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ervoir operations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6초

공업용수 공급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시스템다이내믹스 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a System Dynamics Computer Model for Efficient Operations of an Industrial Water Supply System)

  • 김봉재;박수완;김태영;전대훈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83-397
    • /
    • 2012
  • In this study, a System Dynamics (SD) simulation model for the efficient operations of an industrial water supply system was developed by investigating the feedback loop mechanisms involved in the operations of the system. The system was modeled so that as demand is determined the water supply quantity of intake pumping stations and dams are allocated. The main feedback loop showed that many variables such as the combinations of pump operation, unit electric power(kWh/$m^3$), unit electric power costs(won/$m^3$), water level of water way tunnel, suction pressure and discharge of pumping station, and tank and service reservoir water level had causal effects and produced results depending on their causal relationship. The configurations of the model included an intake pumping station model, water way tunnel model, pumping station model (including the tank and service reservoir water level control model), and unit electric power model. The model was verified using the data from the case study industrial water supply system that consisted of a water treatment plant, two pumping stations and four dams with an annual energy costs of 5 billion won. It was shown that the electric power costs could have been saved 7~26% during the past six years if the operations had bee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저수지 가뭄감시를 위한 물공급능력지수의 개발 (Development of Water Supply Capacity Index to Monitor Droughts in a Reservoir)

  • 이동률;문장원;이대희;안재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3호
    • /
    • pp.199-214
    • /
    • 2006
  • 가뭄기간의 효율적인 저수지 운영은 가뭄계획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기간에 저수지의 용수공급능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새로운 가뭄지수로서 물공급능력지수(Water Supply Capacity Index, WSCI)를 개발하였다. WSCI는 극심한 기상조건하에서 각 저수지가 수요량에 대해 어느 정도 기간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가를 평가할 수 있는 정량적 지표이다. WSCI는 가뭄기간의 저수지 운영을 위한 의사결정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저수지에서 용수를 공급받는 지역의 가뭄단계 설정에 활용될 수 있다. 표준화된 WSCI와 기존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PDSI, SPI, SWSI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WSCI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홍수시 실시간 저수지 운영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Decision Suport System for Real-Time Reservoir Operation during Flood Period)

  • 심순보;김선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5호
    • /
    • pp.431-439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목적 조수지의 홍수조절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홍수시 실시간 저수지운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은 모델베이스와 실시간 자료처리 부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모형에 의해 예측된 홍수조절지점의 수문곡선과 저수지의 저수위 그래프르 그래픽 형태로 보여줄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개발된 시스템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금강유역의 1987년 7월 및 1995년 8월의 과거 홍수 사상을 가상 실시간으로 대청댐 저수지 운영에 적용하여 의사결정과정을 수행하고, 당시의 운영 실적과 비교·검토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의 의한 저수지 운영은 홍수유출모형에 의해 모의되었으며, 그 결과 본 시스템에 의한 저수지운영은 금강하류의 홍수조절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지능형 저류층 특성화 기법을 이용한 물리검층 자료 해석 (Well Log Analysis using Intelligent Reservoir Characterization)

  • 임종세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7권2호
    • /
    • pp.109-116
    • /
    • 2004
  • 석유/천연가스 저류층 특성화는 사용 가능한 현장자료를 이용하여 여러 저류층 물성의 공간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추정하는 과정이다. 저류층 물성 중 특히 공극률과 유체투과율은 저류층 내의 유체 함유 공간의 크기와 유체 유동 능력을 나타내며, 저류층 평가와 운영에 있어 가장 중요한 특성변수이다. 불균질 저류층에 있어 코어가 채취되지 않은 구간이나 시추공에서 일반적인 물리검층 자료로부터 기존의 통계적 방법을 통해 공극률과 유체투과율을 추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복잡한 작업이므로, 이 연구에서는 물리검출 자료를 이용한 저류층 물성결정 방법으로 퍼지이론과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기법을 제시하였다. 퍼지이론을 기초로 한 퍼지 곡선법으로 코어 공극률, 유체투과율 자료와 상관성이 높은 물리검층 자료를 선택하고, 선택된 물리검층 자료와 코어분석 자료를 이용한 신경망 학습을 통해 저류층의 공극률과 유체투과율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지능형 저류층 특성화 기법을 이용하여 국내대륙붕 시추공의 유정자료를 분석하여 기존 방법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해석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지능형 저류층 특성화 해석기법은 국내외 석유/천연가스 개발사업에 있어 보다 신뢰성 있는 물리검층 자료를 이용한 저류층 특성화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DEVELOPMENT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S SUPPORTING RESERVOIR OPERATION FOR THE CONTROL OF DOWNSTREAM WATER QUALITY

  • Chung, Se-Woong;Kim, Ju-Hwan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3권2호
    • /
    • pp.143-153
    • /
    • 2002
  • As the natural flows in rivers dramatically decrease during drought season in Korea, a deterioration of river water quality is accelerated. Thus, consideration of downstream water quality responding to changes in reservoir release is essential for an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with regards to water quantity and quality. In this study, water quality models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s) method were developed using historical downstream water quality (rm $\NH_3$-N) data obtained from a water treatment plant in Geum river and reservoir release data from Daechung dam. A nonlinear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developed and compared with the ANN models. In the models, the rm NH$_3$-N concentration for next time step is dependent on dam outflow, river water quality data such as pH, alkalinity, temperature, and rm $\NH_3$-N of previous time step. The model parameters were estimated using monthly data from Jan. 1993 to Dec. 1998, then another set of monthly data between Jan. 1999 and Dec. 2000 were used for verification. The predictive performance of the models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predicted data with those of observed data.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ANN models showed a better performance than the regression model in the applied cases.

