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nal measurement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초

중환자실 내 지속적 신대체 요법과 관련된 간호업무 분석 (Nursing Activities on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the Intensive Care Units)

  • 윤선영;이영옥;강지연;윤미정;원윤희;이미영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5-77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nursing activities related to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 in the intensive care units (ICU). Methods: We developed a list of 31 CRRT related nursing activitie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reviewed by expert group. A total of 109 direct time measurement records by 43 ICU nur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total time per shift, frequency, standard time, difficulty and performance levels of each CRRT nursing activity. Results: The mean time for CRRT nursing activity was 85.60 minutes per 8 hour shift. Nurses have spent average $9.46{\pm}6.98$ minutes in a shift for "waste fluid bag change" activity. In addition, "check catheter location" was the most time consuming single activity. The most difficult activity was "counseling-answer" and the most competent one was "dialysis solutions change". Conclusion: The CRRT nursing activities accounted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total nursing workload. Practical allocation of nursing staff for CRRT patient along with development of a new nursing cost system need to be considered. Continuous nursing educational and training programs on CRRT should be developed.

  • PDF

Plasma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as a Marker of Tubular Damage in Diabetic Nephropathy

  • Kim, So Young;Jeong, Tae-Dong;Lee, Woochang;Chun, Sail;Sunwoo, Sung;Kim, Soon Bae;Min, Won-Ki
    •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 /
    • 제38권6호
    • /
    • pp.524-529
    • /
    • 2018
  • Background: An increase in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NGAL) indicates tubular injury. Diabetic nephropathy causes typical changes in the kidney, characterized by glomerulosclerosis and eventual tubular damage. We validated the usefulness of plasma NGAL (pNGAL) as a biomarker of tubular damage in patients with diabetic nephropathy. Methods: We included 376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260 patients with chronic renal insufficiency who had not received hemodialysis and 116 hemodialyzed due to diabetic nephropathy) and 24 healthy controls. Patients with chronic renal insufficienc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urinary albumin excretion (UAE) levels. pNGAL levels were measured using the Triage NGAL test (Alere, San Diego, CA, USA) and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We also examined whether pNGAL level was related to the degree of albuminuria and cystatin C-bas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Results: Mean pNGAL levels of the healthy controls, chronic renal insufficiency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nd hemodialyzed patients were $61.9{\pm}5.3ng/mL$, $93.4{\pm}71.8ng/mL$, and $1,536.9{\pm}554.9ng/mL$, respectively. pNGAL level increased significantly in patients with severe albuminuria (P <0.001) and had a moderate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albuminuria (r=0.467; P <0.001) and GFR (r=0.519; P <0.001).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NGAL level was associated with tubular damage independent of patient age, sex, and GFR. Conclusions: pNGAL level independently reflects the degree of tubular damage in patients with diabetic nephropathy. Measurement of pNGAL, combined with UAE, would enable simultaneous, highly reliable assessments of tubular damage for such patients.

방광요관 역류증 환아의 단회뇨에서 요단백 및 효소 배설 측정 (Urinary Protein and Enzyme Excretion of Spot Urine in Children with Vesicoureteral Reflux)

