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ervoir level

검색결과 560건 처리시간 0.033초

대형 인공호에서 무기 질소원에 대한 점오염원 및 유입수의 영향 (An Influence of Point-Source and Flow Events on Inorganic Nitrogen Fractions in a Large Artificial Reservoir)

  • 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33권4호통권92호
    • /
    • pp.350-357
    • /
    • 2000
  • 본 연구는 1993${\sim}$1994년 대청호 17개 조사지점에서 점오염원 및 계절적 유입수에 대한 무기질소원의 다변적 동태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총질소(TN)는 평균 1.53 mg/L으로, $0.70{\sim}2.56\;mg/L$ 범위에 있었다. 용존 무기질소(DIN)는 계절 및 조사지점에 관계없이 총질소의 90%이상을 차지하여 질소가 풍부한 부영양-과영양 상태의 호수임이 확인되었다. 용존 무기질소의 $67{\sim}94%$는 질산성-질소인 반면, 암모니아성-질소는 용존 무기질소의 5%이하로 구성되었다. 1993년 장마동안 질산성-질소는 빗물과 호수물의 혼합의 결과로서 상류역에서 희석된 반면, 암모니아성-질소는 장마 전에 비해 100%이상 증가를 보였다. 암모니아성-질소는 강우량과 정 상관관계(r=0.85; p<0.001)를 보였고, 수 체류시간(r = -0.90; p<0.001) 및 전기전도도 (r = -0.78, p<0.001)와는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런 결과에 따르면, 암모니아성-질소는 장마기에 호수 외부로부터 유입되었음을 제시한다. 연구기간 2년 모두 평균 총질소는 호수내 상류 및 하류에서보다 가두리 양식장 및 폐수 처리장이 위치한 중류역에서 높았다. 중류역에서 이런 특성은 유입량이 적은 1994년하절기 동안 점 오염원에서 축적된 오염부하 증가의 결과로서 가장 심화되었다. 본 인공호에서 총질소 분포는 호수내 상${\cdot}$하류역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유입량 보다는 점오염원에 의해 직접적으로 결정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최적화(最適化) 기법(技法)에 의한 저유함수(貯留函數) 유출(流出) 모형(模型)의 자동보정(自動補正) (Automatic Calibration of Storage-Function Rainfall-Runoff Model Using an Optimization Technique)

  • 심순보;김선구;고석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127-137
    • /
    • 1992
  • 다목적댐 유역에서의 호우(濠雨)발생지 저수지 실시간(實時間) 운영을 위해서는 Telemeter 설비를 통해 온라인으로 전송된 강우(降雨) 및 유입량(流入量)(수위(水位))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강우(降雨)-유출(流出) 모형(模型)의 매개변수(媒介變數) 신속하게 보정(補正)하고 정확한 유입량을 예측하여야 한다. 지금까지는 유출모형의 매개변수 보정을 모형 운영자의 주관적인 판단 아래 시행착오(試行錯誤)에 의한 수동보정(手動補正) 방법을 사용하여 왔으나 최적화 기법을 이용하여 강우-유출모형의 매개변수를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최적화 기법으로는 다양한 조건하에서도 해의 안정성이 우수한 Pattern-Search법을 선정하였으며 목적함수로는 모형에 의해 산정된 유출량과 관측 유출량과의 편차의 제곱에 대한 누계치를 최소화 하는 것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개발한 최적화 기법을 현재 한국수자원공사(韓國水資源公社)에서 소양강 다목적댐의 실시간 홍수조절에 사용하고 있는 저유함수(貯留函數) 유출모형의 매개변수를 과거의 홍수사상(洪水事象) 사용하여 자동으로 보정 하는데 적용하였다. 적용결과에 시행착오에 의한 수동보정 방법보다 시간 및 노력면에서 보다 효율적일 뿐아니라 홍수예측 기능도 보다 우수하여 저수지의 실시간 홍수예측 및 홍수조절에 알맞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trength degradation of a natural thin-bedded rock mass subjected to water immersion and its impact on tunnel stability