  • PDF

항공기 유압유 저장조 내면연마를 위한 슈퍼피니싱 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Superfinishing Machine to Polish the Inner Surfaces of Aircraft Hydraulic Oil Reservoirs)

  • 최수현;공광주;조영태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10-116
    • /
    • 2020
  • Aircraft hydraulic oil reservoirs made with aluminum 7075 have an anodized coating to enable airtightness and corrosion resistance. To maintain a stable oil pressure, the internal surface roughness of the reservoir should be less than approximately 0.2 ㎛. To this end, precision polishing must be performed. However, ensuring the processing quality is challenging, as most polishing operations are performed manually, owing to which, the inner surface roughness is not uniform, and the product quality is irregular. Therefore, we developed a special superfinishing machine to realize the efficient inner polishing of an aircraft hydraulic oil reservoir, by using an abrasive film to improve the process throughput and uniformity. In the experiment involving the superfinishing of an anodized aluminum 7075 cylinder specimen by using the proposed machine, a higher surface roughness than that achieved in the repetitive manual polishing process could be realized.

수자원 수질 종합관리를 위한 ADSS 개발 전략 (Starategy for Advanced Decision Supprot System Development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and Quality)

  • 심순보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1992년도 수공학연구발표회논문집
    • /
    • pp.443-447
    • /
    • 1992
  • This study describes the strategy for advanced decision support system (ADSS) development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and quality in reservoir systems. The developed ADSS consists of database that contain hydrologic data, observed operational data, and data to support specific reservoir operations simulation, optimization models, and water quality models. The optimization model, mass balance simulation model and water quality models are used in a general prototype ADSS, menu driven controlling framework that assists the user to specify and evaluate the alternative operational scenarios at one time. These alternative scenarios are evaluated by the models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through the use of a graphical based display system. This graphical based system uses an icon based schematic representation of the system to organize the presentation of the results. The ADSS includes the ability to use monthly or weekly time periods of analysis for the models and it can use monthly historical or stochastically generated inflows.

  • PDF

홍수기중 실시간 저수지 운영(I) - 대청댐의 단일 저수지 운영 방안 - (Real-time Reservoir Operations during Flood Period(I) - Single Reservoir Oprating Rules at Daechong Dam -)

  • 심명필;선우중호;박인보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1990년도 수공학논총 제32권
    • /
    • pp.105-116
    • /
    • 1990
  • 홍수기간중에는 강우, 유출, 저수지 및 하류 수위등의 수시로 변하는 자료들을 on-line system으로 읽어서 실시간으로 저수지를 운영하므로써 현상태에서의 최선의 방류량을 결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를 위한 선행조건으로 정확한 강우및 유출예측모형과 하류의 홍수추적모형이 연계 된다면 저수지의 홍수조절 용량을 최대한 활용하여 최적의 방류량을 결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기중 실시간 저수지 운영을 위해 여러가지 제약조건을 고려한 모델을 개발하여, 단일 저수지인 대청 다목적 댐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예측 유입량 대신에 재현기간별 홍수수문곡선과 실제의 저수지 유입량을 이용했으며, 하류의 홍수추적 모형은 일정한 유량을 방류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고 가정하여 최대 방류량을 변화시키므로써 하도 추적모형을 대신 하였다. 본 모델은 별도의 강우 유출예측모형과 하도의 홍수추적모형과 더불어 종합적인 실시간 저수지 운영모델이 된다.

  • PDF

영산호 운영을 위한 홍수예보모형의 개발(III) -배수갑문 조절에 의한 홍수파의 전달- (River Flow Forecasting Model for the Youngsan Estuary Reservoir Operation(III) - Pronagation of Flood Wave by Sluice Gate Operations -)

  • 박창언;박승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3.2-20
    • /
    • 1995
  • An water balance model was formulated to simulate the change in water levels at the estuary reservoir from sluice gate releases and the inflow hydrographs, and an one-di- mensional flood routing model was formulated to simulate temporal and spatial varia- tions of flood hydrographs along the estuarine river. Flow rates through sluice gates were calibrated with data from the estuary dam, and the results were used for a water balance model, which did a good job in predicting the water level fluctuations. The flood routing model which used the results from two hydrologic models and the water balance model simulated hydrographs that were in close agreement with the observed data. The flood forecasting model was found to be applicable to real-time forecasting of water level fluc- tuations with reasonable accurac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