  • 윤정림;구자욱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3권1호
    • /
    • pp.56-62
    • /
    • 2009
  • 목 적 : 방광요관 역류증 환아의 단회뇨에서 요단백 및 효소(Microalbumin, NAG, ${\beta}_2$ MG)의 배설을 측정하여 방광요관 역류의 정도나 신손상을 조기에 예측 할 수 있는 지표로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요로감염증으로 진단 받았던 91명의 환아 중 방광요관 역류와 신결손이 없었던 환아 I군 (n=62), 신결손은 없이 방광요관 역류만 있었던 환아는 II군(n=10), 신결손 및 방광요관 역류증을 모두 가지고 있었던 환아는 III군(n=19)으로 분류하여 아침첫 소변에서 microalbumin, NAG, ${\beta}_2$ MG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방광요관 역류 grade에 따라 VUR Grade I, II, III은 역류의 정도가 낮은 군으로 VUR grade IV, V는 역류가 높은 군으로 분류하여 요중 Microalbumin, NAG, ${\beta}_2$ MG값을 비교하였다. 결 과 : 단회뇨에서 측정한 microalbumin 값은 역류와 신결손이 있는 군이 없는 군과 비교하여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다(microalbumin: $42.3{\pm}27.2\;mg/gCr$ VS $25.2{\pm}10.9\;mg/gCr$, P<0.05). 단회뇨${\beta}_2$ MG, NAG의 평균값의 각 군간의 비교에서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방광요관 역류가 높은 군에서 낮은 군보다 microalbumin 측정치가 의미 있게 증가되었다($23.4{\pm}7.7\;mg/gCr$ VS $39.3{\pm}22.1\;mg/gCr$, P<0.05). 결 론: 요로감염으로 진단받은 방광요관 역류증 환아에서 역류 정도와 역류성 신병증으로의 진행 여부를 예측하는 지표로 단회뇨의 microalbumin 측정이 유용하며, 외래에서 추적 관찰에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고 환아와 보호자의 순응도 상승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아 환아에서 다양한 사구체 여과율 측정법의 비교 (Comparison of various methods of glomerular filtration rate measurements in children)

  • 이나미;임인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9호
    • /
    • pp.999-1004
    • /
    • 2009
  • 목 적 : cystatin C가 creatinine보다 연령, 성별, 근육량, 약물 등에 영향을 적게 받는 등 사구체 여과율 추정에 더 우수하다는 연구가 많이 나오면서 cystatin C를 이용하여 사구체 여과율을 추정하는 방법이 많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런 사구체 여과율을 추정하는 여러 방법들 간에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실제적인 데이터가 많지 않아 대표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creatinine 청소율과 이외 다른 식에 의한 사구체 여과율 값의 관계 및 cystatin C의 유용성에 대해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5년 1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중앙대학교 용산병원 소아청소년과를 내원한 20세 미만의 환아들로서 다양한 신질환을 가지고 있는 2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구체 여과율을 구하기 위한 여러 가지 추정 식 중 혈중 creatinine을 사용한 Schwartz 식, Counahan-Barratt 식 그리고 cystatin C를 이용한 Filler & Lepage식, Bokencamp식, Grubb 식에 의한 값을 creatinine 청소율과 비교하였다. 결 과 : 각 식에 의한 사구체 여과율과의 상관계수를 구한 결과 Schwartz식으로 구한 사구체 여과율이 Counahan식으로 구한 사구체 여과율보다 상관성이 더 높고, 또한 cystatin C를 기초로 한 세가지 식(Filler, Bokencamp, Grubb)으로 구한 사구체 여과율보다 creatinine을 기초로 한 식으로 구한 사구체 여과율 값이 상관성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진단적 정확성을 분석한 결과 Schwartz 식으로 구한 사구체 여과율이 더 진단적 가치가 있었다. 결 론 : 사구체 여과율 감소를 진단하는데 있어서도 cystatin C를 이용한 경우가 혈청 creatinine을 이용한 식보다 더 좋다고 말할 수 없다. 또한 신기능 저하가 심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는 환아들의 사구체 여과율의 추정에서 cystatin C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P53 and MDM2 Over-expression and Five-year Survival of Kidney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cal Nephrectomy - Iranian Experience