  • Zhang, Yuting;Ding, Xiuli;Huang, Shuling;Wu, Yongjin;He, Jun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1권1호
    • /
    • pp.63-71
    • /
    • 2020
  • Strength anisotropy is a typical feature of thin-bedded rock masses and their strength will be degraded subjected to water immersion effect. Such effect is crucial for the operation of hydropower plant because the impoundment lifts the water level of upstream reservoir and causes the rock mass of nearby slopes saturated. So far, researches regarding mechanical property of natural thin-bedded rock masses and their strength variation under water immersion based on field test method are rarely reported. This paper focuses on a thin-bedded stratified rock mass and carries out field test to investigate the mechanical property and strength variation characteristics. The field test is highlighted by samples which have a large shear dimension of 0.5 m*0.5 m, representing a more realistic in-situ situation than small size specimen. The test results confirm the anisotropic nature of the concerned rock mass, whose shear strength of host rocks i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bedding planes. Further, the comparison of shear strength parameters of the thin-bedded rock mass under natural and saturated conditions show that for both host rocks and bedding planes, the decreasing extent of cohesion values are larger than friction values. The quantitative results are then adopt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reservoir impoundment of a hydropower plant on the surrounding rock mass stability of diversion tunnels which are located in the nearby slope bank. It is evaluated that after reservoir impoundment, the strength degradation induced incremental deformations of surrounding rock mass of diversion tunnels are small and the stresses in lining structure are acceptable. It is therefore concluded that the influences of impoundment are small and the stability of diversion tunnels can be still achieved. The finings regarding field test method and its results, as well as the numerical evaluation conclusions are hoped to provide references for rock projects with similar concerns.

방동저수지 유역의 토지이용에 따른 비점오염 부하발생 원단위 산정 (Load factor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owing to Land Use in Bangdong Reservoir Watershed)

  • 문종필;김태철;안병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26권2호
    • /
    • pp.61-69
    • /
    • 1999
  • 1. 방동저수지 상류 5개 토지이용별 유출수량과 수질조사를 실시하고 비점오염원 원단위를 산정 하였다. 산지에서 SS 84kg/ha/년, BOD 4.2kg/ha/년, COD 15kg/ha/년, T-P 0.1kg/ha/년, T-N 1.1kg/ha/년으로 배출부하원단위가 가장 작았다. 거주지역에서 SS 319kg/ha/년, BOD 34kg/ha/년, COD 98kg/ha/년, T-P 5.6kg/ha/년, T-N 8.7kg/ha/년으로 배출부하 원단위가 가장 많았다. 2. 비점오염원은 강우-유출과 관련이 있어 전체 비점오염원의 약 46%가 7~8월에 유출되며, 건기인 10월에서 4월까지는 연간 총량의 약20%, 5월에서 9월까지는 약80%가 유출된다. 3. 유기물질인 SS, BOD, COD는 거주지역에서, 영양물질인 T-N은 논 밭지역에서 T-P는 논 밭 거주지역 및 방목지에서 많이 유출되고 있다. 4. T-N, T-P 등 영양물질이 농지에서 많이 유출되어 저수지와 같은 폐쇄수역에 부영양화로 인한 수질악화의 원인이 된다. 비점오염원이 우기에 집중배출되어 공공수역에 큰 오염원으로 작용하므로 도시하천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관리방안과 비점오염원 발생원 저감방안을 적극 추진하여야 한다.

  • PDF

수문학적 가뭄 예측과 조기대응을 위한 기상-수문학적 가뭄의 연계분석 - 2022~23 전남지역 가뭄을 대상으로 (Combined analysis of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 for hydrological drought prediction and early response - Focussing on the 2022-23 drought in the Jeollanam-do -)

  • 정민수;홍석재;김영준;윤현철;이주헌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7권3호
    • /
    • pp.195-207
    • /
    • 2024
  • 본 연구는 전남지역 지역을 대상으로 과거에 발생했던 주요 가뭄사상을 선정하여 기상학적 가뭄과 수문학적 가뭄 발생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강우량 및 댐저수량을 입력자료로 일단위의 가뭄지수를 산정하였으며 기상학적 가뭄에서 수문학적 가뭄으로의 가뭄전이특성을 분석하였다. 최근에 전남지역에서 발생하여 심각한 피해를 야기한 2022~23년의 가뭄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과거에 발생했던 가뭄과 비교하면, 수문학적 가뭄의 지속기간은 2017~2018년 다음으로 장기간인 334일 지속되었고, 가뭄 심도는 -1.76으로 가장 심각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와 수문학적 가뭄지수인 SRSI(Standardized Reservoir Storage Index)를 연계분석한 결과, 수문학적 가뭄 대응을 위한 SPI(6)의 선행적 활용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더우기, SRSI와 SPI(12)의 가뭄감시의 유사성을 통하여 미계측 유역의 수문학적 가뭄감시에 SPI(12)의 적용가능성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여름철 우기에 발생하는 장기간의 건조현상은 심각한 수준의 수문학적 가뭄으로의 전이가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따라서 선제적 가뭄대응을 위해서는 다양한 가뭄지수 실시간 모니터링 결과를 활용하고, 기상-농업-수문학적 가뭄으로의 전이현상을 이해하여 충분한 대응기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지하수 히트펌프 시스템의 대수층 활용 사레 연구 (Study on the aquifer utilization for a ground water heat pump system)

