성 질소양성은 아파트군에서만 2.8%로 나타났다. 일반세균수가 $m{\ell}$당 100개 이상인 경우는 아파트군 11.1%, 단독주택군 11.1%였고, 대장균군의 MPN이 1.8%이상인 경우가 아파트군 27.8%, 단독주택군 33.3%였다. 잔류염소치, 아질산성 질소, 일반세균수 및 대장균군 검사에서 4가지 음용기준에 부적당한 것은 아파트군에서만, 2.7%였고, 3가지 검사에서 부적당한 것이 아파트군 2.7% 단독주택군 5.6%, 2가지 검사에서 부적당한 것이 아파트군 8.3% 단독주택군 5.6%, 1가지 검사에서 부적당한 것이 아파트군 25.0% 단독주택군 22.2%였다.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검사성적의 상호비교에서 잔류염소치와 일반세균수 사이에, 그리고 대장균균수와 일반세균수 사이에 연관성이 있었다. 아파트의 건립년수가 길수록 수질이 좋지 않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차를 이용한 수돗물 간접 음용시 수돗물 중 미네랄 함량 변화 연구 (Study on the Changes of the Mineral Contents in Tap-water Drinking with Diverse Teas)

  • 김정희;류리나;송대성;이정엽;이영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511-51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수돗물을 끓이는 과정에서의 잔류염소와 소독부산물 제거 특성과 더불어 차를 이용하여 끓였을 때 인체 필수 미네랄 성분의 용출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연구가 차를 이용하여 끓였을 때 유해 중금속의 흡착 제거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차를 이용하여 끓였을 때 인체 필수 미네랄 성분의 용출특성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보다 건강하고 안전하게 수돗물을 음용하는 방법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잔류염소농도 0.7 mg/L 수돗물을 약 20분 가열시 모두 제거되었으며, 소독부산물(THMs, HAAs, CH) 농도는 65%까지 감소하였다. 시판 차 5종(옥수수, 보리, 둥굴레, 현미, 결명자)을 이용하여 끓였을 때 인체 필수 미네랄 6종(칼슘,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황, 인)의 단위중량당용출량 총합은 결명자차가 최대 9.6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현미차의 용출량은 1.6 mg/g으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다른 미네랄에 비해 체내에서 정상혈압유지, 세포물질대사, 효소작용 등 중요역할을 담당하는 칼륨의 용출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차를 이용하여 수돗물을 끓여 마시는 것만으로도 일부 미네랄성분은 한국인 영양권고 섭취량의 최대 40%까지 섭취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건축물내 급수설비의 수질변화 특성과 영향력 평가 (Assessment of Variable Characteristics in Water Quality of the Supply Systems in the Building)

  • 이현동;황재운;배철호;김상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13-320
    • /
    • 2004
  • In this study, variable characteristics of drinking water and the influences on underground water reservoirs, rooftop water tanks, and service water pipes in the building were assessed. The influence of underground water reservoir material and water capacity on water quality also were assessed.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as; First of all, the drinking water passing through underground water reservoirs or service water pipes in the building, averagely metal component concentration more increased from percent of 41.3 to percent of 74.2 totally than other items of water quality. On the other hand, both residual chlorine and total solid highly decreased 65.6 percent and 35.3 percent, respectively. Therefore, it was thought that water quality could be getting worse for microorganism re-growth by residual chlorine reduction, and total solid also could be a cause for extraneous matters accumulated in water reservoir. Secondly, the variations on water quality of each stage for water supply system in the building were higher in water service pipes connected from rooftop water tanks to the tap than in underground water reservoirs. In addition to, among of twelve items on water quality, ten items on water quality except dissolved oxygen and residual chlorine increased. Therefore, it was thought that the influence of water service pipes connected from rooftop water tanks to the tap on water quality were higher than other stages of water supply system in the building. Thirdly, in case of materials of underground water reservoir, it was likely that the variation on water quality by stainless steel and concrete materials got some similar. In case of water capacity, the variations on water quality of underground water reservoirs over $1,000m^3$ higher than those under $1,000m^3$. That reasons was likely that the retention time(49.72 hours averagely) of underground water reservoirs over $1,000m^3$ was two times longer than it of those under $1,000m^3$(23.37 hours). Therefore, it was thought that the influence on water quality by materials were some similar, but in case of water capacity, the influence of underground water reservoirs were higher.

이산화염소($CIO_2$) 처리해수에 노출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생존과 생리적 반응 (Survival and Physiological Response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Exposed to Seawater Chlorinated by Chlorine Dioxide ($CIO_2$))

  • 김흥윤;김진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51-158
    • /
    • 2003
  • 수온 2$0^{\circ}C$에서 넙치가 수용된 실험구에 ClO$_2$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10분간 노출시킨 다음 해수를 유수하면서 넙치의 생존과 생리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ClO$_2$ 처리직후의 잔류농도 0.51 ppm에서는 90분이 지나면 모든 개체가 사망하였고, 0.43 ppm에서는 3시간 후의 생존율이 13.3%, 0.34 ppm에서는 24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평균 92.0%가 생존하였으며, 0.43과 0.51 ppm에서 넙치의 반수치사시간(($LT_{50}$)은 각각 103분과 32분이었다. 0.34~0.51 ppm $CIO_2$에 노출된 넙치의 Ht, Hb 및 혈청 전해질과 삼투질 농도는 $CIO_2$ 농도가 높고 노출 후 시간이 지날수록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0.27 ppm의 경우 Ht, Hb및 혈청 전해질과 삼투질 농도는 대조군과 차이는 없었으나 혈청 glucose 농도는 $CIO_2$ 노출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높아지는 현상을 보여 주었다. 또한 SS 농도가 높은 해수는 SS가 낮은 해수에 비해 잔류 $CIO_2$가 빠르게 환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