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search records

Search Result 3,21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행정정보데이터세트의 데이터 품질평가 연구 (A Study on Data Quality Evaluation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

  • 송치호;임진희
    • 기록학연구
    • /
    • 제71호
    • /
    • pp.237-272
    • /
    • 2022
  • 2019년부터 국가기록원의 주도로 행정정보데이터세트 기록관리체계 구축 시범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2021년까지 3년에 걸친 사업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된 행정정보데이터세트 관리방안이 공공기록물 관련 법령과 지침에 반영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행정정보데이터세트는 본격적인 공공기록관리의 대상이 된다. 공공기록이 전자문서 중심으로 전환되었고 행정정보시스템의 데이터세트까지 본격적인 공공기록관리의 대상으로 포함되었지만, 기록을 구성하는 원 자료(raw data)로서의 데이터 자체의 품질 요건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데이터 품질이 보장되지 않으면 데이터의 구성체이며 기록의 집합체인 데이터세트는 기록의 4대 속성 전체가 위협받게 된다. 더욱이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규격을 고려하지 않고 기관 실무 부서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여 구축된 행정정보시스템의 데이터는 기록관리 관점에서 그 품질에 대한 신뢰성이 부족할 경우 공공기록 자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을 것이다. 본 연구는 2021년 국가기록원에서 진행한 "행정정보데이터세트 기록정보 서비스 및 활용모형 연구"에서 제시된 행정정보데이터세트 관리방안을 기반으로, 적극적으로 개념이 확장된 평가, 그중에서 데이터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범정부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다양한 데이터, 특히 공공 데이터 관련 정책과 가이드를 참고하여 기록관리 차원에서의 품질평가 요건을 도출하고, 구체적인 지표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본격화될 행정정보데이터세트 기록관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기록과 문화유산 관점에서 본 교육 행정박물 관리시스템 설계: J 교육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Design of an Educational Administrative Artifacts Management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Records and Cultural Heritages: A Case Study on J College of Education)

  • 김현태;전한역;배성중;오효정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5-93
    • /
    • 2022
  • 현재 우리나라는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라 다수의 학교들이 폐교될 위기에 직면해있으며 지역사회에서는 교육기관을 통폐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로 인해 과거 교육문화의 변화를 보여줄 역사적, 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다수의 교육 관련 기록물들이 멸실·훼손될 위기에 처해 있다. 특히 교육 행정박물은 과거 교육기관의 운영에 따른 이력과 이에 담긴 교육적 의미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중요한 기록이자 문화유산임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인 관리 방안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 행정박물이 가진 특성을 기록학적 관점과 문화유산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을 도출하기 위해 현재 공공기관에서 도입하고 있는 표준기록관리시스템, 특수유형 기록물 관리시스템, 사료 관리시스템의 주요 기능을 비교·검토하였다. 나아가 J 교육대학의 행정박물 보유현황 및 관리 사례 분석을 통해, 교육 행정박물 관리를 위한 시스템의 필수 기능과 이에 따른 메뉴 구성안을 제시함으로써 연구 결과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국내 구술사 연구 동향 분석 -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Research Trends of Oral History in Korea: Focusing on Domestic Academic Journals)

  • 이재영;정연경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5-47
    • /
    • 2018
  • 본 연구는 1991년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국내 구술사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구술사를 둘러싼 연구 지형을 파악하고 향후 구술사 연구의 방향성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구술사로 키워드 검색을 시행하여 1991년부터 2018년까지 이루어진 국내 구술사 연구 논문 총 439건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시기별로 연구 논문 생산량과 주요 학술지, 연구자 및 연구 재원, 연구분야 및 연구 내용, 국제 협력으로 구분하여 국내 구술사 연구 동향을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정리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Visual Representation and Applications of Hitting Direction in Korean Baseball Records

  • Hong, Chong-Sun;Park, Ha-Soo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9권2호
    • /
    • pp.539-549
    • /
    • 2008
  • Most important thing in professional baseball game among all kinds of sports is the winning. Both coaches and players collected and analyzed lots of game data to get a victory. In this paper, batting data are analyzed so as to represent informations of hitting direction visually. This method could be provided a lot of useful information about hitting direction of a specific batter or a team to not only coaches, players but also the audience.

  • PDF

Taxonomic survey on ciliate diversity in eastern area of Kangwon-province, Korea: Brief records of fifteen species unrecorded from Korea

  • Kim, Ji-Yeong;Jung, Jae-Ho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5권3호
    • /
    • pp.333-342
    • /
    • 2016
  • Based on the taxonomic survey to uncover the ciliate diversity in the eastern Kangwon-province, twenty-six species were identified from moss-covered soils and assigned to 5 classes, 9 orders, 12 families, and 15 genera. Of these, fifteen species are first records from Korea, and brief remarks with photographs were provided.

Four new records of the gammarids (Crustacea, Amphipoda) from Korean waters

  • Kim, Young-Hyo;Heo, Jun-Haeng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5권3호
    • /
    • pp.498-502
    • /
    • 2016
  • Four new Korean records of the gammarid (Crustacea, Amphipoda), Grandidierella fasciata Ariyama, 1996; Moolapheonoides acutifalcatus Kobayashi and Ishimaru, 2005; Guernea terelamina Hirayama, 1985; and Gordonodius zelleri (Berge, Vader and Coleman, 1999) were reported from the Korean indigenous species survey project fund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4-2015). Each of these species is well accorded with the original description for the species except for some minor morphological differences. The genera Moolapheonoides Barnard, 1974 and Gordonodius Ariyama, 2011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New records of coccoid green algae in Korea

  • Kim, Yong Jae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42-50
    • /
    • 2017
  • Coccoid green algae collected from March to November 2015 from 79 freshwater ecosystem sites throughout South Korea, including lakes, ponds, swamps, streams, and rivers, were identified using light microscopy. A total of 218 taxa were identified, among which 11 were new species records in Korea; these 11 species were found at four sites (Hanagang River, Chukdong reservoir, Chukdong fishery, and Deokjin reservoir). The new species recorded were Fotterella tetrachlorelloides, Trochiscia naumannii, Keriochlamys styriaca, Placosphaera opaca, Siderocystopsis fusca, Siderocelis oblonga, Siderocelis estheriana, Pachycladella umbrina, Pachycladella zatoriensis, Crucigenia mucronata and Scenedesmus sempervir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