  • 심병완;이철우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2-35
    • /
    • 2006
  • The validation of a groundwater source heat pump system installation site is estimated by bydrogeothermic model ing.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aquifer system is evaluated from pumping and recovery tests. In additi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by the pumping and the injection of groundwater, and water level fluctuations are simulated by numerical modeling. The total cooling and heating load for the building is designed as 120RT(refrigeration ton) and the ground water source heat pump system covers 50RT as a subsidiary system The scenario of heat pump operation is organized as pumping and inject ion of groundwater that is performed for 8 hours per day in cooling mode for 90 days during the summer season The heat transfer by the injected warm water is limited near the inject ion wells in the simulated temperature distribution. The reason is that the given operation time is too short to expect broad thermal diffusion in large volume of the aquifer in the simulation time The simulated groundwater level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can be used as important data to develope an energy effective pumping and injection well system. Also it will be very useful to evaluate the hydraulic capacity of a target groundwater reservoir.

  • PDF

아산호 용수공급용량 유지를 위한 적정 준설량 산정 (Estimation of the Optimal Dredge Amount to Maintain the Water Supply Capacity on Asan-Lake)

  • 장태일;김상민;강문성;박승우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8권2호
    • /
    • pp.45-55
    • /
    • 2006
  • This study analyze the hydrologic conditions and the effects of selected runoff characteristics as an attempt to estimate the optimal dredge amount for Asan Lake in Korea. The runoff feature was calculated by utilizing the water balance simulation from DIROM (Daily Irrigation Reservoir Operation Model), which allowed changes in landuse to be quantified using remote sensing for 14 years. The distribution of prospective sediment deposits was been tallied based on the changes in landuse, and quantity of incoming sediment estimated. From these findings, we were then able to simulate the fluctuation of water level, gauging the pumping days not already in use,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the distribution for around the. requirement annual water storage and the changing water level. The optimal dredge amount wa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distribution of frequency, taking into account the design criteria for agricultural water with the 10-year frequency of resistant capacity.

가법형 통합지수 산정모형을 이용한 주관적 농촌경관 평가 : 전북 고창선동권역을 대상으로 (Evaluating Subjective Landscape of Rural Region Using Additive Integration Index Calculation Model Focused on Seondong Region, Gochang-Gun, Jeollabuk-Do, Korea)

  • 반영운;김민아;정재호;백종인
    • 농촌계획
    • /
    • 제15권2호
    • /
    • pp.27-42
    • /
    • 2009
  • This study has intended to evaluate the subjective landscape of rural region using additive integration index calculation model in Seondong region, Gochang-gun, Jeollabuk-do, Korea. This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three steps. First, this study defmed the rural landscape using survey and developed the estimating equation for rural landscape assessment index. Second, this study set up assessment units and assessment indicators, then estimated mean of representative landscape adjectives in accordance with them through residents-participatory evaluation. Third, this study calculated rural landscape assessment index using additive integration index calculation model, and evaluated subjective landscape of rural region in accordance with space types and landscape fields through mapping method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1) satisfaction level for landscape in accordance with village (urban area and residential area) was very high; 2) satisfaction level was very high in both Ye-Jeon reservoir and Hakwon farm, representative landscape resources of the study area.

연속성장법에 의한 Silicon 단결정 연속성장 (Silicon Single Crystal Growth by Continuous Crystal Growth Method)

  • 인서환;최성철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7-124
    • /
    • 1993
  • 연속성장법은 crystal growth chamber의 상부에 있는 reservoir에서 원료 분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도가니 하부에 용융대를 형성시킨 후, 종자결정을 용융대에 dipping하여 회전시키면서 아래로 끌어내려 단결정을 성장시키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속 성장법을 이용하여 silicon 단결정을 육성시켰으며 연속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critical melt level, 원료공급속도, 성장속도, graphite crucible과 gruphite susceptor의 형태, work coil의 위치에 따른 graphite susceptor의 수직온도구배, 중력과 종자결정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이 용융대의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과 용융액 표면에서 일어나는 소결현상에 관해 고찰하였다.

  • PDF

유량조절이 가능한 사이펀 여수로 수리모형실험 (Hydrualic Model Test for Siphon Spillway Capable of Controlling Discharge)

  • 정재상;장은철;이창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43-4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사이펀 여수로에 장착된 air slot의 방류량 조절 능력을 검토하였다. air slot의 단면 형상으로 원호 및 직사각형 형상을 채택하였으며, 개구부 면적을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air slot이 장착된 경우 사이펀 관 내부에 공기와 물이 혼합된 복잡한 흐름이 발생하였다. air slot이 장착된 사이펀 여수로에서 저수지 내측 수위가 상승할 때와 하강할 때 동일한 수위에서 동일한 유량이 계측되었다. air slot의 무차원 개구부 면적이 증가할수록 무차원 방류량은 더 서서히 증가하였다. 수리모형실험 결과는 air slot의 면적 조절을 통해 사이펀을 통한 방류량 조절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