  • Abolhasani, Maryam;Salarinejad, Sareh;Asgari, Mojg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2호
    • /
    • pp.5043-5047
    • /
    • 2015
  • Background: Relatively little is known with certainty about the status and role of p53 or MDM2 in predicting prognosis and survival of renal cell carcinoma.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value of P53 and MDM2 over-expression, alone and simultaneously, to predict five-year survival of patients with kidney cancer in Iran.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ith kidney cancer referred to Hasheminejad Kidney Center between 2007 and 2009, underwent radical nephrectomy and had pathology reports of clear cell, papillary or chromophobe renal cell carcinoma were included in our cohort study. Other histological types of renal cell carcinoma were not included. The patients with missed, incomplete or poor quality paraffin blocks were also excluded. Overall ninety one patients met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o assess the histopathological features of the tumor, immunohistochemical (IHC) staining of formalin fixed, paraffin-embedded tumor samples were performed. The five-year survival was determined by the patients' medical files and telephone following-up. Results: In total, 1.1% of all samples were revealed to be positive for P53. Also, 20.8% of all samples were revealed to be positive for MDM2.The patients were all followed for 5 years. In this regard, 5-year mortality was 30.5% and thus 5-year survival was 85.3%. According to the Cox proportional hazard analysis, positive P53 marker was only predictor for patients' 5-year survival that the presence of positive p53 increased the risk for long-term mortality up to 2.8 times (HR=2.798, 95%CI: 1.176-6.660, P=0.020). However, the presence of MDM2 could not predict long-term mortality. In this regard, analysis by the ROC curve showed a limited role for predicting long-term survival by confirming P53 positivity (AUC=0.610, 95%CI: 0.471-.750, P=0.106). The best cutoff point for P53 to predict mortality was 0.5 yielding a low sensitivity (32.0%) but a high specificity (97.9%). In similar analysis, measurement of MDM2 positivity could not predict mortality (AUC=0.449, 95%CI: 0.316-.583, P=0.455). Conclusions: The simultaneous presence of both P53 and MDM2 markers in our population is a rare phenomenon and the presence of these markers may not predict long-term survival in patients who undergoing radical nephrectomy.

개에서 연령에 따른 동적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사구체여과율의 평가 (Assessment of Aging Effects on Computed Tomographic Glomerular Filtration Rate in Dogs)

  • 장진화;김환철;최지영;최호정;이희천;장동우;이영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0-133
    • /
    • 2012
  • 동적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연령에 따른 CT-GFR 수치에 대한 패턴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품종이나 성별에 대한 제한 없이 다양한 연령으로 15마리의 개를 이용하였다. 혈액검사, 요검사, 영상학적 검사를 실시하여 개의 건강 상태를 확인한 후, propofol-isoflurane을 이용한 호흡마취를 실시하여 CT 촬영을 하였다. Iohexol (1 ml/kg, 300 mgI/ml)을 3 ml/s 일정한 속도로 2분간 주입하면서 1.5초 간격으로 총 80개의 영상을 촬영하여 파트락 분석을 통해 사구체여과율 (ml/min/kg)을 측정하였다. 양측 신장의 사구체여과율의 범위는 2.57-6.60 ml/min/kg이었다. 연구에서 연령에 따라 사구체여과율의 유의적인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체외순환에서 박동 혈류와 비박동 혈류가 신장의 조직관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ulsatile Versus Nonpulsatile Blood Flow on Renal Tissue Perfusion in Extracorporeal Circulation)

  • 김현구;손호성;방영호;박성영;김광택;김학제;선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호
    • /
    • pp.13-22
    • /
    • 2005
  • 배경 : 심장수술과 같은 체외순환(Extracorporeal circulation)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조직관류에 우월할 것으로 보이는 박동성 혈류장치를 이용하려는 시도가 계속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체외순환 조건에서 박동 혈류가 비박동 혈류보다 조직관류에 우월하다는 가설을 직접 증명하기 위해 치근 개발된 조직관류측정기($QFlow^{TM}-500$ Perfusion Measurement System, Thermal Technologies Inc.,Cambridge, MA, USA)의 열확산 탐침(Thermal Diffusion Probe)으로 조직 관류량을 실시간 및 연속적으로 직접 측정함으로써, 체외순환에서 박동 혈류와 비박동 혈류가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몸무게가 25 kg에서 40 kg 사이의 돼지를 암수 구별 없이 총 12마리를 각각 6마리씩 두개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동물의 심장을 노출시킨 후, 좌측 측하복부를 절개하여 좌신장을 노출하여 관류측정기의 열확산 탐침을 신장의 피질내에 $2\~3$ cm 깊이로 거치하였다. 9볼트의 배터리로 심정지를 유도하면서 대동맥 차단을 하여 총심폐우회술을 시행한 후, 1군(n=6)은 Biopump에, 2군(n=6)은 박동식 혈류를 제공하는 T-PLS (Twin-Pulse Life Support System)에 연결하였다. 실험 동안 pump flow는 2 L/min로 유지하였다. 체외순환 전과 시작 후 10분마다 심박수, 혈압, 및 신장 관류치를 측정하여 60분까지 측정하고, 동맥혈가스분석, 전혈구 계산, 혈액 뇨질산, 크레아티닌 및 혈장 용혈헤모글로빈을 체외순환 시작 전과 60분 후에 측정하였다. 결과: 두 군 사이에 기초치는 유사하였다. 평균 혈압은 체외순환 전에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체외순환 20분 이후부터는 2군에서 높은 경향이 있었고(1군 $39.84\~45.5$ mmHg, 2군 $48.7\~52$ mmHg), 특히 60분에서의 평균혈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1군$\;41.2{\pm}4.3\;mmHg,\;48.7{\pm}5.4\;mmHg,\;p=0.023$). 체외순환 전 측정한 신장 관류치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체외순환을 시작한 이후부터는 2군에서 지속적으로 더 높은 경향이 있었으며(1군 $48.5\~64$ mL/min100 g, 2군 $65.8\~88.3$ mL/min/100 g), 특히 30분에서의 측정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1군$47.5{\pm}18.3\;mL/min100\;g,$ 2군$83.4{\pm}28.5\;mL/min100\;g,\;p=0.026$). 혈액 뇨질산, 크레아티닌, 그리고 혈장 용혈헤모글로빈의 변화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일정한 펌프 혈류 조건에서 박동성 혈류의 평균 혈압이 더 높다는 것은, 비박동성 혈류보다 조직관류압(Tissue Perfusion Pressure) 측면에서 우수하여 말초장기의 조직관류 효과에 유리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장시간의 체외순환에서는 신장기능을 대표하는 수치들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리라 예상되며, 신장 이외에 다른 주요 장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더 진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사육탕가미방(四六湯加味方)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誘發)된 백서(白鼠)의 실험적(實驗的) 탕뇨(糖尿)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ryuktangkamibang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

  • 오영택;김동우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7-66
    • /
    • 2006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ffect of Saryuktangkamibang, Saryuktang with Liriopis Tuber, Lycii Fructus, Schizandrae Fructus, and Bombyx Batryticatus, on the experimental diabetes. Methods : In order to induce diabetes experimentally, injected streptozotocin to the vein in the tail of rats and then treated oral administration of Saryuktangkamibang water extracts. In the measurement of the variation levels of glucose, ALP, creatinine, and BUN concentration for each concentration levels for serum (0.2g/100g, 0.4g/l00g, 0.6g/100g), concentration level of glucose significantly decreased in 0.4g/l00g concentration level of Saryuktangkamibang. With this 0.4g/l00g concentration level of Saryuktangkamibang,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erived from the measurement of the serum levels of glucose. ALP, AST, ALT, creatinine, and BUN concentration for the injection of each 4th, 11th, and 18th day. Results : 1. In the measurement for each concentrations, the glucose concentration level in the serum significantly decreased on the 9th day in the Saryuktangkamibang-dosed group. 2. The creatinine and BUN concentration level in the serum significantly decreased on the 9th day in the Saryuktangkamibang-dosed group to which 0.6g/100g injected. 3. In the measurement for each dosage dates, the glucose concentration level in the serum significantly decreased on the 11th day in the Saryuktangkamibang-dosed group to which 0.6g/100g injected. 4. The AST concentration level in the serum significantly decreased on the 11th day in the Saryuktangkamibang-dosed group. Conclusion : Saryuktangkamibang, Saruktang with Liriopis Tuber, Lycii Fructus, Schizandrae Fructus, and Bombyx Batryticatus, has an effect of hypoglycemia, with no hepato-renal dysfunction. For the experimental results above, in that nephrotoxicity significantly decreased on the 0.6g/100g concentration, another research such as study for effect in other ranges and study for effect of dosage term except the concentration range of this study is necessary. Also dosage of appropriate concentration of Saryuktangkamibang is thought to provide valuable aid to cure on diabetes.

  • PDF

이중 헤드 감마 카메라를 이용한 Conjugate-View 계수법에 의한 신장 깊이 도출 (Calculation of Renal Depth by Conjugate-View Method Using Dual-head Gamma Camera)

  • 김현미;서태석;최보영;정용안;김성훈;정수교;이형구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378-388
    • /
    • 2001
  • 목적: 기존의 신장깊이를 구하는 Tonnesen, Taylor 방정식은 신장 핵의학 검사 시 별도의 초음파, CT(computed tomography) 검사를 토대로 도출되었으며, 몸무게, 키, 나이에 따른 변수를 이용하여 신장깊이를 구하게 되므로 개인차가 고려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감쇠 계수를 이용한 보정 인자 $e^{-{\mu}x}$를 적분하여 계수를 구하는 방법과 Conjugate-view 계수법을 사용하여 핵의학 영상에서 신장깊이를 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신장모형이 포함된 복부모형을 제작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이중 헤드 감마카메라(E.CAM, SIEMENS, Germany)로 핵의학 이미지를 얻는 실험을 하였다. 신장 두께, 신장깊이 그리고 몸통두께를 변수로 하여 각각의 다른 실험값을 얻었다. 방사성 동위윈소는 $^{99m}Tc$-DMSA를 사용하였으며, 검출기에 대한 효율은 실험을 통해 계산되었다. 감쇠 계수를 이용하여 계수값을 얻어내는 방법으로 신장깊이 도출을 위한 방정식을 유도하였으며, 배후 방사능 보정에 대한 보정식을 추가하였다. 유도된 방정식에 실험을 통해 얻어낸 자료를 대입하여 신장깊이를 구하였으며 이렇게 계산된 신장깊이와 실험에 사용된 신장깊이를 비교하여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 이 연구에서 유도된 신장깊이 방정식을 통해 개발된 신장깊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몸통모형의 몸통 길이와 신장모형 두께, 위치를 각기 다르게 하여 각각의 핵의학 영상을 얻은 결과로부터 신장깊이에 대한 실제값과 유도된 방정식을 통해 얻은 계산값을 서로 비교, 검토해보았다. 신장깊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얻은 계산값과 모형의 실제값을 비교해 본 결과 0.1 cm에서 0.7 cm까지의 차이를 보였다. 실험값과 계산값과의 평균 오차는 $0.029{\pm}0.15cm\;(mean{\pm}S.D.$) 이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신장깊이를 구하는 여러 방법들과는 달리 본 연구를 통해 핵의학 영상만으로도 개인차가 고려된 신장깊이를 얻어낼 수 있게 되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신장깊이 계산 방정식을 이용하여 구한 신장깊이는 방사성동위윈소 주입 후 감마카메라를 이용하여 집적된 계수를 이용하여 구하는 것이 되므로 개개인의 개인차는 물론 좌신과 우신에 따른 차이도 고려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연구에서 개발된 신장깊이 계산 프로그램의 임상 응용에서의 적용을 위해서는 신장에 도달하는 방사성 동위윈소의 방사능양과 효율적일 관심영역 크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며 좀더 정확하고 개인차가 고려된 신장깊이가 계산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 PDF

신생아 담즙정체의 원인질환 (The etiologies of neonatal cholestasis)

  • 고재성;서정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9호
    • /
    • pp.835-840
    • /
    • 2007
  • Any infant noted to be jaundiced at 2 weeks of age should be evaluated for cholestasis with measurement of total and direct serum bilirubin. With the insight into the clinical phenotype and the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s, it is now possible to evaluate more precisely the neonate who presents with conjugated hyperbilirubinemia. Testing should be performed for the specific treatable causes of neonatal cholestasis, specifically sepsis, galactosemia, tyrosinemia, citrin deficiency and endocrine disorders. Biliary atresia must be excluded. Low levels of serum gamma-glutamyl transferase in the presence of cholestasis should suggest progressive familial intrahepatic cholestasis type 1, 2, or arthrogryposis- renal dysfunction-cholestasis syndrome. If the serum bile acid level is low, a bile acid synthetic defect should be considered. Molecular genetic testing and molecular-based diagnostic strategies are in evolution.